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용"(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혈당과 안압, 콘택트렌즈로 한 번에 본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측정할 수 있게 된 것이다.이 센서는 무선으로 신호를 전달하고 충전하는 안테나를 사용하기 때문에 배터리 없이 작동한다. 연구팀이 살아 있는 토끼의 눈에 이 렌즈를 적용해서 실험한 결과, 렌즈가 변형되거나 눈물 속에 이물질이 들어 있어도 혈당과 안압을 제대로 측정했다. 박 교수는 ... ...
- [과학뉴스] 비밀 임무 수행하고 2년 만에 우주에서 돌아온 X-37B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플랫폼 기술을 검증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X-37B가 적국을 감시하는 군사용 스파이위성이거나 무기를 우주로 운반하는 운송수단일 수 있다고 추정했다. 새로 개발 중인 우주비행선 추진 장치인 전자기파 추진기(EmDrive)나, 홀 효과 추진기(Hall-effect thruster)를 시험할 목적이라는 ... ...
- [과학뉴스] 고인류 호모 날레디, 현생 인류와 공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두고 갔다는 가설에 무게가 실리게 됐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호모 날레디가 도구를 사용했을 가능성도 제시했다.연구 결과는 학술지 ‘이라이프’ 5월 9일자에 세 편의 논문으로 실렸다.doi:10.7554/eLife.24231, doi:10.7554/eLife.24232, doi:10.7554/eLife.2423 ... ...
- [Future] 누나 드론 차 뽑았다, 널 데리러 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소모된다. 일반 항공기나 헬리콥터에서 쓰는 엔진을 달면 소음이 커서 주거지역에서는 사용하기 어렵다. Flying Car 무한도전 1 드론에 사람을 태우자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늘을 나는 개인용 비행기를 만들겠다는 꿈을 버리지 않은 사람들이 있다. 구글의 공동창업자인 래리 페이지가 그 중 한 ... ...
- [Future] 새롭게 주목 받는 ‘환경 곤충’, 플라스틱 먹는 애벌레과학동아 l2017년 06호
- PE를 에틸렌글리콜로 분해한 것이다. 알코올의 일종인 에틸렌글리콜은 부동액에 주로 사용하는 물질로, 독성이 있어서 먹으면 인체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힐 수 있지만 자연적으로 쉽게 분해된다. 연구팀은 PE를 분해하는 효소가 애벌레의 침샘이나 장내 공생세균에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효소를 찾는 ... ...
- Part 1. 음악, 수학을 만들다수학동아 l2017년 06호
- 구할 수 있다. 표에서는 세 가지 방법을 모두 한 번씩 사용했지만, 실제로는 각 방법을 사용하는 비율을 달리하며 더 쉽게 최적해를 찾는다. 복잡한 문제 풀 때 유용해계산이 지나치게 오래 걸리는 문제나 답을 찾는 방법이 밝혀지지 않은 복잡한 문제를 풀기 위해서다. 하모니 서치와 같은 최적화 ... ...
- [Issue] 슈퍼박테리아 비상, 그런데… 한국엔 재래식 무기만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한국과 이탈리아가 1위로 31.5DDD(의약품 규정 1일 사용량)를 기록했다. 이는 하루에 국민 1000명 당 31.5명이 항생제를 처방 받는다는 의미다.이 팀장은 “조금만 아파도 약을 먹는 습관도 문제지만 아프다가 조금 괜찮아졌다 싶으면 스스로 약을 중단한다. 이건 ... ...
- [Career] 사람과 컴퓨터를 잇는 다리를 만든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있는 단어들을 하트 모양으로 배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서 교수는 이 단점에 주목했다. 사용자가 레이아웃을 정할 수 있고 단어의 크기나 위치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새로운 도구를 개발했다. 더구나 한글도 가능하다. 서울대 미술관(MOA) 1층에는 서 교수의 방에 있는 것과 같은 디스플레이 ... ...
- Part 2. 세계 최초의 빵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남아 있다』 물론 인도의 난이나 그리스의 피타, 이탈리아 피자를 구울 때에도 화덕을 사용한다. 하지만 화덕 생김새가 비슷할 뿐, 굽는 방식이 전혀 다르다. 오늘날의 화덕은 불에 반죽이 직접 닿지 않고 열이 간접적으로 전달된다. 하지만 고대 이집트에서는 대개 반죽이 불에 직접 닿도록 했다.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이 합쳐진 한자어예요. 물결처럼 일렁이는 파동의 모양을 뜻하죠. ‘주파수’에서도 사용된 ‘물결 파(波)’는 뜻을 나타내는 ‘물 수(氵)’와 음을 나타내는 ‘가죽 피(皮)’로 이뤄져 있어요. 이 둘의 뜻을 합치면 물의 표면에 생기는 파도, 또는 물결이라는 뜻이 되죠. 음인 ‘피’는 현재 ... ...
이전3663673683693703713723733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