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숨
수명
삶
인생
생애
명
생계
d라이브러리
"
생명
"(으)로 총 5,709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러스 찾아내는 나노기술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검출해낼 계획이다.또다른 새로운 바이러스 검출 장치로는 나노 칩이 있다. 미국의
생명
공학기업인 바이오포스사와 아이오와 주립대, 디모인대 공동연구팀은 가로세로 6mm인 실리콘 칩 표면에 수백종류의 바이러스 특이 항체들을 심은 ‘비리칩’(ViriChip)을 개발했다. 비리칩에 혈액 한방울만 ... ...
아빠없이 태어난 쥐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다음, 4-5일 된 배반포기 단계에서 줄기세포를 분리하는데 성공한 바 있다. 같은 해 마리아
생명
공학연구소의 박세필 소장도 정자와 수정하지 않은 쥐의 난자를 분화시켜 줄기세포를 얻었다고 발표했다. 당시 박 소장은 이 줄기세포를 심근세포로 분화시키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미수정란을 배아로 ... ...
위암·간암 실체를 벗긴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생물의 다양한 형태와 기능은 단순히 유전자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유전자의 산물인 단백질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에 의해서도 결정된다. 암과 같은 질병도 한두개의 유전자가 아니라 수십-수백개의 유전자가 관여하고 있다. 따라서 개별적인 질병 원인 유전자의 발굴과 함께 이들이 어 ... ...
창의력과 끼로 승부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학문간 경계가 이미 허물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면서 “이제 정보기술의 도움없이
생명
을 연구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 이라고 말한다.학문간 융합은 시대적 대세 바이오시스템학과의 또다른 비밀병기는 건물 지하에 자리잡고 있다. 청정도 99.9% 이상의 깔끔한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70평 ... ...
실내공기를 조심하라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임산부 등 저항력이 약한 사람들의 경우 발병 가능성은 더높아진다.실내공기 오염은
생명
에 직접 지장을 주지는 않지만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만은 틀림없다. 국내 연구결과 알레르기성 비염의 원인이 공기중에 떠도는 포름알데히드 때문이라는 사실이 이미 밝혀졌다.40만명 이상으로 추산되는 ... ...
개성만점 별난 나무목재 이야기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하지만 이제부터 나무도 다 같은 나무가 아니다. 나무들 사이에도 나름대로 품격이 있다.
생명
에 귀천은 없지만 죽어 원목이 되면 신분이 갈리는게 나무의 운명이라면 운명. 하지만 꼭 비싼 나무가 좋은 원목이라고 대우받는 것은 아니다. 우리 주변에 숨어있는 개성많고 별난 나무들의 세계로 ... ...
지구촌, 여성 과학자 우대 바람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늘고 있으나 고위직으로 올라갈수록 여성의 비율은 여전히 매우 낮다고 밝혔다.현재
생명
과학 분야에서는 과학자의 45%가 여성이며, 화학은 30%, 물리학은 20%, 공학은 17%다. 하지만 중요 결정을 내리는 간부나, 정교수 직책으로 올라갈수록 그 비율이 급격히 줄어들고 봉급에서도 차이가 크다.과학자 ... ...
10. 2억년 후 한반도는 초대륙의 중심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이 지도는 외계인의 지구정복에 과연 쓸모가 있을까?지구의 땅덩어리는 살아있는
생명
체처럼 끊임없이 움직인다. 그 속도는 연간 수십mm 정도로 우리의 손톱이 자라는 속도와 비슷하다. 인생은 길게 잡아 1백년 정도로 짧아 이를 느끼기가 어렵지만 말이다. 따라서 2억년이 지난 후 지구의 모습은 ... ...
무쇠솥으로 지은 밥은 왜 맛있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선조들은 밥을 단순히
생명
유지 수단으로만 여기지 않았다. ‘밥이 보약’이란 말도 여기서 왔을까. 상차림이 부실해도 맛깔스런 밥 한사발이면 족하다란 표현은 그리 낯설지 않다. 우리네 입맛이 밥맛 하나에 이토록 민감한 까닭은 어디에 있을까. 손맛이 반찬맛을 좌우한다면 밥맛을 결정짓는 ... ...
대중에게 다가서는 뇌과학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강연회가 더 의미있는 것입니다”라며 자부심을 나타냈다.뇌기능연구사업단장인 서울대
생명
과학부 김경진 교수는 “뇌연구의 발전으로 신경윤리학이 대두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기억력이 떨어진 노인에게 기억항진제를 주는 것에는 아무도 반대하지 않는다. 그러나 공부를 많이 해야 하는 ... ...
이전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