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d라이브러리
"
생물
"(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독성 없는 항암제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단백질이 생성되지 않으면 위암이 발생한다.배 교수는 이 같은 연구결과를 2002년 4월 세포
생물
학 분야 권위지인 ‘셀’에 발표했다. 당시 그의 논문은 전세계 의학계와 생명공학분야 연구자들을 깜짝 놀라게 했다. 암 발생에 관여하는 수많은 유전자 중 핵심 인자를 찾아냈기 때문.배 교수의 논문이 ... ...
sos! 고래는 지금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8호
것! 원래 발굽달린 육상 동물이었지만 4000~5000만 년 전에 해양 동물로 진화했지. 보통
생물
들은 바다에서 오랜 시간 진화해 육지로 올라왔는데 유독 고래만 바다로 돌아간 이유가 뭐냐고? 우린 먹이 다툼이 치열한 육지를 떠나 움직이기 쉽고 먹이가 풍부한 바다로 간 거야.그래서 고래는 바다에 살기 ... ...
트랜스지방이 함유된 음식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일종인 세팔로스포륨 · 아클레모늄의 배양액에서 생산되는 항
생물
질 페니실린계 항
생물
질에 공통인 모핵 6-아미노페니실라민산(6-APA) 대신 7-이미노세팔로스포라닌산(7-ACA)을 가지며 페니실린과 흡사하다합성 페니실린보다 더욱 개량된 것이며 페니실린처럼 세포벽의 합성저해가 주체이다세포 ... ...
애교덩어리 말티즈 듬직한 리트리버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생김새가 비슷한 스위스 개 버니즈 마운틴 도그가 7살이다.미국 프린스턴대 생태 및 진화
생물
학 명예교수인 존 타일러는 그의 저서 ‘크기의 과학’에서 “인위선택의 결과, 작은 개들에 비해 생리 기능이 상대적으로 취약하게 태어나는 큰 개들은 작은 개들에 비해 수명도 아주 짧다”고 설명했다 ... ...
송도의 공부벌레들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진학할 때만 해도 그저 의사가 되겠다는 생각뿐이었다. 하지만 수업을 들을수록 자신이
생물
학과 심리학에 흥미를 느낀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리고 연구라는 것이 아무도 모르는 미지의 분야를 알아가는 일이라 더욱 끌렸다.이 씨는 인턴쉽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앞으로 생명과학 분야에 ... ...
같은 살모사, 사는 곳 따라 독성분 달라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Bothrops asper) 66마리를 사로잡아 독에 포함된 단백질의 조성을 분석한 뒤 그 결과를 미국의
생물
학저널인 ‘저널 오브 프로테옴 리서치’ 6월 17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칼비트 박사팀이 중앙아메리카살모사를 잡은 지역은 큰 산으로 가로막혀 있어 살모사들끼리 최소 500만 년 이상 서로 왕래가 없던 ... ...
100년 만에 불붙은 북극탐험 전쟁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올해로 인간이 북극점을 정복한 지 100주년을 맞았다. 북극은 인간의 한계를 시험하는 탐험가들에게 끝없는 도전의 대상이었다. 그로부터 100년이 지난 2008년, 지구온난화에 힘없 ... 1m 얼음 깨고 나가는 북극 첨병Part 2. 두꺼운 얼음 밑에서 지하자원 캐낸다Part 3. 추위에 강한
생물
자원의 ... ...
INTRO 지구온난화, '북극 전쟁'의 방아쇠를 당기다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1908년 미국의 의사 프레데릭 쿡과 해군장교 로버트 피어리는 피 말리는 북극점 정복 경쟁을 벌였다. 최초 정복자에게 주어지는 부와 명예를 위해 두 사람은 영하 30℃를 밑도는 얼음 ... 얼음 깨고 나가는 북극 첨병Part 2. 두꺼운 얼음 밑에서 지하자원 캐낸다Part 3. 추위에 강한
생물
자원의 ... ...
2. 두꺼운 얼음 밑에서 지하자원 캐낸다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올해 전 세계가 지구온난화 영향으로 뜨거운 여름을 보내고 있다. 호주는 100년 만에 찾아온 가뭄에 시달리고 있고, 그리스는 7월 초 이미 낮 최고 기온이 41℃까지 올라갔다. 우리나 ... 얼음 깨고 나가는 북극 첨병Part 2. 두꺼운 얼음 밑에서 지하자원 캐낸다Part 3. 추위에 강한
생물
자원의 ... ...
가슴 설레는 도시 탈출을 위한 필수품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햇빛을 초점에 모아 조리기구를 가열한다. 손목에 끼는 모기퇴치용 밴드다. 서울대 응용
생물
화학부 안용준 교수팀이 개발한 제품으로 회향유(油)라는 천연물질이 첨가돼 인체에 해롭지 않다. 회향유는 회향이라는 열매를 증류시켜 얻는 기름으로, 주성분인 ‘아네톨’과 ‘펜촌’이 모기가 ... ...
이전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3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