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각
착상
의견
발안
착안
창조력
창의력
스페셜
"
아이디어
"(으)로 총 622건 검색되었습니다.
"빨지 않는 옷 가능할까?" 노벨상 받은 연구도 이렇게 시작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8
연구한 사람들 덕분에 이뤄질 수 있었다”며 “KAIST도 10~20년 동안 교수를 평가하지 않고
아이디어
를 지원하는 ‘특이점 교수’ 제도를 운영해 이를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KAIST 제공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브라헤와 케플러
2019.10.17
셈이다. 다른 행성들이 지구가 아니라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한다는 발상은 분명 진전된
아이디어
이지만 코페르니쿠스의 태양중심설이 나온 이후에도 당대 최고의 천문학자조차 지구가 움직인다는 생각을 받아들이기 어려웠던 모양이다. 요하네스 케플러와 튀코 브라헤 브라헤의 갑작스런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철학 없는 기초과학의 몰락
2019.10.11
바로 은하도시입니다. (생략) 우리에게는 열정이 있습니다. 전문적인 지식도 있습니다.
아이디어
도 있고 자신도 있습니다. 이제 우리나라에서도 기초과학이 '퀀텀점프(Quantum Jump)'를 할 수 있도록 우리 모두 힘을 모아야 할 때입니다." -민동필 서울대 명예교수 ‘은하도시포럼 설립 취지’ 중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우주 구조 연구의 설계자, 제임스 피블스
동아사이언스
l
2019.10.09
참가하다보면 인상적인 상황을 종종 마주치곤 한다. 인상적인 강연과 훌륭한
아이디어
, 콘퍼런스의 매력적인 분위기가 기억에 남는다. 하지만 같은 공간에 두 사람이 함께 있는 사실만으로도 잊혀지지 않을 기억으로 남는 사례도 있다. 2002년 미국 산타바바라에서 열린 '우주론 미래의 ... ...
우주의 구조와 진화 과정 계산하는 물리우주론, 노벨상을 거머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08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이론을 완성했다. 그는 이론으로만 떠올릴 수 있는 우주에 대한
아이디어
를 실제 관측 데이터와 연결짓거나 수학적 계산을 통해 확인했다. 현재의 물리우주론에서는 우주를 우주상수와 차가운 암흑물질을 이용해 설명한다. 우주는 빅뱅 이후 가속 팽창하고 있으며 그 증거로 ... ...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공적
동아사이언스
l
2019.10.08
1960년대 중반 이후 만들어진 그의 이론적 틀은 현재 우리가 가지고 있는 우주에 대한
아이디어
의 기초가 됐다. 빅뱅 모델은 140억년 전 매우 뜨겁고 밀도가 높았던 최초의 우주를 설명한다. 빅뱅이 일어난 그 이후 우주는 확장되어 점점 더 추워졌다. 빅뱅 이후 약 40만년이 지나고 우주는 X선이나 ... ...
노벨물리학상에 빅뱅이론 뒷받침한 이론가·외계행성 발견한 과학자들(종합)
2019.10.08
“제임스 피블스 교수는 현대 우주론의 토대가 된 빅뱅이론이나 우주배경복사에 대한
아이디어
를 낸 분은 아니지만 빅뱅이론으로 나오는 이론들을 검증할 수 있는 물리적 연결고리를 정립한 과학자”라며 “현대 우주론에 따르면 우주 전체에서 알려지지 않은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가 약 95%를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혁명의 시작
2019.10.03
체계에서 지구와 태양의 위치를 바꾸는 것이었다. 코페르니쿠스는 자신의 이 놀라운
아이디어
를 정리해 1510년 무렵 '소논평'이라는 약 6쪽 분량의 짧은 원고를 썼다. 이 원고는 지인 등에게 뿌려졌다. 태양이 우주의 중심이라는 태양중심설에서는 지구가 태양주위를 공전할 뿐만 아니라 지구 ... ...
[과학게시판] 스마트도시 서비스 인증제도 설명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9.09
9일 밝혔다. 굿모닝사이언스 조찬포럼은 과학기술계 오피니언 리더와 현장 연구자들의
아이디어
를 공유하는 자리다. 이번 포럼은 정지훈 경희사이버대 교수가 '미래의료와 디지털 헬스케어'를 주제로 진행될 예정이다. ■국가수리과학연구소는 오는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에디슨이 4시간만 자도 버틸 수 있었던 이유
2019.09.04
사람들도 논문이나 책에서 에디슨을 비난하는 관행을 버려야 하지 않을까. “내 최고의
아이디어
들은 잠을 푹 잔 뒤에 나왔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