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기
장기간
긴
오래
오랜기간
기드림
specialty
뉴스
"
장기
"(으)로 총 4,40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으로 해결해 드립니다 사랑 고민상담소
과학동아
l
2017.02.05
1) ● ‘관계 의존적 자존감과 연인 관계에서의 감정변화’ (doi: 10.1037/0022-3514.95.3.608) ●‘
장기
적인 관계가 정말 낭만적인 사랑을 죽이는가’ (doi: 10.1037/a0014226 ... ...
화를 참을 수가 없는 나, 어떡해야 하죠?
2017.02.04
혹은 야쿠자(ヤクザ) 등 갱 집단에서 부하에게 가하는 가혹한 처벌 전략 등이죠. 하지만
장기
적인 관점에서 이러한 전략은 반드시 실패합니다. 과거 일부 심리치료 학파에서는 이른바 ‘카타르시스’ 요법이라고 하는 치료를 한 적이 있었습니다. 마음 속의 분노를 모조리 분출하면 기분이 ... ...
생명이 다한 날까지 일상을 담은 사진작가
팝뉴스
l
2017.02.03
사진으로 자신의 매일 매일을 기록하기로 결심한다. 그 이후로 무려 18년간 지속된 그의
장기
프로젝트는 그의 41번째 생일이기도 한 1997년 10월 25일 안타깝게도 끝을 맺게 된다(맨 마지막 사진). 일년 간 뇌종양 투병을 하던 작가가 결국 숨을 거두게 된 것이다. SX-70 카메라를 통해 ...
물로 만든 투명로봇, 인형뽑기 기계처럼 물고기를 움켜잡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2.03
고무나 플라스틱 같은 물질보다 몸에 넣었을 때 면역거부반응 및 이물감이 적어 인공
장기
등 의료용으로 쓰일 수 있다. 육 연구원은 “하이드로젤이 초음파를 막지 않아 내시경에 사용하면 수술 중 의사의 시야를 가리지 않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로봇을 약물전달에 이용할 수도 있다. 하이드로젤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내 실패는 내 탓이 아니라고!
2017.02.01
저렇게 몇 번 시험 등에서 자가 핸디캡핑 후 단기적으로는 자존감을 지켜냈으나
장기
적으로는 더 큰 자괴감이 들고 말았기에 (나는 과연 무슨 짓을 하고 말았는가..) 조금 덜 노골적인 방법의 필요를 느꼈다. 실은 그보다 실패를 덜 특별하게 생각하게 되었는데.. 특별히 실패했다고 호들갑 떨 일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가 치매도 일으킨다?
2017.02.01
공동연구자들은 온타리오주에 살고 있는 성인 대다수에 해당하는 660만 명을 대상으로 한
장기
적인 역학조사자료를 분석했다. 그 결과 거주지가 차가 많이 다니는 주도로에서 50m 미만 거리일 경우 200m 이상인 경우에 비해 치매에 걸릴 위험성이 12% 더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12%면 별 것 아닌 것 같지만 ... ...
사람아빠, 돼지엄마 가진 ‘키메라 세포’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17.01.27
수도 있다는 의미다. 벨몬테 교수는 “궁극적인 목표는 인간에게 이식할 수 있는
장기
나 조직을 돼지에게서 성장시키는 것이고 이제 그 첫걸음을 뗀 것”이라고 말했다. ... ...
레고 구조대, 해양생물을 구출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1.26
고래 심장은 저렇게 생겼구나. 폐도 있나 봐요!” 증강현실 프로그램을 통해 고래의
장기
를 살펴본 친구들이 소리를 질렀어요. 김수진 해설가님이 고래는 어류가 아닌 포유류라고 설명해 주셨어요. 아자 스튜디오 이서연 작가 제공 “왜 고래는 다른 생물들처럼 표본이 아닌 뼈를 전시했을까요?” ... ...
스마트폰으로 사진만 찍어도…인공지능이 토마토 크기 측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1.25
작물 생육 정보를 토대로 최적의 수확 시기 및 예상 수확량 예측도 가능하다. 이는 향후
장기
적인 생산성 향상과 품질 개선을 위한 연구에도 활용할 수 있다. 연구원들이 ‘작물 생육측정 기반 스마트팜 2.0’ 앱으로 수집한 토마토의 생육 정보를 토대로 예측한 수확량 그래프를 살펴 보고 ... ...
‘트랜스젠더 건강 연구’ 크라우드펀딩으로 시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1.24
사회운동이나 캠페인이 아닌 학술연구를 하는 게 맞는지, 스스로도 의심이 든다. 하지만
장기
적인 관점에서 단단한 증거를 축적하는 학술연구도 필요하다. 그동안 쌍용차, 세월호, 소방관 연구 등에서 했던 것처럼 최선을 다해 연구하고, 좋은 학술연구를 출판해 올바른 현실 변화를 이끌어낼 수 ... ...
이전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