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화
이미지
영상
화상
초상
그래픽
사진
d라이브러리
"
그림
"(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닷물로 담수 만들기 첨단기술 6가지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방법은 증발기 해수가열기 펌프류 탈기기 약품처리공정 등으로 구성돼 있으며 그 흐름은(
그림
1)과 같다.이 방법의 담수생산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해수는 해수 취수설비를 거쳐 모래 어패류 등이 제거되고 해수급수 펌프를 통해 증발기 내의 열방출부의 관 안으로 유입된다. 여기서 열을 흡수한 ... ...
선·평면·입체 외 또다른 차원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3등분해(b)와 같이 만들었다. 다시 (b)의 각 변을 3등분해 (c)와 같은 것을 만들 수 있다. 앞
그림
의 각 부분은 전체와 닮은꼴이 돼 있다. 즉 자기상사의 구조다. 코흐의 곡선은 주어진 선분을 3등분했을 때 4개의 자기상사 도형이 생겼으므로 그차원은 다음과 같이 된다.d=$\frac{log4}{log3}$, 약 1.2618…… ... ...
2 '에듀테인먼트' 개발, 놀며 배운다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보며 배우는 영어에 그다지 흥미를 느끼지 못했다. 그러나 '로드니의 신나는 놀이화면'은
그림
책보다 화려한 움직이는 화면에 신나는 음악까지 곁들여져 그를 신나게 하고 있다.게임은 주로 혼자 하지만 가끔은 놀러온 친구와 함께 누가 먼저 맞추나 시합을 하기도 한다. 또 유치원에 다니는 동생이 ... ...
허블 망원경 최신 우주 통신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사진을 합성한 다음, 컴퓨터 화상처리를 거쳤다. 사진이 마치 완성되지 않은 조각맞추기
그림
처럼 나타난 것은 4대의 카메라(WFPC2)로 찍은 것을 모자이크했기 때문.화면에서 가장 밝은 것은 NGC4881이라는 타원은하인데, 머리털자리은하단의 외곽에 있고 밝기는 13등급이다. 이 은하단은 ... ...
특수공법건축 지진 이겨낸다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중요도와 위험도를 고려해 이 초과확률을 조정한다. 이러한 기준에 의해 한반도는 (
그림
1)과 같은 지진구역도를 사용하고 있다. 지반의 움직임과 분리되는 건물 실용화 (
그림
1)의 지진구역도에서 정한 지진에너지가 어느 정도의 지진인지, 구체적으로 건물에 어떤 방식으로 내진설계가 되는지를 ... ...
2만년전 원시숨결 '쇼베동굴예술'의 신비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있다. 보르도대학 제4기학회 의장 장 필립 리고드는 동굴의 바닥이 손상되지 않았으므로
그림
이 그려질 당시 동굴 바깥 환경을 알아내는데 많은 실마리를 얻을 수 있으리라고 말한다.가령 남겨진 동물뼈와 꽃가루 알갱이를 분석하면 당시 이 지역에서 살고 자라던 종들에 대한 좋은 정보를 얻을 수 ... ...
2. 새우주 복병-자기폭풍 통신교란 위험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된다. 이것을 살펴보기 위해 플라스마가 자기장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예로 생각해보자.(
그림
1)은 플라스마가 자기장이 없는 곳으로부터 자기장이 강한 곳으로 들어가는 상황을 나타낸 것이다. 왼쪽으로부터 자기장에 나란히 들어온 전자와 이온은 자기장에 수직인 면에서 원운동을 하게 되며 ... ...
2. 컴퓨터도 성능보다 편리성 중시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필요한 것이 바로 인간공학이다.요즘에는 기술의 발달로 나타내고자 하는 정보를
그림
이나 도형 등 문자 이외의 다른 형태로 표현하기도 한다. 이를 인간공학에서는 은유적 표현(metaphor)이라고 부른다. 컴퓨터 파일의 저장체계(directory)를 서류철 모양으로 표현하는 것이 은유적 표현의 좋은 예다 ... ...
기상이변의 말썽꾼 엘니뇨 현상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더 강화되는 경우도 발생하는데, 이런 현상을 라니냐 현상이라고 부른다(
그림
2의 아래
그림
).라니냐 현상 또한 세계의 많은 지역에서 기상이변을 유발하기도 한다. 라니냐가 일어나면 인도네시아 부근 서태평양의 대류운동이 평상시보다 더욱 강화되고 이에 따라 우리나라 부근의 하강기류 또한 ... ...
도전 125년만에 풀린 '평면지도와 4색'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직접 쓰이는 일은 없다. 이들과 맞먹을 정도의 난문제로서 4색문제가 있다. 사색문제(
그림
1)는 지도 인쇄업자들이 경험적으로 발견한 것이다. 그들은 평면지도를 만드는 데 4가지 이상의 색이 필요하지 않음을 알았다. 이것이 수학계에 정식으로 등장한 것은 1852년 10월 23일의 일이다. 당시 런던대학 ... ...
이전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3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