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스페셜
"
바로
"(으)로 총 374건 검색되었습니다.
“암 정복보다 중요한 건 ‘행복한 삶’이죠”
동아사이언스
l
2012.08.13
그는 이어 “불확실한 게 너무 많다는 걸 알면 겁이 나서 도전할 수 없는 분야가
바로
생명공학이지만 그 때문에 흥미로운(exciting) 분야”라며 “수영장 근처를 걸어 다닐 수만은 없으니 언젠가는 뛰어들어야 한다”고 새로운 도전을 권했다. 김성호 교수의 ‘이것만은 꼭!’ △새롭고 차별화된 ... ...
“‘원숭이’가 우리를 살릴 것!”
동아사이언스
l
2012.01.24
대응하겠다는 것이 연구소의 계획이다. 안전성연이 주목하는 연구개발 시장은 또 있다.
바로
‘환경독성’ 연구 분야다. 지금까지 ‘독성평가’는 사람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하지만 화학물질이 생태계에 미치는 독성도 평가를 마쳐야 한다. 인간에겐 해가 없다고 해도 식물, 조류, 어류 등 ... ...
“암덩어리에 BT발전 열쇠가 있죠”
동아사이언스
l
2011.12.13
센터장이기도 하다. 김 교수는 이렇게 바이오뱅크를 운영하며 겪는 가장 큰 문제는
바로
‘윤리’다. 수술만 끝나면 버려지거나 태워버려질 살덩어리니 쉽게 허락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수술 후 검체 기증을 흔쾌히 기증하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는 것이 김 교수의 ... ...
“연구는 고정관념과의 전쟁”
동아사이언스
l
2011.11.07
끊임없이 고정관념에 도전하라”고 충고했다. 마셜 박사는 인터뷰
바로
전날 입국해
바로
카이스트와 포스텍을 방문해 ‘노벨상, 그 이상으로 가는 길: 인간 대 헬리코박터파일로리(The Road to the Nobel Prize and Beyond: Man versus Helicobacter pylori)’란 주제로 강의를 했다. 입국하자마자 헬기로 이동할 정도로 ... ...
“국내 신약개발, 사업화 역량만 키우면 승산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1.11.01
역량을 키우기로 마음먹었기 때문. 그런 장 센터장에게 올 해 4월부터 주어진 임무가
바로
오송 첨단의료복합단지에서 신약개발 파트를 총괄하는 일이다. 장 센터장은 먼저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과 대학, 국내 정부출연연구기관과의 협력 문제에 대해 언급했다. “그동안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
"발전 가능성 높은 바이오화학 분야 적극 육성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8.02
많이 확충됐지만 예전 같은 정부지원은 거의 없다. 지원 규모에 비해 눈에 띄는 성과가
바로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정 본부장은 “그래도 태동기에 정부가 전폭적으로 지원한 결과 현재 민간 투자로 시스템이 돌아가면서 바이오산업이 성장하고 있다”며 “앞으로는 바이오화학에서 이 같은 일이 ... ...
한국 바이오 기업이 주목해야할 미국 바이오 분야의 특징들
동아사이언스
l
2011.07.20
김병수 박사도 여기에 동의했다. 김 박사는 “한국과 일하면서 가장 바뀌었으면 하는 게
바로
그 점”이라며 “벤처를 창업하고 2년쯤 지난 시점에서는 전문경영인이 맡는 게 낫다”고 말했다. 좌담회를 주관한 현병환 센터장은 “미국의 한인 바이오 네트워크들이 한국의 산학연 기관과 활발히 ... ...
“바이오 연구, 심경법 처럼 농업 혁명 가져올 것”
동아사이언스
l
2010.09.07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재단을 만든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1년간 중점을 뒀던 일은
바로
이미 개발한 종자와 종료를 농업인에게 제공한 것이다. 전 이사장은 “농가의 수익을 높여주기 위해서 특수미 등 기능성 쌀의 씨앗을 증식하고 보급했다”며 “이러한 특수미를 재배하면 약 30% 정도 ... ...
“국가 연구 개발은 참을성 갖고 지원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0.08.24
실용화 수준에서 보기에는 초기단계인 원천 기술에 대한 부분이 많다고 말했다. 더러는
바로
산업화 할 수 있는 품목도 있지만 대체로 오랜 시간 ‘뜸’을 들여야 하는 연구가 더 많다는 것이다. 다만 이러한 연구가 한 단계에서 멈추지 않고 지속적으로 진행되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송 ... ...
“BT 기초연구 튼튼해야 상용화도 가능해”
동아사이언스
l
2010.08.10
정책방향에 대해서도 일침을 놓았다. 오 교수는 “당장 돈이 되는 연구를 한다고 해서
바로
상용화 할 수 있는 건 아니며 특히 BT분야는 더욱 그렇다”면서 “신약을 개발한다고 해도 표적물질에 효과적인 효소를 알아야 상용화를 할 수 있는 만큼 기초가 튼튼해야 상용화도 가능하다는 사실을 잊지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