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행길
대로
거리
길거리
번화가
한길
행로
뉴스
"
큰길
"(으)로 총 1,519건 검색되었습니다.
슈퍼컴 성능 한층 다가선 양자컴퓨터…IBM 새 127큐비트 프로세서 공개 의미
동아사이언스
l
2021.11.19
IBM은 큐비트 수를 127개로 늘린 새 양자컴퓨터 정보처리장치 ‘이글’을 공개했다. IBM 제공 IBM이 양자컴퓨터의 정보처리 단위인 ‘큐비트’를 100개 이상 탑재한 세계 최대 초전도 양자컴퓨터를 16일 공개했다. IBM의 양자연구를 발표하는 ‘IBM 퀀텀 서밋’에서 큐비트 수를 127개로 늘린 새 정보처리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음식은 암 치료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까
2021.11.16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암에 걸린 사람은 식단이 병의 진행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궁금해할 것이다. 인터넷 정보와 의사, 영양사들이 다양한 권장 식단을 제시하고 있지만 종종 서로 부딪치는 내용이다. (중략) 의사들이 암 치료를 받는 환자들에게 조언하는 식단을 짜는 데 근거가 될 양질의 데이터가 ... ...
아마존의 새들, 기온 상승으로 강제로 살 빠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15
연구팀은 아마존에 서식하는 한 조류(Myrmothera campanisona)의 날개 길이를 측정하고 있다. 비텍 지리넥 제공 사람 손길이 닿지 않는 아마존의 새들이 지난 40년간 몸은 작아지고 날개는 길어졌다. 과학자들은 이런 변화를 야기할 수 있는 원인은 기후 변화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미국 루이지애나주립 ... ...
해양 탄소 순환 감시할 자율주행 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1.11.12
미국 몬트레이베이수족관연구소팀이 개발한 심해 자율주행로버 벤틱II. 미국 몬트레이베이수족관연구소 제공 수심 4000m의 심해 해저를 달리는 자율주행 탐사로봇(로버)이 개발됐다. 한번 바다에 들어가면 1년 간 혼자 힘으로 심해를 누빈다. 바다 수온과 산소 농도, 해저 퇴적물을 장기간 모니터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아인슈타인이 노벨상을 받은 업적 '광전효과'
2021.11.11
아인슈타인은 광전효과를 성공적으로 설명한 공로로 1921년 노벨 물리학상을 단독으로 수상했다. 사진은 1912년 첫 아내 밀레바 마리치와 아인슈타인. 미국의회도서관 제공 19세기의 과학자들이 알아 낸 재미있는 현상 중에 '광전효과'가 있다. 한 마디로 말해서 금속에 빛을 쪼였더니 전자가 튀어나 ... ...
산업화로 점점 뜨거워지는 도시들, 2050년 도시인 16억명 폭염 시달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05
콜롬비아 메데인은 주요 도로 곳곳에 수풀을 채우는 '그린 통로' 정책으로 주변의 온도를 4도 낮췄다. 도시기후리더십그룹 제공 세계의 도시들이 급속한 도시화와 열섬 효과로 세계 평균의 두 배 속도로 뜨거워지고 있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현재 온실가스 배출량을 유지하면 2100년까지 전 세계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백신 둘러싼 인본주의와 자본주의의 전쟁
2021.11.04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대부분 감염병의 백신과 치료제는 민간 기업에서 이뤄지고 있어 이로 인해 수익성이 없는 치료제ㆍ백신은 제대로 만들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는 잘못된 것이다. 효과 있는 백신이 빠르게 제조되고 현장에서 쓰이게 하려면 정부 지원과 연구가 충분히 뒷받침돼야 한다,” -미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폐기된 기술에서 인류의 희망으로
2021.10.21
2021년 10월 11일 미국의 제약사 ‘머크앤드컴퍼니(MSD)’는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코로나19) 경구용 치료제 ‘몰누피라비르’의 긴급사용을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신청했다. 이 뉴스는 곧바로 전 세계에 전해졌다. 코로나19에 효과적인 백신이 나왔지만 미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들의 백 ... ...
[프리미엄 리포트]발사 카운트다운 앞둔 누리호 개발의 숨은 주역들
과학동아
l
2021.10.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온전히 국내 기술로 만들어진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10월 21일 상공을 가른다. 누리호가 무사히 발사되려면 3단으로 구성된 액체엔진과 발사대, 지상고정장치 등 수십 개의 시스템이 한 몸처럼 작동해야 한다. 한 치의 오차는 발사 실패나 폭발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전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세상을 바꾸는 촉매반응의 발견과 미래
2021.10.08
2021 노벨화학상 수상자 중 한 명인 베냐민 리스트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교수의 연구실에서 필자가 연구생활을 할 때 함께 찍은 사진이다. 2015년에서야 본격적으로 포스닥 생활을 시작하였는데, 이때 리스트 교수가 제안한 연구테마는 ”케톤을 친전자체로 유기촉매 반응에 활용해 보자”였다.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