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야외
자생
뉴스
"
야생
"(으)로 총 1,045건 검색되었습니다.
WHO 조사단 “족제비오소리와 토끼가 코로나바이러스 중간숙주”
동아사이언스
l
2021.02.19
박쥐, 천산갑, 사향고향이 등이 지목됐다. 이번에 WHO 조사단이 지목한 족제비오소리와
야생
토끼는 중간 숙주로는 거론된 종이다. 영국 연구팀은 이달 17일 잠재적인 코로나19 중간 숙주가 현재 알려진 것보다 30배 더 많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 ...
코로나19 잠재 숙주 알려진 종보다 30배 많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7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기대다. 와르더 연구원은 “바이러스가 인간에게 퍼지는 것은
야생
동물 거래와 같은 인간 활동과 연결되는 경향이 강하다”며 “모든 동물을 조사하는 것이 불가능한 만큼 우리의 접근 방식이 우선순위를 정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야생
벼가 식량 위기 구원투수 될까
2021.02.16
탈리층(AL)이 형성돼(현미경 사진 위) 낟알이 익으면 쉽게 떨어진다. 게놈편집기술로
야생
벼의 탈립성 관련 유전자(qSH1) 두 개(CC형과 DD형)를 고장내면 탈리층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현미경 사진 아래) 재배 벼처럼 낟알이 익은 뒤에도 붙어있다. 셀 제공 ※필자소개 강석기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 ...
코로나19 음모론 퍼뜨린 '슈퍼전파자'들 알고보니 유명인들…추적 명단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1.02.16
코로나19 바이러스 기원을 확인하기 위해 조사를 벌인 WHO 국제조사팀은 바이러스가
야생
동물을 통해 인간에게 옮겨왔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발표했다. ○ 글로벌화연구센터 “미국에서 처음 발생” 미셸 초서도브스키 캐나다 오타와대 명예교수가 이끄는 글로벌화연구센터는 홈페이지 ... ...
기후변화로 서식지 옮긴 박쥐들, 코로나19는 보이지 않는 기후재앙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5
발생할 수 있는 바이러스성 감염병의 종간 전파를 막기 위해서는 자연 서식지 보호와
야생
동물 거래 금지 등 광범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기후변화가 바이러스성 감염병 발생에 실질적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확인된 만큼 본질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각국이 기후변화 대응에 ... ...
"중국, WHO에 코로나 기원 밝힐 초기 데이터 제공 거부해"
동아사이언스
l
2021.02.14
있지만 더 많은 조사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우한 수산시장에서 거래되는
야생
동물을 통한 인간 전파 가능성에 무게를 두면서도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코로나19가 최초로 보고된 2019년 12월보다 두달 전인 후베이성 일대에서 코로나19와 비슷한 증상으로 92명이 입원했다는 ... ...
외래종 거북, 친환경적으로 잡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02.13
최근에는 늑대거북과 악어거북에 이르기까지 약 16종의 외래종 거북이
야생
에서 발견됐다. 앞으로 수는 더 늘어날 거라 예상한다. Q. 왜 이렇게 다양한 외래종 거북이 들어온 건가. 예전에는 거북을 방생하는 종교 행사에서 외래종 붉은귀거북을 많이 사다가 풀어줬다. 지금은 종교 행사보다는 ... ...
[슬기로운 동물원 생활] 마지막 이야기…토종동물 보호소를 꿈꾸다
2021.02.13
야생
동물 시티투어에서 시민들과
야생
동물 복지에 대해 이야기 나누고 있다.
야생
동물 시티투어에는 동물을 사랑하는 어린이 친구들이 많이 참여하고 있다. 청주동물원 제공 ※필자소개 김정호 수의사. 충북대학교에서 멸종위기종 삵의 마취와 보전에 관한 주제로 수의학박사를 받았다. ... ...
인공위성과 AI로 멸종위기종 아프리카코끼리 개체수 알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2
무겁도 덩치가 큰 아프리카코끼리는 현재 멸종위기종이다. 세계자연기금(WWF)에 따르면
야생
상태의 아프리카코끼리는 41만5000여마리에 불과하다. 1970년대부터 지난 40여년 동안 매년 2500마리의 개체수가 줄어 현재 40여년 전보다 개체수가 90%나 감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려면 ... ...
WHO 조사단 “우한바이러스연구소·냉동식품 코로나 기원 아냐...
야생
동물 전파 가능성에 무게”
동아사이언스
l
2021.02.10
것은 아니고 가축화된
야생
동물과 농장에서 생산된 제품이 판매되기도 했다”며 “
야생
동물 공급망을 살펴봐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바이러스가 냉동환경에서 생존할 수 있다는 사실을 우리는 알고 있다”면서도 “그러나 바이러스가 사람에게 전파될 수 있는지, 어떤 조건에서 전파가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