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원
후원
원조
옹호
승인
시인
변호
뉴스
"
지지
"(으)로 총 3,874건 검색되었습니다.
전기연·현대기아차 "전기차 충전 오류 해결하겠다"…내년 시험센터 구축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확보됐다. 시퀀스도 표준이 제정됐지만 오류가 빈번하게 발생해 충전이 제대로 이뤄
지지
않는 불편이 발생하고 있다. 국내외 완성차 대기업들과 다양한 충전기 기업들이 참여하다 보니 제조사별로 표준 해석 차이가 발생하는 것이 원인이다. 특히 전기차 인증서를 통한 충전 요금 결제 기술인 PnC나 ... ...
전공의 사직 처리 'D-1'…복귀 여부와 규모에 쏠린 눈
동아사이언스
l
2024.07.14
면허정지 처분을 철회하기로 했고 9월에 복귀할 경우 전문의 자격 취득 시기가 늦어
지지
않도록 특례를 제공했기 때문에 전공의 일부가 돌아올 것이라는 기대도 있다. 하지만 정부의 조치들이 전공의 복귀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는 시각이 대다수다.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 ...
스페이스X 팰컨9 이례적 발사 실패…"액체 산소 누출이 원인"
동아사이언스
l
2024.07.14
연료가 탈 수 있도록 산화제 역할을 하는 액체 산소가 새어 나와 연소가 완전히 이뤄
지지
못한 것이다. 스페이스X가 공개한 영상에는 2단 로켓의 측면으로 액체가 나오며 얼음이 형성되고 덩어리들이 떨어져 나가는 모습이 담겼다. 2단 로켓은 원래 계획대로 스타링크 위성을 내보냈지만 위성들은 ... ...
[표지로 읽는 과학] 박쥐 위협 '흰코 증후군' 막는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4
박쥐 무리의 95%를 폐사시킬 만큼 치명적이지만 마땅한 치료법이나 예방법은 그간 밝혀
지지
않았다. 박쥐는 농작물을 해치는 해충이나 곤충이 매개하는 질병 확산을 완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만큼 이 질병의 치료법을 찾는 것은 학계의 주된 관심사 중 하나였다. 연구팀은 이 곰팡이균의 ... ...
"늘어나는 육류 소비…배양육 단가 낮추고 대량 생산 전략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24.07.12
“육류와의 유사성을 끌어올리면서도 대량 배양이 가능하려면 ‘스캐폴드’라고 불리는
지지
체의 역할이 크다”고 말했다. 또 “세포가 스캐폴드에 잘 부착돼야 하고 배양액이 잘 흘러들어야 하며 스캐폴드 자체도 먹을 수 있어야 하고 배양기에서 1~2주 이상 버틸 수 있는 소재여야 한다”며 ... ...
손상된 근육에 뿌리면 지혈·회복…'가루 치료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7.11
수 있고 안정적인 접착성을 나타낸다"며 "신체 조직과 유사한 기계적 성질이 있어 조직
지지
체(스캐폴드), 조직 재생 등 여러 생체재료 분야에 응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
'남원 급식 김치 식중독' 미스터리…"김치에서 노로바이러스 번식 안돼"
동아사이언스
l
2024.07.10
유통되며 충분히 발효가 안 됐을 수 있다"고 말했다. '고염'과 '발효'가 충분히 이뤄
지지
않았다는 말이다. 지난해 식중독균이 검출된 한 기업의 김치 제품은 염도가 낮은 백김치였다. 특히 김치는 가열하는 음식이 아니기 때문에 한번 오염되면 바이러스나 균을 없애기 쉽지 않다는 것이 ... ...
"배양육에도 '마이야르'가?"…기능성 배양육
지지
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7.10
자랄 때 영양을 공급한다. 연구팀은 풍미를 추가할 수 있는 배양육 스캐폴드(세포
지지
체)를 개발했다. 연세대 제공 연구팀은 젤라틴 기반의 하이드로젤을 활용해 일정 온도 이상에서 향미 화합물(SFC)을 방출하도록 설계한 기능성 스캐폴드를 개발했다. 스캐폴드는 세포 배양 기간 이후 고온에서 ... ...
9년 지연된 국제핵융합, 민간에 따라잡힐라…"여전히 중요한 시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9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팬데믹으로 참여국 간 협업이 원활히 이뤄
지지
점이 지목된다. 여기에 부품의 부식 및 완성품의 결함으로 장비에 대한 보완 작업이 필요해진 것도 지연의 원인으로 꼽힌다. 최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부품 결함과 관련해 '부품 제조를 맡은 ... ...
바이러스는 죽어서 면역에 흉터를 남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9
결과 바이러스가 사라져도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종양괴사인자(TNF) 생산 능력이 사라
지지
않았다.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변한 조절 T세포의 염증성 특성이 완치 후에도 여전히 남아 있다는 의미다. 공동 제1저자인 김소영 연구원은 “C형 간염 치료 후에도 조절 T세포가 정상화되지 않는다는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