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튜브"(으)로 총 381건 검색되었습니다.
- 헉! 원통형이라던 탄소나노튜브가 나선형이라니과학동아 l2014.06.09
- 특성을 제어할 수 없었던 이유는 구조상 결함이 있었기 때문”이라며 “탄소나노튜브로는 전자소재를 만들 수 없다”고 설명했다. 대신 그는 “원통형일 때는 90도 이상 구부러질 수 없지만 나선형은 좀 더 자유로운 가공이 가능하다”며 “고강도 복합소재 등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 ... ...
- ‘마법의 렌즈’면 머리카락보다 625배 작아도 보여요과학동아 l2014.05.18
- 각각의 선이 막대 모양으로 선명하게 구분돼 잘 보인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탄소나노튜브 하나하나가 모니터의 단위 픽셀처럼 작동해 이미지를 촬영한 셈이다. 160nm는 머리카락 굵기의 625분의 1 정도로 극도로 작다. 최 센터장은 “광섬유로 이뤄진 내시경과 원리가 비슷하다”면서 “이 ... ...
- 나뭇잎에 '이것' 붙여 유해물질 측정과학동아 l2014.05.11
- 지녔다. 게다가 가스 분자와 결합하는 흡착성(반응성)이 뛰어나다. 전기소자는 탄소나노튜브처럼 유연성과 화학물질에 대한 반응성이 뛰어났다. 이 전기소자에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전자 회로를 삽입해 센서를 만들었다. 박장웅 교수는 “센서가 부착된 나뭇잎이나 곤충의 생명활동에 ... ...
- 1g에 8만 원이나 하는 금속은?과학동아 l2014.04.14
- 교수와 김경택 교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박구곤 박사 연구팀은 탄소층을 탄소 나노튜브 외벽에 코팅하는 방법으로 비금속계 촉매를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 탄소 촉매는 기존 알칼리 연료전지에 쓰이는 백금계 촉매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주상훈 교수 - UNIST 제공 기존 ... ...
- 태양전지, 창문에 붙일 수 있을까요, 없을까요?과학동아 l2014.04.07
- 플라스틱 위에 만들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연구진은 2010년에도 탄소나노튜브로 투명전극을 만들어 태양전지에 적용하는 데 성공한 적 있는데, 이번에는 성능이 20배나 더 뛰어난 전극을 만들었다. 이 교수는 “이번에 만든 태양전지는 유연하면서도 반투명이기 때문에 창문형 ... ...
- 목소리·맥박 '느끼는' 전자 피부과학동아 l2014.03.25
- 비단을 소재로 나노구조로 얇은 막을 만드는 방법을 고안했다. 이를 단일 층의 카본 나노튜브의 막과 결합시켜 생체 신호까지 전달될 수 있는 센서를 갖춘 전자 피부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연구진은 특히 이 전자 피부를 사람의 목 주위에 입힌 뒤, 말을 할 때 목 부위의 근육 운동에 의해 생기는 ... ...
- 4대 메가 트렌드에 주목하면 미래 기계산업이 보인다과학동아 l2014.03.24
- 할 것으로 내다봤다. 신소재도 중요한 트렌드로 꼽았다. 최근 각광받고 있는 탄소나노튜브 등의 신소재는 물론 3D 프린터용 첨단 금속소재, 메타물질 등의 연구개발이 확대됨에 따라 기계장치의 성능도 크게 높아질 걸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역시 에너지 문제가 꼽혔다. 셰일가스, 심해저 원유 등, ... ...
-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 3000일 운전 ‘끄떡 없네’동아사이언스 l2014.02.10
- 측정 장치로 정확히 확인할 수 있어, 원자력 및 기계부품 산업에 활용되는 인코넬 튜브, 스테인리스 스틸 용접 시편 등의 잔류응력 측정도 수행하고 있다. 특히 2011년 80mm 두께의 대형 선박용 간판의 잔류응력 측정에 성공해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자랑했다. 하나로의 3000일 가동 성공에 따라 ... ...
- 꿈의 소재 ‘그래핀’ 상용화 눈 앞으로동아사이언스 l2014.02.02
- 물질인데, 그동안 얇은 막이나 단순히 뭉친 형태로만 만들 수 있었다. 이번 연구는 튜브 모양이면서 물성까지 뛰어난 3차원 소재로 만드는 데 성공해 주목 받고 있다. 연구진은 약산성 용액 속에 그래핀 산화물과 금속기판을 함께 뒀더니 기판 표면에 그래핀 젤이 생긴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 ...
- 세포분열 제어해, 치매 막는다동아사이언스 l2014.01.21
- 가로 4나노미터, 세로 5나노미터, 폭이 8나노미터인 단백질들이 25나노미터 굵기의 튜브 형태로 모여 있는 구조다. 또 연구팀은 구조를 제어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분자스위치’도 발견했으며, 이 분자스위치를 인위적으로 조절해 지금까지 알려진 바 없는 새로운 크기와 형태의 미세소관 구조를 ... ...
이전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