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완료
마무리
성숙
원숙
완비
완벽
스페셜
"
완성
"(으)로 총 506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로 가는 기업들]①3억원에 위성 쏜다…소형위성 발사시장 장악한 민간기업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6
앞으로 300~450㎏에 달하는 위성을 약 200~2000km 높이의 지구 저궤도에 올려보내는 기술을
완성
할 계획이다. 공중에서 우주발사체를 쏘아 올리려면 육중한 로켓과 위성을 싣고 하늘을 안정적으로 날 수 있는 대형 항공기가 필요하다. 버진오빗은 모회사인 버진 갤럭틱이 보유했던 보잉 747 기종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팔 잘린 사람은 손목 잘린 아픔을 모른다
2018.09.08
두려움의 영향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아직 미
완성
인 과제보다 이미
완성
한 과제의 어려움을 다소 평가절하하는 현상도 나타난다. 현재진행형 어려움이 아닌 이미 지나버린 어려움은 금방 잊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타인의 비슷한 고통을 바라볼 때 역시 자신은 시간이 지나서 해당 ... ...
[강석기의 과학카페]머리 큰 사람 vs 작은 사람, 뇌 구조도 다르다
2018.06.05
것 같지만 성장 과정을 보면 그렇지도 않다. 뇌는 생후 급격히 커지고 10세 무렵에 성장이
완성
되지만 키는 사춘기에 훌쩍 큰다. 즉 뇌의 성장과 몸의 성장이 따로 일어나기 때문에 상관관계가 약한 것이다. 남녀에서 평균 뇌용량과 평균 키가 비례관계인 것에 대한 의미는 뒤에서 논한다. 뇌용량과 ... ...
남북 표준 단위 체계도 통일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5.03
향상을 위한 분석과 대응 방안을 마련해 실시할 계획이다. 보다 향상된 측정과학기술을
완성
하면 한반도 내 미세먼지나 온실가스 등 환경문제뿐 아니라 천연자원탐사 등에서 남과 북이 공동으로 대응해 갈 수 있으리란 전망이다. 김정은 위원장이 판문점회담 이후 언급했던 표준시에 대한 ... ...
일단 '시간통일'부터? 남북한 표준시 다른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8.04.29
서울이나 평양의 실제 시간과는 8시간 30분 정도 차이가 있다. 세종대왕 때인 1437년
완성
된 해시계 앙부일구는 서울 종묘 남쪽 인근에 설치되었는데, 이 시계에 나타난 시각 역시 UTC+0과 8시간 28분의 차이가 있다. 국립고궁박물관에 전시 중인 앙부일구 우리나라가 처음 표준시를 정한 것은 1 ... ...
기술력 최고인 남한, 광물자원 풍부한 북한
과학동아
l
2018.04.26
지질 및 광물자원 분야에서 남북의 협력은 한반도의 형성 과정을 지질학적으로 규명해
완성
시킨다는 학문적인 의미도 있다. 지질학적 연구는 광상을 형성하는 환경을 이해할 수 있는 토대가 되는 만큼 이는 곧 새로운 광물자원을 확보하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는 의미가 된다. 고 단장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이란?
2018.03.31
않으면 충분히 막을 수 있는 범죄임을 시사하는 결과다. 폭력을 행사하기 위한 덫을
완성
해가는 과정은 작은 것들로부터 시작된다. 아래 체크리스트를 살펴보자 (UC Davis Health). 당신이 : - 파트너가 종종 두렵게 느껴진다. - 나는 파트너에게 나쁜 대접을 받아도 싸다는 생각이 든다. - 내가 이상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 시대를 풍미한 과학자 스티븐 호킹을 기리며...
2018.03.14
“돈을 벌어 딸의 학비를 대자”는 것도 이 책 집필의 이유라고 쓰고 있다. 1984년 초고가
완성
됐지만 숱한 우여곡절을 거쳐 1988년에야 출판됐는데 즉시 베스트셀러에 올랐고 40개 언어로 번역돼 천만 부 넘게 팔렸다. 이 현상에 대해 호킹은 “내가 장애를 딛고 이론물리학자가 되기까지의 흥미로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이 많은 감귤류는 다 어디서 왔을까
2018.02.27
서열이 알려진 감귤류 28가지에 새로 30가지의 게놈을 해독해 감귤류의 가계도를 거의
완성
한 것이다. 감귤류 58가지의 게놈을 토대로 추정한 감귤류의 기원과 분화, 전파경로를 보여주는 지도다. 이에 따르면 중국 남서부와 미얀마, 히말라야 동부가 출발점이다. -네이처 제공 게놈을 비교해 ... ...
[표지로 읽는 과학] 극저온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RNA 중합 효소의 모습
동아사이언스
l
2018.01.21
013년 새로운 전자탐지기의 도입으로 극저온전자현미경(Cryo-EM)이
완성
되면서 생화학 분야에서는 그야말로 ‘극저온전자현미경’ 시대가 열렸다. 생체리듬을 조절하는 단백질이나, 귀에서 압력 변화를 느껴 읽고 듣게 도와주는 센서 분자, 지카 바이러스 등의 구조가 극저온전자현미경 기술 덕분에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