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일"(으)로 총 8,011건 검색되었습니다.
- 무엇이든 바꿔 주는 함수수학동아 l2010년 04호
- 집합의 뿌리를 찾아서 여행하고 돌아오다 그만 길을 잃고 말았어요. 길을 가도 가도 여기가 어딘지 모르겠어요. 어쩌죠? 아! GPS~! 인공위성을 이용해 내 위치를 알려 주는 똑똑한 GPS가 있었지. 휴대폰에 GPS 기능이 있었는데…. 이제 쉽게 길을 찾을 수 있겠어요. 수학동아 친구들, GPS에도 함수의 원리 ... ...
- 우리 천문학자, 허블우주망원경을 만나다과학동아 l2010년 04호
- 허블우주망원경과 생일이 같은 천문학자“음력 생일이 4월 24일이죠. 음력이지만 허블우주망원경이랑 생일이 같은 셈이죠. 태어날 때부터 천문학자가 될 운명이었나 봅니다.”1990년 이른 봄이었다. 한 젊은 천문학자가 미국 캘리포니아 주 패서디나 북동쪽에 위치한 윌슨산 천문대(현 카네기 천문 ... ...
- 한방과 양방으로 다스리는 척추측만증과학동아 l2010년 04호
- 군살 없이 마른 사람이 미인인 시대는 끝나고 이제는 적당히 곡선이 있는 몸매, ‘S라인’ 몸매가 인기를 끌고 있다. 누구나 S라인을 갖고 싶어서 안달이지만, 사실 모든 사람은 길쭉한 S라인을 갖고 있다. 바로 척추다. 척추는 정면에서 보면 일자이지만 측면에서 보면 등뼈가 뒤로 굽어 있는 S자 형 ... ...
- 생명의 비밀을 푸는 열쇠, 동적평형과학동아 l2010년 04호
- ‘생명체’란 무엇일까. ‘살아 있다’는 말은 무슨 뜻일까.저자는 이해하기 어려운 생명의 비밀을 ‘동적평형’이라는 개념으로 속 시원하게 파헤쳤다.‘동적평형(動的平衡)’은 글자 그대로 동적인 가운데 평형을 유지하는 것, 즉 움직이는 평형 상태를 뜻한다. 반대어가 한 단어 안에 들어 있어 ... ...
- 부끄러울 때 쥐구멍에 숨고 싶은 이유과학동아 l2010년 04호
- 흔히 어떤 잘못을 저질러서 창피하고 부끄러울 때 “쥐구멍에 숨고 싶다”는 말을 한다. 쥐구멍은 말 그대로 쥐가 드나드는, 벽이나 바닥에 나 있는 작은 구멍이다. 사람이 들어가기에는 턱없이 작을뿐더러 내부는 어두컴컴하고 칙칙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발적으로 쥐구멍에 들어가겠다고 하 ... ...
- 천 년 전 경주의 밤하늘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0년 03호
- 3월 21일 오후, 경주 대능원 입구에 사람들이 하나 둘씩 모인다. 한국천문연구원 소속 천문학자들이 자리를 잡더니, 뒤따라 고천문의기 복원 전문가인 충북대 이용삼 교수가 도착한다. 여기에 아마추어천문가 김지현 씨가 합류하니 고요하던 첨성대 주변이 금세 분주해진다. 이들은 현존하는, 동양 ... ...
- 현재의 과학적 상상력은 왜 과거만 못할까과학동아 l2010년 03호
- “2040년 지구는 대단히 첨단 지향적으로 변모했다. 인간의 과학기술이 상당히 발전해 모든 일을 로봇이 해주고,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 덕분에 집안에서 컴퓨터로 모든 일을 해결할 수 있다. 지금과 다른 사회 시스템, 사고방식이 등장했다. 인간의 과학기술에 대한 끝없는 믿음이 그 속에 자리하고 ... ...
- “주어진 환경 고려해 우수한 학생 선발할 것”과학동아 l2010년 03호
- 올해 서울대 입시의 가장 큰 변화는 무엇인가?지역균형선발전형에 입학사정관제가 도입된다. 지원 자격은 현행대로 고등학교별 3명으로 동일하나 1단계에서 2배수를 선발하며, 2단계에서 입학사정관이 서류와 면접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합격자를 선발한다. 또한 기회균등선발특별전형은 모집인원 ... ...
- 기초 학업 위에 스펙 뒤따라야과학동아 l2010년 03호
- 최근 대학 입시 뉴스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단어가 바로 ‘입학사정관제’다. 2008학년도부터 시범 시행된 입학사정관제는 국내 입시에 빠르게 확산되며 선발 인원도 늘고 있다. 2010학년도에는 총 90개 대학 2만 6000여 명이 입학사정관제로 선발된 데 이어 2011학년도에는 105개 대학 3만 7000여 명이 ... ...
- 국산 기술로 시속 300km 달린다과학동아 l2010년 03호
- 3월 2일부터 서울 부산 구간을 운행하게 될 KTX-II는 요즘 철도의 대세인 초고속이라는 첨단 콘셉트에 다양한 편의시설을 두루 갖췄다. 최고 시속은 기존 KTX와 마찬가지로 330km. 하지만 시속 300km까지 도달하는 시간이 316초로 현재 운행 중인 KTX보다 49초나 단축했다. 산천어 형상을 한 앞머리 부분이 공 ... ...
이전3663673683693703713723733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