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도
서울시
서울특별시
중앙
도읍
seoul
국도
d라이브러리
"
서울
"(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크램제트 엔진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기술을 확보한 뒤 2011년부터는 탄화수소를 이용한 엔진 개발에 뛰어들 계획이다. 이 밖에
서울
대 기계항공공학부 김규홍 교수팀이 스크램제트 엔진을 연구하고 있다.스크램제트 엔진을 장착한 여객기(상상도) 스크램제트 엔진 여객기는 꼬리날개가 없는 델타익(삼각날개) 형태가 될 확률이 ... ...
Part 2. 멸종의 시계를 멈춰라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년까지 둠벙과 어도가 있는 친환경 농촌으로 만들 계획이다.4. 생물이 이삿짐을 싸는 이유
서울
남산 자락에는 현재 생물이 거의 없다. 산자락에 자리잡은 사람들 때문이다. 원래 생태학에서는 산의 경사가 시작되는 완만한 부분을 ‘산입구(mountain foot)’라고 해서 생물이 살기 좋은 지형으로 본다. ... ...
G20 정상회의 개최로 본 한국 과학기술 경쟁력은 몇위?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11월 11~12일
서울
에서 제5차 G20정상회의가 열렸다. 2008년 세계적인 금융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생긴 G20은 기존의 선진국 정상 모임인 G7에 신흥 12개국과 유럽연합(EU)을 포함시킨 모임이다. G20의 일원이 됐다는 사실은 우리나라의 경제력이 그만큼 높아졌다는 뜻이다. 그런데 이렇게 경제가 발전하는 ... ...
핵융합 및 플라스마 공학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반도체 회사에서 플라스마를 이용한 반공정 설비에 관한 일을 할 수 있다. 취재 한마디
서울
대 원자핵공학과 3학년에 재학 중이다. 핵융합 플라스마는 영구적인 미래의 에너지원을 찾는 매력적인 학문이다. ... ...
물리학의 새길 개척한 모혜정 교수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여성가족부장관상
서울
은광여고 2학년 윤세영최초라는 수식어가 붙는 창조적 지성들부터 시대의 아이콘 스티브 잡스까지, 평범함을 뒤엎는 발자취는 우리 삶에 지표를 던진다. 그들은 세상을 이끄는 변화의 선두에 서서 모두가 안 된다고 한 일을 추진했다. 고집을 굽히지 않고 결국 자신의 주장이 ... ...
자기치료물질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이 방법은 한국 연구팀도 개발에 참여했다. 아이다 다쿠조 도쿄대 교수는 이명수
서울
대 화학부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이 같은 자기치료물질을 개발해 올해 초 ‘네이처’에 논문을 발표했다. 아이다 교수팀은 연구전체를 주관하고, 이 교수팀은 전자현미경으로 물질의 3차원 구조를 분석하는 ... ...
Part 1. 한의학은 과학이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한약 복용량으로는 별 문제가 없다고 봅니다.”천연물에서 약효물질을 찾는 연구를 하는
서울
대 약대 이상국 교수의 말이다. 물론 한약재 가운데는 부자나 파두 같이 독성이 강한 것이 있지만 이 역시 오랜 세월에 걸쳐 대부분 밝혀졌기 때문에 한의사들이 주의해서 쓰고 있다는 것. 사실 약물의 ... ...
이 시대 진정한 미인은 누굴까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고현정, 심은하, 김희선처럼 청순하고 순수한 개성을 가져야 미인으로 꼽혔다.
서울
대 의대 성형외과학교실 최태현 교수는 “최근에도 미인에 대한 기준이 달라지고 있다”며 “2000년대에는 전지현이나 이효리처럼 섹시한 여성이, 2010년 현재는 소녀시대와 한가인처럼 귀엽고 어려 보이는 외모가 ... ...
노력은 열정에 비례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해보렴. 나중에 그런 과정을 모아서 입학사정관에게 이야기하면 돼.” K학생은 최근에
서울
을 벗어나 전원주택으로 이사왔다. 자연과 더불어 사는 건 좋지만, 학원이나 교육 여건은 안 좋아졌음을 느낀다. 답답함을 느끼는 K학생에게 선생님은 단점도 장점으로 바꿔보라는 충고를 했다. “집 ... ...
Part 2. 과학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박사가 경락을 해부학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세운 이론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소광섭
서울
대 물리학부 교수가 연구하고 있다. 소 교수는 흰쥐의 혈관 안에서 알 수 없는 봉오리와 관을 발견하고 이것이 경락이라는 또다른 순환계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 관이 실제로 경락과 일치하는지 어떤 ... ...
이전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