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출세
달성
완수
공로
훈공
공적
d라이브러리
"
성공
"(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저 2만리 과학 3만리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인류를 신비로운 바다 속으로 빠져들게 만드는 소설 ‘해저2만리’. 노틸러스호라는 잠수함을 타고 세계 바다 속을 누비는 네모 선장과 심해에 대해 많은 것을 알고 있는 아로낙스 ... 음파탐지기(SONAR)를 사용해 독일의 잠수함 유보트(U-boat)에 맞서는 대잠수함 작전을
성공
으로 이끌었다 ... ...
챌린저호 폭발 원인은 통계의 오판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자신들의 주장을 뒷받침했다. 과거 기록상 최저 기온(11.7℃)이었던 이날의 발사는 비록
성공
적이었지만 기록상 가장 많은 3곳에서 접합 이상이 발견됐던 것이다.반면 발사를 강행하자고 주장한 사람들은 과거에 발견된 접합 이상의 수와 기온을 나타낸 그래프를 제시했다. 하지만 이 그래프는 기온과 ... ...
문자를 음성으로 듣는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동물들을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관심의 대상이 됐고 실제로 개구리복제가
성공
한 적이 있다고릴라는 등에 회식털이 나 있는(silverback이라고 함) 대장 수컷을 중심으로 40여마리 정도가 무리져 다니는 사회적 동물이다 초식동물인 고릴라는 과일, 쐐기풀, 야생샐러리, 대나무 가지를 ... ...
TV 화면 비율이 4:3이었던 이유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서울에서도 수신이 잘 안됐다. 결국 부의 상징일 뿐이었다. 물론 위성 수신이 가능했다면
성공
했을 것이다.하지만 지금은 디스플레이가 달린 휴대전화가 잘 보급돼 있어 서비스만 제공된다면 누구나 휴대용 TV를 볼 수 있다. 휴대전화 중계기도 곳곳에 설치돼 있어 지상파 DMB 송출이 쉬워졌다. 현재 ... ...
3. 우리 농작물로 만든 위대한 밥상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않고 먹는 김치의 재료인 배추와 무, 고추 등의 작물에서 품질과 생산성을 크게 높이는데
성공
했기 때문이다. 지금은 김치를 계절을 가리지 않고 만들 수 있지만, 예전에는 겨울에만 김치만 담글 수 있었다.배추는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는 작물이다. 따라서 온대지방인 우리나라에는 늦여름에 파종해 ... ...
귀신도 과학적으로 해부해 집필하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공학도에서 스타작가로 변신한 그는 잠시 벤처사업이라는 외도를 하기도 했다. 퇴마록의
성공
덕분에 벌어들인 수십억원을 게임사업에 투자했다. 1995년 자신의 소설을 컴퓨터게임으로 제작하기 위해 회사를 차렸으나 5년 만에 접었다. 굽히기 싫어하는 성격에다 사람을 부리는 수완이 없었기 때문에 ... ...
저항 비켜! 초전도가 뜬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하기도 했다.이 교수팀은 특히 세계 최초로 이붕소마그네슘의 박막과 결정을 제조하는데
성공
했다. 이 과정에서 박막 제조장치와 초고압 신물질 제조장치도 함께 개발했다. 어떤 물질의 초전도 성질을 알려면 그 물질의 순수한 결정이 필요하다.연구단은 스위스, 일본과 함께 이붕소마그네슘 결정을 ... ...
한국 최초의 우주실험은?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스카이랩’에서 거미들은 실패를 거듭하다가 마침내 훌륭한 거미집을 만드는데
성공
했다. 이 실험은 무중력 환경이 생체의 중앙신경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게 목적이었다.무중력 상태에서 타는 불은 어떤 모양일까. 줄기세포는 우주에서 어떻게 증식할까. 사람의 얼굴은 우주생활에서 어떤 ... ...
태권V 날개도 없이 비행하려면?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이착륙을 하는 기술도 개발되고 있다. 특히 1996년 미국의 DC-X 로켓은 비행 실험까지
성공
했다. 길이 12m의 이 로켓은 수직으로 상승해 공중에서 몇 초 동안 머물다가 옆으로 이동한 뒤 다시 땅으로 내려왔다. 총 비행시간은 62초로 짧았지만 태권V와 가장 비슷하게 비행했다. 이 기술이 좀더 발전한다면 ... ...
암흑물질 탐사위성 발진!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암흑물질을 탐지하기 위한 최초의 위성이
성공
적으로 발사됐다.지난 6월 15일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우주기지에서 발사된 ‘파멜라’(PAMELA)란 이름의 이 위성은 우주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암흑물질의 존재를 확인할 예정이다. 파멜라는 양성자와 전자의 반입자인 반양성자와 양전자를 탐지하는 ... ...
이전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