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애
자비
자혜
인후
친절
유전인자
다정
뉴스
"
인자
"(으)로 총 83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항체치료제 전성시대 열리나
2021.07.06
자가면역질환은 면역계가 과잉 반응해 자기 조직을 공격한 결과로 이 과정에 TNF(종양괴사
인자
)라는 작은 단백질이 면역계의 세포 신호를 담당한다. 따라서 TNF를 항원으로 하는 항체를 만들어 농도를 낮추면 증상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두 약물은 예상대로 약효가 뛰어났고 스테로이드밖에 ... ...
해외 교차접종서 중증 이상반응 사례 없어…"안전성 입증"
연합뉴스
l
2021.07.05
그러면서 "지병이나 기저질환은 그 자체가 코로나19 감염 위험이나 사망 위험을 높이는
인자
이기 때문에, 지병이 있는 대상자의 백신 접종 이득이 오히려 더 높다"고 덧붙였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작물 게놈 2세대 녹색혁명 이끌까
2021.06.30
남중국 지역에서 찾은 114개 변이체의 게놈을 해독해 비교분석했다. 그 결과 전이
인자
(transposable element)라는 이동성 염기서열이 체세포 변이를 유발해 구연산 합성과 운송에 관여하는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쳐 과일 산도에 편차가 나타났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구연산은 오렌지 과육에 있는 ... ...
'5년내 치매 걸릴 확률 얼마일까' 온라인 치매 예측계산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6.28
이 중 8448명이 치매에 걸렸다. 치매 걸린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을 비교해 치매 예측
인자
28개를 선별했다. 이 계산기는 55세가 넘은 사람에게 향후 5년 안에 치매가 발생할 위험이 어느 정도인지와 그러한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어떻게 생활을 고쳐 나가야 할지를 알려준다. 이 계산기는 ... ...
툴젠, 호주 기업에 유전자 가위 활용 차세대 CAR-T 기술이전
연합뉴스
l
2021.06.28
계약은 툴젠의 유전자 교정 기능향상기술을 접목해 고형암과 혈액암에서 발현되는 표지
인자
인 TAG-72 항원에 대한 면역세포치료제를 개발하는 권리에 관한 것이다. 툴젠은 이번 계약에 따라 카세릭스의 일정 지분을 반환 의무가 없는 계약금으로 수령한다. 임상 단계에 따른 마일스톤과 사업화에 ... ...
‘세포는 계획이 다 있구나’…자가포식으로 치매 유발 타우 단백질 분해
동아사이언스
l
2021.06.27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일으키는 유력
인자
로 꼽히는 타우 단백질을 분해하는 새로운 메커니즘을 발견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뇌과학연구소 류훈 책임연구원이 한국생명과학연구원 질환표적연구센터 유권 책임연구원, 송은주 이화여대 교수 ... ...
또 밝혀진 코로나 '비밀 무기', 뇌 밖에서 뇌 염증 일으킨다
연합뉴스
l
2021.06.23
매개
인자
로 '혈뇌장벽' 뚫고 염증 신호 보내 코로나19 사망 환자 뇌 조직서 뚜렷한 신경염증 표지 발견 미 스탠퍼드 의대, 저널 '네이처'에 논문 [호주 월터 & 엘리자 홀 의학 연구소 / 재판매 및 DB 금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입원 환자의 약 3분의 1은 흐릿한 생각(fuzzy thinking), ... ...
[강석기의 과학카페]피부에 흉터 남기지 않고 나을 수 있을까
2021.06.22
마이클 롱가커 교수팀은 지난 2015년 ‘사이언스’에 발표한 논문에서 En1이라는 전사
인자
유전자를 발현하는 섬유아세포인 EPF가 흉터 형성에 관여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런데 평소 피부 진피에는 이 유전자를 발현하지 않는 섬유아세포인 ENF가 더 많다. 따라서 흉터에 많이 분포하는 EPF의 기원을 ... ...
쥐에 침 놨더니 우울증 행동 줄어 드네…사람도 효과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6.10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침 치료를 통해 우울증이 개선되고 간지질 대사에서 염증
인자
발생량이 줄어들면 렙틴 수용체도 대조군에 비해 1.7배 더 증가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렙틴 수용체가 활성화되면서 렙틴 저항성이 감소해 우울증과 간 기능이 동시에 개선됐다는 것이다. 정 ... ...
[과기원은 지금] 최민기 KAIST 교수팀, 효소 닮은 촉매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6.10
개발했다고 밝혔다. 양막은 태반 안쪽의 배아를 덮고 있는 막이다. 상피 재생을 촉진하는
인자
가 많이 들어있다. 연구팀은 여기에 홍합접착단백질 기반의 접착제를 활용해 양막을 토끼의 안구 표면에 이식했다. 그 결과 기존 이식 방법에 비해 5배 이상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기존 수술법을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