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시의 밑그림을 그리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강하도록 만들 수 있죠. 공대는 당장의 문제를 해결하거나 필요한 시설을 만드는 곳입니다. 세상의 밑그림을 그리고 싶은 학생들이 건설환경공학부에 와서 잘 배우고, 지구를 살리는 지도자로 성장하길 바랍니다 ... ...
- INTRO 위성 요리사를 위한 7가지 레시피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나누다니 그것 참 번거롭다.가스형 행성에 흔한 고리는 자잘한 얼음 덩어리가 모여 있는 곳. 가까이 접근한 소천체나 위성이 행성의 기조력에 부서지며 고리에 재료를 공급하기도 하는데, 반대로 이들이 모여서 위성이 될 가능성도 있다. 얌전히 트랙을 돌던 개들이, 간식을 보고 한 데 뒤엉켜 ... ...
- Part 2 - Moon Story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달이나 목성의 4대 위성 정도만 들어봤다면, 위성은 모름지기 행성 가까운 곳을 행성과 같은 방향으로 얌전히 도는 존재라고만 알고 있었다면, 이 기회에 태양계 위성의 다채로움에 새롭게 눈 떠 보자. 다양한 위성이 말도 안 되는 먼 거리에서 복잡한 궤도를 그리며 공전하고 있다는 사실에 놀랄 ... ...
- 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생명체가 탄생하고 진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생명의 탄 생 과정에서 물속이 아닌 곳에서 배열된 분자들이 물 에 반복해서 녹는 과정이 필요한데, 큰 조석력이 그 역 할을 도와준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가 발견한 쌍둥이 지구가 달과 비슷한 위성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는, 그 행성에서 ... ...
- 어린왕자, 서호주 아웃백에서 은하수를 보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뚫고 올라와서 굳은 것이다. 이런 지형을 육지에서 볼 수 있는 곳은 세계에 단 두 곳이라고 한다. 땅에 철 성분이 많아서 언덕 윗부분이 검붉다.➑ 카리지니국립공원에서 은하수와 개미집을 담았다. 개미집에 붉은 조명을 비춰서 잘 보이게 찍었다. 권오철권오철 천체사진가는 서울대 ... ...
- 바다로 간 제돌이 “잘 살고 있어요.”과학동아 l2014년 06호
- 11월, 이들을 추적하기 위해 제돌이를 찾아 떠났다. 제주도 해안선을 따라 미리정한 33곳을 차로 돌다가 남방큰돌고래 무리를 발견하면 작은 배로 접근할 계획이었다. 11월 14일, 드디어 판포리 해상에서 돌고래 50여 마리의 무리를 포착했다. 배를 타고 30분 정도 관찰하고, 개체 식별을 위해 사진을 ... ...
- 양치기 개는 갈매기도 잘 몰아요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양치기 개가 나타났기 때문이다. 양치기 개는 여기 저기 뛰어다니며 요령 좋게 양을 한 곳으로 몰아넣는다. 그런데 양치기 개의 이런 능력이 꼭 양만을 대상으로 하지는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미국 센트럴미시간대 엘리자베스 앨름 교수는 5월 17일부터 20일 동안 보스턴에서 열린 ... ...
- 150km 강속구도 딱~, 이게 다 망막 덕분과학동아 l2014년 06호
- 게임 속 망막의 단면을 이곳저곳 돌아다니며 뉴런이 연결된 곳은 파란색, 아닌 곳은 빨간색으로 표시했다.이렇게 만들어진 모식도를 분석한 결과, 양극성 뉴런의 한쪽은 아마크린 세포체의 수상돌기가 시작되는 부위와 연결돼 있지만 다른 쪽은 아마크린 세포체에 먼 반대쪽에 연결돼 있었다. 이때 ... ...
- 왜 세 살 기억 여든까지 못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특히 해마 내 치상회와, CA3라 불리는 부분 사이의 연결은 외현기억 유지에 아주 중요한 곳이다.연구팀은 이 가설을 입증하기 위해 두 가지 실험을 했다. 먼저 어른 쥐를 수조에 넣어 목적지까지 헤엄을 치도록 훈련시켰다. 처음에 쥐는 온 수조를 헤매며 돌아다니다가, 점차 경로를 기억하면서 ... ...
- 매년 쥐 100마리 신체검사 하는 독일마우스병원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독일마우스병원은 독자적으로 구축한 방대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으로 유명하다. 이곳에서는 지금껏 분석한 모든 쥐의 건강기록부를 저장하고 있었다.“이건 쥐의 혈당 그래프입니다. 이 쥐의 과거 기록과 다른 정상 쥐의 기록을 자동으로 비교해 보여주기 때문에 한 눈에 차이점을 알 수 있어요 ... ...
이전3673683693703713723733743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