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
당
파
편의
편익
떡
떡밥
d라이브러리
"
편
"(으)로 총 4,072건 검색되었습니다.
공간을 넘어 우주로의 시간여행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이해되지 못한 부분이 남아있기 때문에 미세한 크기로 만드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말하는
편
이 나을 것이다.(쏜은 외래물질의 존재가능성을 50대50으로 보고 있다.) 만일 외래물질이 존재할 수 있다고 해도 외래물질을 관통하는 진공튜브를 부착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그리고 또 외래물질이 ... ...
뿔마저 빼야 하는 운명 코뿔소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수시간이 지나면 일어서서 걸으며, 어미가 가는 곳이면 어디든 따라간다. 젖은 자주 먹는
편
인데 생후 1주일 뒤에는 푸른 잎을 뜯어 먹기 시작한다.새끼는 세살이 될 때까지 어미 곁을 떠나지 않는다. 어미 코뿔소는 출산 후 3년이 지나야 다시 새끼를 낳는다. 그러면 세살박이의 어린 코뿔소는 어쩔 ... ...
바라는대로 되는 것만은 아니다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그러나 영국이나 독일 미국의 학자들은 N-선을 찾는 데 실패했으며 때로 양측에서 국민적
편
견이 가세된 비난이 오고갔다.미국의 물리학자 '로버트 W.우드'는 '블롱로'의 실험실을 방문했고 실험과정을 보게 되었다. 그는 탐색장비의 중요부분을 몰래 챙겨 넣었으며 실험실 사람들은 아무것도 모른 ... ...
40여년만에 처음 지질학자가 살펴본 백두산 지형과 지질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골짜기는 V자형으로 처음에는 넓다가 폭포 가까이 갈수록 점점 좁아진다.이 골짜기의 양
편
에 있는 산봉우리는 동쪽이 천문봉이고 서쪽이 용문봉이다. 이 깍아세운 듯한 산봉우리에는 백두산 용암이 흘러내렸던 방향의 수직으로 기둥모양의 주상절리(柱狀節理)가 잘 나타난다.천지에서 흐르는 물은 ... ...
자원식물학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인벤트리'를 갖출 필요가 있으며 그 노하우를 자원식물학이 담당하고 있는 것이다.한
편
이런 노하우는 식물산업혁명으로 생기는 마이너스요인을 억제하기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예를들면 타일랜드에서는 한때 유럽 사료 시장용의 전분원이되는 카사버(Cassava)를 대량으로 심었다. 그때문에 많은 ... ...
선택과목은 어떻게 선택하고 공부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확대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또 과학교사나 학생들은 과학을 대학입시를 위한 방
편
으로 여기는 태도에서 벗어나야 하겠지요. 말로만 '생활과학'을 외치지 말고 실제로 과학을 생활화하는 여건이 조성되기를 바랍니다.특히 「과학동아」가 앞장서 학과와 학생의 선택과목이 어느정도 유리돼 ... ...
한방약의 고향 중국의 안국시 약재시장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약이 되는 재료를 가려냈다'고 전해지고 있다.그로부터 1천3백년 뒤인 명나라시대에
편
찬된 본초강목에 기재된 중약은 1천8백92종이나 된다. 현재 수집되고 있는 것은 이보다 더 많아 5천7백67종이나 된다. 이런 중약은 사람들의 오랜 경험을 통해 발견되고 도태되는 과정을 거쳐 가려낸 약재이다 ... ...
3천미터 심해탐사선을 목표로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이 방면의 시장 개척에도 전망이 좋을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망간단괴 개발에 적극적한
편
이 분야 기술의 선진국이라 할 수 있는 나라는 미국 프랑스 소련 일본 등이다. 미국은 이미 1958년에 현재 원격조종선의 시초라고 볼 수 있는 2천미터급 무인잠수정 CURV호를 개발한 바 있으며, 1984년도에는 6천9 ... ...
홍도의 식물생태계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식생을 조사하면 30여종의 미기록종을 찾는 것이 평균 수준이다. 이 정도면 학술논문을 한
편
발표하기에 충분한 것이다. 반면 이번 홍도팀은 비전문가들로 구성돼 있고, 일정도 실제로는 3일에 불과했으나 기대밖의 성과를 얻은 것으로 평가된다.저녁에는 함께 회식을 하면서 그간의 회포를 풀었고, ... ...
자유로이 에너지형태 바꾸는 현대판 부싯돌 압전 세라믹스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일부 재료에 압력을 가하면서 관찰 해 본 결과, 재료의 한면에 양전기가 발생하면 맞은
편
에는 음전기가 발생되며 그 크기는 가한 압력에 비례하고 압력을 제거하면 전기가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게 되었다. 이것이 인류가 처음으로 압전체라는 신비의 재료를 발견하게 된 순간이었다.즉 압전체의 ... ...
이전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