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d라이브러리
"
지난
"(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발 없는 트위터가 천 리 가는 이유
수학동아
l
2012년 01호
돋보이는 트위터트위터는 잘못된 정보가 빨리 퍼지는 만큼 강한 자정능력도 갖고 있다.
지난
12월 6일 한 방송토론프로그램에서는 ‘SNS의 부작용으로 신촌에서 운영하던 냉면집이 망했다’는 시청자의 주장이 소개됐다. 하지만 이는 거짓이었다. 다음날 프로그램 제작진은 트워터를 통해 “확인한 ... ...
Part 1. 70억 인포그래픽으로 보는 인구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섬이다. 무엇이 이 작은 섬에까지 개발의 발길을 들인 것일까.70억 인구가 차지하는 땅
지난
2011년 10월 말, 지구는 70억 인구 시대를 맞이했다. 70억은 결코 작지 않은 숫자다. 인류가 손에 손잡고 한 줄로 늘어서면 적도 기준으로 지구를 131바퀴 돌 수 있다. 지구와 달 사이는 13.7번 왕복할 수 있다. ... ...
모기 감각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같은 통로에 있던 감각들이 진화 과정에서 구분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연구팀은
지난
3월 감각수용체 트립에이1을 초파리에서 처음 발견해 네이처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이 연구를 통해 피를 빨아먹는 곤충이 옮기는 말라리아 같은 질병을 막는 데도 이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
근육로봇의 탄생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활용할 수도 있다.벼룩로봇이 개발되기 전에도 높이 뛸 수 있는 로봇은 많이 개발됐다.
지난
2008년 스위스 로잔연방기술연구소(EPFL)의 다리오 플로레아노 교수팀은 몸길이의 27배를 뛰는 메뚜기로봇을 선보였다. 미국 스탠퍼드대에서 개발한 점프로봇도 제 몸의 17배나 뛰어오른다. 하지만 이들은 ... ...
“지금 안 막으면 사방이 가시박 천지가 됩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몰두하던 지도교수가 하던 말이 늘 기억에 남았다는 강 교수는 그 자신도 일요일도 없이
지난
세월을 보냈다. 그리고 2001년, 17년 만에 호헨하임대를 찾았을 때 그는 학교 주변이 각종 식물들로 가득 차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제초제를 연구하던 박사과정 시절 때는 전혀 보이지 않던 풍경이었다. ... ...
겨울의 DMZ에서 독수리를 만나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3m나 된다.여기는 경기 파주시 장단면에 있는 장단반도. 독수리의 대표적인 월동지다.
지난
12월 10일 겨울철새를 보러 30여 명이 이곳을 찾았다. 경기관광공사와 동아사이언스가 함께 주최한 행사였다. 이 지역에 있는 마을인 ‘통일촌’의 조봉연 이장이 안내를 맡았다.“여기서 내리세요.”조 ... ...
소년은 늙기 쉽고 연애는 이루기 어렵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그 사람에 대해 부정적인 정보를 알려줌으로써 나쁜 첫인상을 갖게 했습니다. 시간이
지난
뒤 똑같은 사람을 다시 보여주며 처음과 다른 정보를 알려줬습니다. 첫인상과 다른 면모를 보여줬다는 거예요. 이때 연구팀은 컴퓨터 화면의 배경을 바꾸는 등의 방법으로 특정한 환경을 만들었어요 ... ...
“외국 학생들이 유학 오는 대학으로 발전할 것”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뻗어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대학 평가 ‘몇위’보다 ‘클래스’가 되겠다포스텍은
지난
2010년 영국 더타임즈와 세계적인 연구평가기관 톰슨-로이터사가 공동으로 실시한 2010년 세계대학평가에서 28위를 차지했다. 30위권 내에 진입한 첫 사례다. 포스텍은 그러나 이제 국내외 기관이나 언론사의 ... ...
연구활동 즐기는 인재 찾아요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집단면접에서는 대인 역량도 잘 드러납니다.” 장시간 지켜본 교사의견서가 중요
지난
해 신입생 중 기억에 남는 학생은 어떤 학생인가요. “먼저 말해 둘 것이 있습니다. 다수 다단계 평가 방식이기 때문에 한 사람의 입학사정관이 좋은 평가를 했다고 합격을 하는 것은 절대 아닙니다. 방문면접한 ... ...
꼬리에 꼬리를 무는 연구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연구한 결과에서 새롭게 생긴 궁금함에 대해 다시 연구하고 보고서를 쓴 것입니다.
지난
호에서 학생들은 빛의 색에 따라 사람의 심리가 어떻게 변하는지에 대해 연구했습니다. 학생들은 암실을 만들고 그 안에서 특정한 색의 빛을 보는 장치를 만들고 피실험자에게 여러가지 색의 빛과 빛에 의해 ... ...
이전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3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