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노보드에 숨겨진 물리학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보드도 유리섬유와 합성수지 등과 같은 첨단 재료를 이용해 만들었다.1982년 미국에서
최초
의 국제 스노보드 경기가 열렸으며, 1988년에는 올림픽 정식정목으로 채택됐다.ㅣ부츠와 바인딩 어떻게 고를까ㅣ발에 맞는 부츠를 고르는 것은 필수다. 부츠는 보드의 바인딩에 버클로 채워져 턴을 할 때 ... ...
03 2005년 한국에 뜨는 별 K스타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이들이 주고받아야 하는 수만개의 변수를 실시간으로 알 수 있다.또한 K스타 장치는 세계
최초
로 정상상태 운전이 가능한 장치다. 정상상태로 운전 중 필요에 따라 플라스마의 위치나 형태를 바꿀 수 있는 제어가 가능해야 한다. 또 플라스마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면서 미리 입력해둔 ... ...
Ⅲ 사람이 주인 되는 인터페이스 꿈꾼다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놀라운 속도로 발전한다. 그리고 역시 놀라운 관성에 지배된 채 변하지 않는다.
최초
의 컴퓨터 에니악(ENIAC)을 조작하기 위해 사용자는 의자에 앉지도 못하고 서서 또는 쭈그리고 전선을 바꿔 이어야 했다. 그 뒤를 이은 거대한 쇳덩이 컴퓨터들은 이유를 알 수 없게 배열된 수많은 스위치 배열로 ... ...
맨눈으로 볼 수 있는 소행성 베스타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수 있다. 소행성은 화성과 목성 사이에 위치하는 작은 행성들이다. 1801년 피아치가
최초
의 소행성 세레스를 발견한 이래 현재 궤도가 알려져 있는 소행성만 수만개가 넘는다. 이 중 가장 큰 주요 소행성 4개를 4대 소행성이라 한다. 4대 소행성의 1번은 세레스, 2번은 팔라스, 3번은 쥬노, 4번은 ... ...
실험실에서 상업용 발전소까지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DEMO)를 설계해 2030년경부터 운영할 예정이고, DEMO 운영 중반 단계인 2030년대 중반부터
최초
의 상업용 핵융합 발전소인 PROTO를 설계·제작해 1.5GW급의 상업용 핵융합 발전소를 2050년경부터 가동할 계획이다.핵융합 연구는 1920년대 원자핵의 구조와 별의 에너지원에 대한 기초적 의문에서 시작됐다. 1950-1 ... ...
② 복제된 자손에게 핵 유전자만 전달된다?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이 문제가 복제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전달하기에는 미흡한 문제였다고 평가한다. 국내
최초
로 동물복제에 성공한 서울대 황우석 교수는 “한우의 체세포 핵과 젖소의 난자로 복제된 소는 한우로 태어나지만 나중에 새끼를 갖게 되면 젖의 양이 한우보다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 ...
한민족의 오랜 벗 한국개의 기원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함께 한 한국 토종개의 기원은 어디일까.약 1만4천년 전 늑대가 인간에 의해 길들여져
최초
의 가축인 개가 탄생했다. 그 후 여러 야생동물이 가축이 돼 다양한 형태로 인간과 인연을 맺었다. 하지만 늑대의 본능을 지금껏 유지하고 있는 개는 사람과 정서적인 교감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대단히 ... ...
ㅣ인간복제 찬성ㅣ 과학발달하면 윤리문제 없다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인간복제를 반대하는 어떤 반론들도 설득력을 지니지 못한다.인간 존엄성 훼손한다?
최초
의 복제동물인 돌리는 ‘체세포복제’를 통해 태어났다. 즉 돌리를 탄생시키기 위해 6세 암양의 분화가 끝난 체세포를 채취해 핵을 분리했다. 그리고 다른 암양의 난자를 채취해 핵을 제거한 후 앞의 체세포의 ... ...
제1회 청소년 물리탐구토론대회 - 발표 · 반론 · 평론의 3박자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개최되는 국제청소년물리학자토너먼트(Internation Young Physicists’Tournament, IYPT)에
최초
의 한국 대표로 참가한다. 이번 국내대회는 국제대회 참여팀을 선발하기 위한 것이었다. 때문에 국내 본선대회는 영어로 진행됐다. 참가한 학생들의 영어실력은 뛰어났지만, 토론에 그리 익숙지 않은 상황에서 ... ...
인류
최초
의 발명품 이쑤시개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인류
최초
의 발명품으로 학자들은 이쑤시개를 든다. 물론 인류학자들이 석기시대 사람들이 이쑤시개를 사용했다는 직접적인 증거를 찾아낸 것은 아니다. 그러나 학자들은 초기 인류의 치아에 남아 있는 홈을 분석한 결과 커다란 이쑤시개를 사용한 흔적이 분명하다고 단언한다. 이 홈들은 ... ...
이전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