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토
포토그라피
그림
화상
초상
회화
형상
d라이브러리
"
사진
"(으)로 총 5,291건 검색되었습니다.
만약에 세상의 모든 가로등이 사라진다면?
과학동아
l
200412
마치 피카소 같은 위대한 화가가 그려낸 작품인 듯하다.만약 베르트랑이 깜깜한 밤에
사진
을 찍었다면 지상의 모습은 어땠을까? 다양한 모습과 다채로운 색상보다는 반딧불같이 반짝이는 불빛의 밀도가 각 도시의 특색을 전해줄 것이다. 얼핏 생각하면 단조롭고 특별한 게 없을 것 같지만 한번쯤 ... ...
뇌는 바디랭귀지에 민감
과학동아
l
200412
때, 기쁠 때 등 다양한 상황의 자세를 나타내는
사진
24장을 피험자에게 보여줬다. 이
사진
은 얼굴이 뭉개져 표정을 알 수 없다.피험자의 뇌활동을 분석한 결과 환영표시처럼 두팔을 벌린 기쁠 때의 자세는 시각피질의 활동을 높였다. 반면 움츠리는 자세처럼 두려울 때 보이는 자세는 편도 같은 ... ...
우주에서 보낸 '핼러윈 데이'의 메시지
과학동아
l
200412
지옥 사이를 떠돌던 유령 잭이 어두운 우주공간에 남긴 흔적이 혹시 스피처가 찍은
사진
의 주인공이 아닐까.스피처가 포착한 우주 귀신은 사실 우리 은하에 있는 ‘DR6’이라는 성운이다. DR6은 지구에서 백조자리 방향으로 3900광년이나 떨어져 있다. DR6이 이런 모습을 하게 된데는 가스와 먼지가 ... ...
뇌지문으로 거짓말 탐지할 수 있나
과학동아
l
200411
검사 결과는 달라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김현택 교수도 “사건과 상관없는 화려한
사진
이나 자극에 반응해 p300이 나오기도 한다”고 말한다. 정확한 검사를 위해서는 ‘죄지식’ (Guilty Knowledge) 외에 p300을 유발할 수 있는 자극을 잘 통제해야 한다는 것이다.검찰은 이를 인정하면서도 그럴 ... ...
세계 3번째로 큰 공룡 한국에 왔다
과학동아
l
200411
길이죠.” 함께 걷던 조 부관장의 설명이다. 길 양 옆에는 성운과 별 등 우주에 대한
사진
들이 붙어 있었다. 은하수를 따라 걸으며 우주의 모습을 구석구석 볼 수 있었다. 은하수 끝에는 우리 태양계를 교실만한 크기로 만든 방이 있다. 가운데 붉게 빛나는 태양이 있고 주위에 수성, 금성이 돌고 ... ...
다채로운 색깔 띤 우주의 거대 거품
과학동아
l
200411
04년 케플러 초신성 이후 지난 4백년간 우리은하에서는 새로운 초신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사진
의 주인공은 ‘케플러 초신성 잔해’라 불린다. 케플러 초신성이 폭발해 남긴 잔해이기 때문이다. 초신성이 폭발한 후 뿜어져 나온 충격파가 주위의 가스와 먼지를 밀어내면서 공 모양의 껍질을 형성한다. ... ...
금성과 목성의 랑데부
과학동아
l
200411
망원렌즈로 며칠에 걸쳐 찍어보면 두 행성의 상대적 위치변화를 기록할 수 있다. 이
사진
은 내행성과 외행성의 천구에서의 운동을 비교해볼 수 있는 훌륭한 자료가 된다. 의외로 행성의 위치가 급변한다는 사실을 깨달을 수 있다. 12월엔 금성과 화성의 만남10일에는 신기하게도 달이 두 행성 사이에 ... ...
4. DNA로 나노벽돌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0411
올해 2월 12일자 ‘네이처’ 의 표지를 장식했다. 이 나노구조물의 전자현미경
사진
을 보면 지름 약 22㎚의 정8면체 구조가 뚜렷이 나타난다.DNA를 벽돌로 이용하면 건물의 벽이나 담장 모양을 한 나노두께의 2차원 판도 만들 수 있다. 역시 시만 교수팀의 아이디어로 연구자들은 수십개의 염기로 ... ...
X선 회절분석기
과학동아
l
200411
최초로 X선 회절을 이용해 결정구조를 밝힐 수 있다고 예측했고, 같은 해 X선 회절무늬
사진
촬영이 실제로 성공했다. 1950년대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발견하는데도 X선 회절무늬가 결정적 역할을 했다. 그렇다면 XRD가 첨단장비이긴 한 것일까.“XRD는 고전적인 장비가 맞습니다. XRD의 기본원리도 예나 ... ...
마당과 대청마루에도 생태학은 숨쉰다
과학동아
l
200411
생태의 개념을 정립하기 위해 생태라는 단어가 쓰인 시와 소설, 옛 지도와 그림, 그리고
사진
등 다양한 자료를 활용했다. 그래서 책을 읽다보면 곳곳에서 최순우의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 김용택의 ‘강가에서’ 같은 문학작품이나 조선시대의 옛 지도와 김홍도의 그림 등 예상치 ... ...
이전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3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