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평균
표준
기준
뉴스
"
정상상태
"(으)로 총 1,347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늘과학] 시간제한 단식, 생식 기능에 좋지 않아
동아사이언스
l
2023.04.12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하루 중 특정 시간 동안 음식 섭취를 제한하는 '시간제한 단식'이 생식 기능에 오히려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알렉세이 마클라코브 영국 이스트앵글리아대 생명과학부 교수 연구팀은 열대어의 한 종류인 '제브라피시(Danio rerio)'를 이용해 시간제 ... ...
우주로켓 공중발사 '버진오빗' 파산...2024년 국내 서비스 '무산' 위기
동아사이언스
l
2023.04.05
버진오빗의 대형 항공기에 우주발사체 '론처원'이 매달려 있다. 버진오빗 제공 재정난을 겪던 위성 발사업체 버진오빗이 파산보호 절차에 돌입했다. 버진오빗은 영국 억만장자 리처드 브랜슨 버진 그룹 회장이 설립한 업체로 항공기를 이용해 로켓을 공중에서 발사하는 '공중 궤도발사'를 사업 모 ... ...
"배아 발달 지연될수록 유산 가능성 높아져"
동아사이언스
l
2023.03.27
자궁에서 발달 중인 8주차 배아. 에라스무스 메디컬센터 제공. 3D 초음파·가상 현실 기술을 활용해 배아 발달 과정을 관찰한 결과 배아가 발달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릴수록 유산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유산과 관련한 기존 연구들이 많지만 임신 중 태아 발달 과정을 관찰하고 유산과 ... ...
[오늘과학] 단 음식은 뇌를 중독시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23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당분이 많이 함유된 음식을 지속적으로 섭취하면 우리 뇌는 계속해서 단 음식을 원하도록 변형을 일으킨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소량이라도 주기적으로 단 음식을 먹으면 당분에 중독된다는 것이다. 마크 티츠마이어 독일 막스플랑크 물질대사연구소 연구원 연구팀은 ... ...
"한국 젊은 여성, 정상체중임에도 스스로 과체중으로 인식"
동아사이언스
l
2023.03.21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한국 젊은 여성들은 정상 체중임에도 불구하고 스스로를 과체중이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젊은 여성의 경우 과체중임에도 자신이 정상 체중이라 인식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조재훈 건국대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연구팀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 ...
7만명 분석해 3개 희귀 유전질환 원인 유전자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17
난청 검사를 받는 아동 환자.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과학자들이 대규모 유전자 분석을 통해 3개 희귀질환 발병과 관련된 유전자를 발견했다. 발병 원인이 불분명했던 이들 질환에 대해 유전자 검사를 통한 신속한 진단이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어니스트 투로 미국 마운트 시나이 아이칸의대 ... ...
장애물과 부딪쳐 손상 입어도 계속 비행하는 드론
동아사이언스
l
2023.03.17
홍콩대 연구팀이 개발한 '날개씨앗' 모양의 드론. 360도 시야 확보가 가능하다. 사이언스 로보틱스 제공 산악이나 동굴 등 험지, 재난재해 지역 등을 감시할 수 있는 드론의 약점으로 꼽힌 안정성과 기능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들이 15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로보틱스'에 나란히 공개됐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18세기 말 키 2.3미터 거구 시체의 해부
2023.03.14
Joshua Reynolds, Hunter. 위키피디아 제공 ● 영국 외과학 발전의 토대를 닦은 존 헌터 의학역사에 뚜렷한 족적을 남겼다고 하기에는 2% 모자라지만 적어도 영국에서는 ‘영국 외과학의 아버지’라 일컬어질 만큼 큰 역할을 한 존 헌터(John Hunter, 1728-1793)는 외과학 발전에 이바지한 것 외에도 다양한 이 ... ...
뇌는 감염을 어떻게 인지할까..."체내 뉴런 통해 신호 전달"
동아사이언스
l
2023.03.09
신경세포(뉴런).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우리 몸이 병균에 감염된 사실을 뇌가 인지하는 과정이 밝혀졌다. 앞서 학계 일각에선 감염 부위에서 생성된 신호전달 물질이 혈관에 흐르는 피를 통해서 뇌에 전달되는 것이라 생각했지만 이는 사실과 다르다는 결론이다. 스테판 리베를레스 미국 하버 ... ...
수컷 쥐 세포로 난자 만들어 아기 쥐 탄생…난임 치료 새 길 열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3.09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일본 연구진이 수컷 생쥐의 피부 세포에서 난자를 생성해 생물학적 아버지가 두 명인 생쥐를 탄생시키는 데 성공했다. 수컷 세포로 포유류 난모 세포를 만든 최초의 연구로 동성 커플이 부모가 되거나 난임 치료의 새 길을 열 수 있을지 주목된다. 영국 일간지 가디언은 하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