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점등
광원
점화
빛
뉴스
"
조명
"(으)로 총 936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전염병은 왜 계절을 탈까?
2020.03.31
연구결과가 나오고 있다. 예를 들어 같은 온도와 습도라도 낮의 길이를 길게 하면(인공
조명
으로) 면역력이 40% 올라간다는 동물실험결과가 있다. 사람도 면역계 관련 유전자 가운데 무려 4000여 개의 발현 패턴이 계절에 따라 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어쩌면 이런 변화가 병원체에 대한 반응성에 ... ...
북한 과학계 '차세대'는 누구…안억성·김철현 주목
연합뉴스
l
2020.03.31
에도 실렸다고 덧붙였다. 북한의 관영매체와 선전매체들이 젊은 과학자들을
조명
하는 건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과학기술강국' 강조 기조와 맥을 같이한다. 북한은 2017년과 2018년의 국가 예산지출에서 과학기술 부문에 대한 투자를 전년 대비 각각 7.3%, 8.7%씩 2년 연속 큰 폭으로 늘렸다. 노동당 ... ...
[IBS 코로나19 리포트]바이러스로 코로나바이러스를 잡는다
2020.03.23
치료제로 임상시험이 진행되던 중 개발이 중단되었던 항바이러스제로 최근 새롭게
조명
을 받고 있다. 바이러스의 RNA의 복제를 더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는 전략도 있다. 유전자 가위로 RNA를 잘라내고 파괴하는 것이다.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는 어떻게 작동하나 유전자 가위는 생명체의 특정 ... ...
햇빛 센 날은 '깜깜' 흐린 날은 '투명'…‘스마트 윈도우’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19
해 생산단가가 높은 기존 전기변색 기술의 단점을 해결할 수 있다. 햇빛 강도를 조절해
조명
에 사용되는 에너지를 30~40% 이상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기존 전기변색 스마트 윈도우는 가격이 비싸고 전기배선을 창문까지 연결하는 시공이 어려워 시장이 활성화하지 못했다. 연구팀은 ... ...
화성에 살아도 상추쌈 먹을 수 있겠네
동아사이언스
l
2020.03.16
공급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식물이 자라는 데 필요한 햇빛을 대체해 발광다이오드(LED)
조명
을 썼다. 연구팀은 이렇게 재배에 성공한 적색 로메인 상추가 식용으로 안전한지, 영양성분은 충분한지 분석했다. 그 결과 항산화 역할을 하는 페놀 화합물 성분이 지구에서 자란 식물만큼 충분히 ... ...
[프리미엄 리포트]진정한 삼원색 표현하는 퀀텀닷
과학동아
l
2020.03.07
있다. 가령 삼원색의 정확한 파장은 1931년 빛과
조명
에 관한 과학기술을 논의하는 국제
조명
위원회(CIE)에서 빨간색은 700nm, 초록색은 546.1nm, 파란색은 435.8nm로 정해놨다. 다만 현재 디스플레이 기술로는 이 삼원색 파장의 빛을 만들어내지는 못한다. 앞으로도 물리적으로 불가능할 가능성이 높다. ... ...
시민의 힘으로 만든 은하 동물원 '갤럭시 주(ZOO)'
수학동아
l
2020.03.07
그 모습이 일반적인 형태는 아니었는데, 천문학자들은 주변 은하에서 방출된 빛이 마치
조명
처럼 가스를 비추면서 특이한 색을 띠게 만들었다고 추정했습니다. 그밖에도 ‘타원은하는 붉은색이고 나선은하는 푸른색’이라는 천문학계의 통념을 깨는 연구 성과를 내는 등 갤럭시 주 프로젝트에 ... ...
자동광학검사 최강자, 생기원과 미래소재 검사기술에 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20.03.06
이런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난다. 기가비스는 형광과 가시광을 조합한 자동검사
조명
기술을 개발해 이 문제를 극복했다. 탄소섬유복합재가 레이저를 쏘면 빛이 나는 형광 현상이 나타난다는 사실에 착안했다. 생기원은 효율적인 검사를 위해 검사 모듈에 이송기계 시스템을 더했다. 다관절 로봇 ... ...
선진 의료시스템 갖춘 이탈리아서 코로나19 사망자 급증 이유는
연합뉴스
l
2020.03.05
9) 최대 확산국인 이탈리아에서 바이러스 사망자가 급증하며 고령사회의 그림자가 새삼
조명
받고 있다. 3일(현지시간) 오후 6시 기준 이탈리아의 코로나19 누적 확진자 수는 2천502명, 사망자는 79명으로 집계됐다. 사망자만 따지면 중국(2천981명)과 이란(92명)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많다. 최근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알렉산드라 엘바키얀, 논문 해적 혹은 지식공유의 화신
2020.02.28
과학지식은 공유해야 한다 2016년 사이언스와 네이처가 엘바키얀을 집중적으로
조명
하면서, 그에 관한 기사가 한국에도 쏟아졌고 한국에서도 사이허브 이용자는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2019년 엘바키얀은 자신이 운영중인 블로그에 ‘사이허브와 알렉산드라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라는 포스팅을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