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침
부침개
앞
전면
전방
앞쪽
이전
d라이브러리
"
전
"(으)로 총 15,844건 검색되었습니다.
[시사기획] 6·25
전
사자 유해 발굴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잘 어우러지면 신원 확인을 위한 결정적인 단서가 나올 수 있다”며 “
전
쟁에서 희생된
전
사자들의 넋을 기리기 위한 과학자로서의 역할을 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Part 2. 알고리즘이 만든 가상 생태계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등 굉장히 다양한 분야를 공부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첨단 과학의
전
쟁터, 게임[Infographic] 게임 엔진의 진화Part 1. 중력부터 마찰력까지, 현실 같은 물리 엔진Part 2. 알고리즘이 만든 가상 생태계Part 3. 1인칭 슈팅게임의 생명 밸런스 디자인Part 4. 게임의 미래 책임질 ... ...
[인터뷰] 이상구 성균관대 입학처장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또한 올해부터
전
형에서 수능 최저기준이 없어졌다.이 입학처장은 “정원 외 특별
전
형과 중복지원도 가능한 만큼 모집 인원과 수능 최저기준을 고려해 다양하게 지원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서울대 공대] 조선해양공학과, 72년의 역사 ‘세계 최고’의 자부심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는 한국이 세계 조선업계 최대 강국이 되기까지 핵심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장을 맡고 있는 김 ... 수준”이라며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에 진학해 세계를 선도하는 조선해양공학연구자의
전
통을 계속 이어나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
[이투스교육] 봉사활동 제대로 하는 세 가지 팁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학교생활기록부 위주의 대입
전
형이 점차 확대되면서 학생들과 학부모들은 ‘자동봉진’이라는 말에 익숙해졌다. 이는 ‘자율 활동’ ‘동아 ... 이런 배움을 평가하고자 하는 대입
전
형이다. 어찌 보면 봉사활동은 학생부종합
전
형의 취지에 가장 부합하는 활동 중 하나라고도 할 수 있다 ... ...
[시사과학 뉴스] 스티븐 호킹, 우주의 별이 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7호
때문에 호킹 박사는 미국 인텔사에서 개발한 특수 장치를 통해 눈을 깜빡여 글을 쓰고,
전
자음을 통해 말을 하게 됐지요. “고개를 들어 하늘의 별을 보라. 당신의 발만 보지 말고.” 호킹 박사는 루게릭병을 진단 받은 뒤부터 본격적으로 연구에 매진했고, 우주과학 분야에 굵직한 연구들을 ... ...
연필과 수학의 필연적 만남
수학동아
l
2018년 07호
글씨를 쓸 때 불편했지요. 지금 우리가 쓰는 연필깎이처럼 기울어진 칼날이 회
전
하며 깎는 방식은 프랑스 수학자 버나드라시몽이 처음 고안했어요. 라시몽은 1828년 최초로 연필깎이의 특허를 냈으나 아쉽게도 상용화 되지는 못했지요. 보통 연필심과 깎인 면이 이루는 각도가 약 20°가 되도록 ... ...
당신의 콧구멍이 ‘그 모양’인 이유
수학동아
l
2018년 07호
100여 년 동안 유
전
학자들이 추측만 하던 문제가 어느 정도 풀렸습니다. 코 모양이 기후와 관련이 있다는 내용인데요. 춥고 건조한 지역에 사는 사람의 콧구멍 ... 발
전
한다면 유
전
자를 진짜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을지도 몰라요. 그날이 오기까지 수학은 유
전
학에서도 계속 바쁠 것 같군요 ... ...
통째로 뒤집어라! 콰트레인먼트
수학동아
l
2018년 07호
걸까요? 수학으로 나타낸 콰트레인먼트시작보드를 도착보드로 만드는 방법을 찾기
전
에 도착보드로 만드는 방법이 있는지부터 알아내야 합니다. 방법이 없다면 아무리 뒤집어봤자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니까요. 방법이 있는지 증명하려면 먼저 콰트레인먼트를 수로 나타내야 합니다. 증명을 ... ...
[Issue] 양서류 흑사병 발원지가 한국?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외국의 개구리도 동일한 면역 수용체를 가지고 있었다.월드만 교수는 세계적인 양서류
전
문가로, 미국 하버드대 교수를 역임하고 2009년부터 서울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그가 이번 연구의 배경과 의미를 뒷장에 직접 설명했다. [영어로 읽어보세요] The Hurdles Frogs Must Jump to Survive Twenty years a ...
이전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