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루
일일
일일간
낮
주간
날씨
일기
d라이브러리
"
날
"(으)로 총 5,056건 검색되었습니다.
재미있는 수학의 패러독스들
과학동아
l
199903
[4] 사냥의 패러독스왕자의 사냥구역에서 밀렵을 하면 사형되는 나라가 있었습니다. 어느
날
왕자는 "누구든 밀렵을 하는 자는 사형에 처해지나 교수형이나 참수형을 선택할 권리를 준다. 죄인에게는 죽기전 한번의 발언권을 주겠는데 그것이 거짓이면 교수형에 처하고 만약 사실이라면 참수한다"는 ... ...
③ 과학기술용어
과학동아
l
199903
‘부등식’을 말한다. 그리고 수학에서 말하는 ‘모임’은 ‘집합’이다. 맨앞에 ‘어느
날
갑자기’라고 쓴 것은 우리가 준비없이 통일을 맞이할 경우를 뜻한다.현재 남과 북에서 사용되는 과학기술용어는 전분야에 걸쳐 서로 다른 부분이 많다. 이를 그대로 방치한다면 더욱 큰 차이를 야기할 ... ...
생물계의 공생전략
과학동아
l
199903
요구르트보다 더 좋고 수도 많은 유산균 균주가 들어 있는 식품이 김치다. 즉 설사가
날
때도 김치 국물은 좋은 약이 된다. 이 외에도 모든 발효식품은 세균이나 효모가 만든 것이 아닌가.김치 이야기가 나왔으니 말인데, 김치를 담글 때 왜 풀을 써서 같이 넣는 것일까. 실험실에서 세균을 배양할 때 ... ...
우주가 만든 바람개비 우리은하
과학동아
l
199903
지름이 약 10만 광년인 우리은하 전체에 비하면 아주 작은 영역에 지나지 않는다. 안개 낀
날
대도시의 변두리에서는 도시의 작은 부분만을 볼 수 있는데, 이는 공기 중의 티끌과 공해 물질들이 더 먼 곳에서 오는 빛을 차단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허셜은 가시광선만 사용해 관측했으므로 별들 ... ...
'잘 나가는' 제비의 자식 사랑 부부사랑
과학동아
l
199903
길이 못지 않게 좌우대칭도 선택의 중요한 기준이다. 꼬리가 길면서도 대칭을 이뤄
날
렵하게 보일수록 잘 나가는 제비인 셈이다. 비행능력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꼬리 깃털이기 때문에 암컷들은 이것을 보고 얼마나 생존력이 있고 자식들을 잘 먹일 수 있는 수컷인지를 판별하는 것이다. 우수한 ... ...
복제소 영롱이와 유전자 조작 슈퍼벼
과학동아
l
199903
현재까지 계속 치열하게 진행중이다. 농업진흥청이 발표한 이틀 후인 2월 12일 영국에서
날
아든 소식은 이런 세계적인 분위기를 단적으로 대변해준다.작년 8월 영국 로웨트 연구소의 푸스타이 교수팀은 병충해에 견딜수 있도록 유전자를 변형시킨 감자를 실험용 쥐에게 1백10일 간 먹였다. 그러자 ... ...
밀레니엄 버그 ABC
과학동아
l
199903
부팅된 후 시작 → 설정 → 제어판에서
날
짜와 시간영역을 확인해 본다. 2000년 이후로
날
짜를 바꿔 제대로 바뀌면 밀레니엄 버그로부터 안전한 컴퓨터다.그런데 아직까지 386이나 486 컴퓨터를 쓰고 있다면 밀레니엄 버그에 부딪힐 확률이 높다. 이를 해결하려면 메인보드의 바이오스 롬을 통째로 ... ...
작가 송지나가 본 과학, 과학자
과학동아
l
199903
들인 땀과 노력을 모두 의미 없는 것으로 만들어버리기 때문이다. 아무런 과정 없이 어느
날
문득 하늘에서 떨어지는 업적이란 결코 없으며, 있더라도 그리 아름다운 것은 아니다. “세상이 천재라고 칭송하는 사람들의 뒤에 지난한 노력의 과정이 있었다는 것을 볼 줄 알았으면 해요.”그가 만난 ... ...
19세기) 사립탐정 선구자 핀커턴
과학동아
l
199902
손에 의해 이미 죽었을지도 모른다.1861년 2월 23일은 미국 대통령 당선자 취임식이 열리는
날
이었다. 링컨은 2월 11일부터 일리노이를 출발해 취임식이 개최되는 워싱턴에 도착하기까지 15군데의 역에 내려 친선 행사를 벌일 계획이었다.친선 행사를 치를 마지막 장소는 볼티모의 기차역이었다. 그런데 ... ...
신화속의 태양계
과학동아
l
199902
자신이 계산한 곳에서 미지의 행성을 찾아봐 달라고 부탁했다. 그리고 부탁하던
날
밤 갈레는 해왕성을 찾아냈다.새로운 행성을 발견한 사람은 누구일까. 결론은 아담스와 르베리어의 공동 발견으로 맺어졌다. 그리고 이름은 바다의 신인 넵투누스를 따라 넵튠으로 정해졌는데, 과학저술가인 ... ...
이전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3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