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역
범위
방면
지역
영토
장사
기량
d라이브러리
"
분야
"(으)로 총 7,602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윈과 진화과학의 지적 소나기에 흠뻑 젖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않았더라면 미처 생각하지 못했을 부분이다.이번 포럼의 주제인 진화론은 자연과학
분야
이지만 사회과학을 전공하고 싶은 나에게도 많은 영감을 줬다. 특히 “지성과 언어는 진화한다. 그래서 인류는 계속 진화한다”는 말은 아직도 내 가슴을 울리고 있다. 며칠간 맞은 ‘지적 소나기’의 여파는 ... ...
대한민국 육종학의 아버지 우장춘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젊은 과학도와 반대의 길을 걷고 있는 셈이다.“분자생물학이든 육종학이든 이제는 두
분야
를 다 잘 이해해야 해요. 개체 수준에서 일어나는 눈에 보이는 현상도 확인해야 하고, 분자 수준에서 일어나는 미세한 현상도 들여다봐야죠. 육종도 이제 분자까지 다루는 방향으로 바뀌고 있으니까요 ... ...
귀신 보는 사람 따로 있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환자의 측두엽 청각피질을 자극하면 환청이 줄어든다는 연구 결과도 2005년 신경정신과학
분야
의 국제저널인 ‘뉴로사이언스 레터’에 실렸다. 이런 연구 결과들은 환시나 환청처럼 지금까지 명확히 설명할 수 없었던 현상을 설명하는 과학적 근거가 되고 있다.현재 TMS 장치는 우울증 치료에도 ... ...
“아라온 호, 극지 심해서 자원 확보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회의적인 시각이 제기될 때면 ‘그건 철학의 문제다’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어느
분야
에나 당면한 과제가 있는 건 사실이지만 미래를 내다본 투자가 없으면 비약적인 성장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얻기 어렵죠. 쇄빙선도 그런 투자 가운데 하나였다고 봅니다. 결국엔 한국의 자산이 된 거죠.”남 ... ...
태양 흑점 실종, 지구온난화 영향 없나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생각한다.올해 5월 미국 해양대기국의 우주기상예보센터 주관 아래 태양 활동 예보
분야
의 유명한 학자 12명으로 구성된 ‘태양 활동 24번째 주기 예보 패널’이 개최됐다. 이 모임에선 구성원 대다수가 동의한 다음과 같은 의견이 발표됐다.첫째, 23번째 태양 활동 주기가 2008년 12월에 끝났으며, 그 ... ...
LED, 21세기 밝힐 경제적 친환경 빛 뜬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만나면 LED의 광 효율이 30% 이상 높아진다”고 밝혔다. 박교수팀은 연구결과를 재료
분야
국제 학술지인 ‘어드밴스트 머티리얼즈’ 지난해 4월호에 발표했고, ‘네이처’ 자매지인 ‘네이처 포토닉스’는 같은 해 5월호에 이 논문을 소개했다. 광결정 이용해 빛 추출 업! “LED의 효율을 높이기 ... ...
인류 농업사 이끈 일석팔조 기술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기피하게 됐기 때문이다. 연구논문 한 편 쓰는 데도 첨단 분자생물학이나 유전공학 같은
분야
에 비해 훨씬 시간이 오래 걸린다. 논문 수는 현대 과학계에서 과학자의 업적을 평가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다.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국내 대부분의 언론은 새로운 품종에 부과되는 로열티를 ... ...
오줌으로 가는 자동차 나올까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오줌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해 영국왕립학회에서 출간하는 화학
분야
국제학술지 ‘케미컬 커뮤니케이션’ 7월호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오줌에 가장 많이 들어 있는 성분인 요소에 착안했다. 요소를 전기분해하면 수소기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요소는 분자식이 CO(NH2)2로 ... ...
여름밤 불청객 모기 뒤집어 보기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수학통계학과 빈 지앙 박사팀은 모기 눈을 본떠 태양전지를 개발해 지난해 2월 응용물리
분야
국제학술지 ‘어플라이드 피직스 레터스’온라인판에 실었다.모기 눈은 사람 눈과 달리 각막이 매끄럽지 않고 작은 털들이 규칙적으로 나 있다. 그래서 모기는 각막에서 빛이 반사되지 않아 밤에 ... ...
빛과 전자가 만나 광정보통신 세계 연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기획이사도 맡고 있다. 그가 이처럼 다양한 활동을 하는 이유는 최신 연구
분야
일수록 외국과의 교류가 필요할 뿐 아니라 외국 학회에서 기획과 운영 방안을 배워 국내에 도입하기 위해서다. 이 단장은 “미국 학회활동을 하면서 어떻게 하면 국내에서도 좋은 논문을 쓰고 좋은 학술대회를 개최할 수 ... ...
이전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3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