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디엔에이
유전자
스페셜
"
DNA
"(으)로 총 618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백신 국내 첫 임상 최준용 교수 “내년 상반기 3상 완료 목표”
동아사이언스
l
2020.06.19
다르다. 코로나19 바이러스 표면의 스파이크 단백질(항원)을 만들 수 있도록 재조합한
DNA
를 인체에 주입해 중화항체 형성 및 면역반응을 유도한다. 지난 11일 국내에서 처음으로 신속 심의를 통해 임상윤리심의위원회(IRB)의 임상 승인을 받았다. 최 교수는 “올 9~10월쯤 임상1상 결과가 ... ...
'감염 안됐는데 양성?' 코로나19 위양성 사례 자꾸 나오는 이유
2020.06.17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PCR 장비가 알 수 없는 원인으로 존재하지도 않는 바이러스
DNA
염기서열을 확인할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김상경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분자인식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은 “PCR 장비로 실험하다 보면 꾸준히 양성 판정이 나올 수 있는 유전자 증폭이 일어나는데 ... ...
마이크로RNA 분석 기술 코로나19 진단에 활용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6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코로나19와 같은 고위험 바이러스는 RNA를
DNA
로 만드는 과정인 ‘역전사’와 유전자를 증폭시켜 진단하는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한다. 정확도가 어느 정도 검증된 우수한 방식이지만 5종 이상의 유전자를 한번에 분석하기는 어려웠다. ... ...
제넥신, 코로나19
DNA
백신 임상 1상·2a 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6.11
카이스트, 포스텍 등으로 꾸려진 컨소시엄에서 개발한 코로나19
DNA
백신이다.
DNA
백신은 먼저 핵산을 몸속에 넣어 항원을 만들게 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항원이 면역반응을 유도한다. 이 방식은 게놈 정보를 알면 빨리 만들 수 있고 안전해 널리 연구되고 있다. 연구팀은 지난 3월 개발을 마치고 ... ...
”난간에 묻은 바이러스
DNA
, 10시간이면 병원 절반에 퍼져...5일 뒤에도 생존”
동아사이언스
l
2020.06.08
다만 검출되는 장소는 18곳으로 다소 줄었다. 연구팀은 “한 장소에 있던 바이러스
DNA
는 직원이나 환자, 방문객과 접촉하면서 빠르게 전파됐다”며 “코로나19 환자의 경우 기침을 하거나 표면을 만지면서 한 장소가 아닌 여러 곳에 바이러스를 뿌릴 것이므로 확산속도는 더 빠를 가능성도 ... ...
[게놈과 인류사]3500년 전 우물서 생을 마감한 그녀에게 무슨 일 있었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6.01
밝히는 ‘고(古)유전체학’은 최근 20여 년간 발전한 새로운 학문이다. 화석에 남은
DNA
염기 파편을 미생물 등 오염을 피해 추출해 읽어들인 뒤 복원한다. 초기에는 동물 화석과 친척인류 네안데르탈인 등의 세포 내 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 게놈을 해독하며 가능성을 보였고, 2010년 5월 스반테 패보 ... ...
[표지로 읽는 과학]암세포 내부의 미생물 다양성을 밝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31
서열에 형광 표지를 붙여 확인하는 형광동소보합법(FISH) 등의 기술을 이용해 박테리아의
DNA
와 RNA를 확인해 세균(박테리아)의 종류와 비율, 서식 위치 등을 조사했다. 그 결과 미생물은 암 조직 내에서도 암세포 내부와 면역세포 내부에 주로 서식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암세포인지 면역세포인지 ... ...
[표지로 읽는 과학] 14만 명의 유전자 지도, 유전질병 잡는 해답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5.30
활용해 점돌연변이와 같은 작은 변이뿐 아니라 염기서열 50~100개 정도로 긴 범위의
DNA
가 바뀌는 구조 변이도 관찰했다. 질병과 관련한 유전자 기능 문제는 이런 긴 조각 전체가 떨어져 나가거나 중복 혹은 대체되는 구조 변이에서 오는 경우가 많다. 연구팀은 이러한 변이가 가능한 영역 44만 3769개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리의 상대성 이론에 관하여
2020.05.26
사실이 드러났다. 폴리콤복합체 일원이 셋이나 포함돼 있었다. 폴리콤복합체는 게놈에서
DNA
와 단백질로 이뤄진 구조인 크로마틴의 상태를 조절하는 역할을 해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폴리콤복합체 유전자의 하나로 전사인자인 CBX7은 특정 영역의 크로마틴을 뭉치게 해 해당 ... ...
[표지로 읽는 과학] 현생인류-네안데르탈인 '문화 교류' 근거 제시한 장신구
동아사이언스
l
2020.05.23
뼈의 콜라겐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복원하고 화석 속에서 미토콘드리아
DNA
를 추출한 뒤 해독해 종을 파악했다. 방사성탄소동위원소 측정법으로 지층의 연대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화석의 생존 연대까지 측정했다. 그 결과 화석의 주인공이 기존 추정보다 최소 수천 년 앞선 약 4만3650~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