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지
분파
분맥
너울가지
너울
곁가지
어린 가지
뉴스
"
가지
"(으)로 총 7,874건 검색되었습니다.
"軍도 탐내는 로봇, AI 손에 넣고 스스로 문제 풀며 진화中"
동아사이언스
l
2019.06.27
시장조사업체 가트너가 제시하는 하이퍼 커브에서 로봇기술의 위치는 사업화 단계까지
가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하이퍼 커브는 신기술이 등장하면 초기엔 투자가 일어났다가 한번 급락하고 이후 상승하며 산업화되는 것을 표시한 곡선을 말한다. 오 책임연구원은 “2000년도에는 커브에 나타나지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사람마다 '약발' 다른 이유는 장내미생물
2019.06.25
균주와 경구용 약 271
가지
를 대상으로 대사 여부를 조사한 결과 176
가지
약물이 적어도 한
가지
균주에 의해 대사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b) 46
가지
약물을 대사할 수 있는 박테로이데스 테타이오타오미크론의 게놈에서 특정 약물을 대사하는 효소의 유전자를 찾는 방법을 도식화한 그림이다. 게놈을 ... ...
“전자담배 밀폐 공간에서 피우지 말아야. 공기중 니코틴 농도 올라가”
동아사이언스
l
2019.06.25
일반담배는 기준치 모두를 초과했지만 궐련형 전자담배는 니코틴과 아세트알데히드 두
가지
항목만 기준치 이하에서 증가했다”며 “배출되는 유해성분의 양은 일반 담배보다 90% 적은 수준”이라고 밝혔다. 다만 공기를 통한 간접흡연 외에, 다른 방식의 간접흡연 가능성이 아직은 확실히 ... ...
'원자로 운영자 한 명에게만 책임 몰아가기?'…한빛1호기 끝나지 않은 의혹들
2019.06.24
정확한 원인을 찾아내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오맹호 원안위 원자력안전과장은 “두
가지
방법 중 하나를 활용해 측정할 수 있다”고 말했지만 붕소희석법 및 제어봉교환법은 인적오류 발생확률이 증가하는 만큼 DCRM을 왜 여러 차례 시도하지 않았는지에 대한 의문이 남는 대목이다. 제어봉 ... ...
한빛1호기, 운영자 반복된 오판·안전절차 무시가 가져온 사고
동아사이언스
l
2019.06.24
및 제어봉 교환법의 경우 계산에 의존하기 때문에 인적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있다. 두
가지
모두 원안위의 승인을 받은 시험 방법이다. 한빛1호기는 2005년 DCRM을 개발한 이후 14년간 이 방법으로만 시험해왔다. 이번에는 DCRM을 3회 실시했는데 제어봉을 삽입할수록 반응도가 줄어들지 않고 증가하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게놈 프로젝트, 반추동물의 비밀 밝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3
머리 구조를 분석했다. 반추동물은 머리에 뿔을
가지
고 있는 유일한 포유류 집단이지만
가지
가 여럿 나 있는 사슴의 화려한 뿔부터 단순히 위로 뻗은 소의 뿔처럼 다양한 구조의 뿔을 갖고 있다. RGP 분석 결과 소와 사슴의 뿔은 모양의 차이만 있을 뿐 유전적으로 같은 뿌리를 공유하고 있음을 ... ...
미·러는 왜 화성 메탄 존재 여부 놓고 다른 결과를 내놨나
과학동아
l
2019.06.22
검출되지 경우 또 다시 추가 탐사를 진행하는 게 우주 연구”라며 드넓은 우주에서 몇
가지
지점을 찍어 우리가 수행한 연구 결과가 정답이라고는 누구도 단언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과학동아 6월호 화성 메탄 ... ...
실시간 감염병 감시기술로 '제2 메르스 사태'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1
문질렀을 때보다 세균이 1000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닦아낸 시료는 마찬
가지
로 액상에서 DNA를 추출하고 농축해 검출할 수 있다. 연구단은 내년쯤 이 기술을 이전해 사업화할 계획이다. 다음 단계로 연구단이 개발하고 있는 것은 실시간으로 진단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기존 개발했던 ... ...
“동토에 숨었다 피는 ‘씨범꼬리'에서 북극식물의 인내 배워요.”
동아사이언스
l
2019.06.21
중요한데, 과학연구를 하는 국가에 대해 우호적인 분위기가 형성된다”고 말했다. 한
가지
아쉬운 것은 꾸준함이다. 기후와 생태 분야의 특성상 단순해 보이지만 오래 지속해야 하는 연구가 한국에서는 푸대접이다 길어야 5년 남짓이면 같은 주제로는 국가연구과제를 수행하기 어렵다. 똑 같은 걸 왜 ... ...
카오스재단, 제12회 카오스콘서트 '변신, 기원이야기' 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0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 장대익 서울대 자유전공학부 교수가 ‘변신’을 주제로 3
가지
강연을 진행한다. 블랙홀 과학자로 최근 태양질량 1만 배 ‘원시 블랙홀’을 최초로 발견한 우 교수가 ‘별이 피고 지는 우주의 끝에서’를 주제로 강연한다. 양자물리학자로 예능에도 얼굴을 내비쳐 ... ...
이전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3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