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십이인연
인연
ship
접속 설정 프로토콜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뉴스
"
십
"(으)로 총 414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 신소재 ‘황화몰리브덴’ 전기적 특성 풀었다
2016.01.27
부분이다. - 기초과학연구원(IBS) 제공 이황화몰리브덴과 그래핀은 나노박막 지름이 수
십
마이크로미터(㎛·1㎛는 100만분의 1m)에 불과한 미세한 입자들이 연결된 형태다. 각 원자의 결합구조 때문에 이웃한 두 결정입자의 각도가 서로 틀어지면서 특이한 경계면(결정립계면)이 생긴다. ... ...
고체 물리 한 분야에 일생 걸었던 외곬수 과학자
2016.01.21
교육받은 셈이다. 그 스승에 그 제자라고 했던가. 김 연구원이 기초연에 자리 잡고
십
수 년 간 쌓아온 과학적 업적은 누구 못지 않다. 2013년까지는 10년 간 장기적으로 연구비를 받는 ‘프론티어 사업’ 단장을 맡아 나노재료를 이용한 수소저장 재료 개발에 매진해 왔다. 이 사업를 통해 그는 수소 ... ...
구글 193만 ㎞ vs. 한국 3㎞, 자율주행차 제도 개선 시급
2015.11.22
추돌 우려가 없다. 이런 추세는 점점 확대되고 있다. 대부분의 유명 자동차 회사는
십
수 년 내에 주소만 입력하면 길을 찾아다니는 진짜 자율주행차를 개발할 계획이라고 밝히고 있다. 자율주행차 상용화는 피할 수 없는 현실이라는 게 업계 분위기다. 세계적인 컨설팅 기업 맥킨지는 ... ...
강아지에게도 새생명을 준 2015 노벨 생리의학상
2015.10.06
수상자로 선정했더군요. 3명의 과학자 가운데 개들의 삶을 크게 개선시킨 분이 계
십
니다. 바로 윌리엄 C. 캠벨과 오무라 사토시입니다. 이들이 찾아낸 물질인 ‘아버멕틴’(Avermectin)이 사상충의 유충을 없애는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아버멕틴은 화학적인 작용을 가공을 거쳐 ‘아이버멕틴’ ... ...
무선으로 충전하는 ‘와이파워 시대’
과학동아
l
2015.08.31
시기상조”라고 말했다. 또 “다이폴코일 무선전력 기술이 국제적으로 인정받는다면 수
십
cm 급 장거리 전력전송과 관련된 새로운 무선전력 규격이 제정될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는 2012년 10월부터 교내순환셔틀버스로 무선충전전기버스를 이용하고 있다. ... ...
글 도둑 막는 수학
수학동아
l
2015.08.04
확률은
십
분의 일 정도다. 비슷한 정도가 1000점인 두 문서가 우연히 만들어질 확률은
십
만 분의 일이다. 조 교수는 “범죄 현장에서 얻은 혈흔으로 유전자 검사를 해 범인을 찾는 원리와 비슷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을 보호하는 것은 다른 사람의 창작물을 존중하는 일이다. - 게티이미지뱅크 ... ...
봉한선과 림프선
2015.08.03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한 셈이므로)’라는 생각에 약을 반 제 지었다. 놀랍게도 지난
십
수 년 간 필자를 괴롭혀온 알레르기 증상이 약을 며칠 먹은 뒤부터 사라지더니 2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나타나지 않는다. 몸이 아픈 사람의 입장에서는 병을 명쾌히 설명하지만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는 ... ...
세계 최고의 재난대응로봇 휴보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7.14
중에 아버지가 있는 건 휴보밖에 없어요. 휴보의 아버지라니 정말 자랑스럽습니다. ○
십
년 넘게 로봇을 개발하고 계신데요, 힘든 적도 있었나요? 휴보는 국내 최초의 두 발로 걷는 인간형 로봇이에요. 그러니 연구 초기에는 처음부터 하나 하나 연구하고 개발해야 됐어요. 처음 하니까 뭐든지 ... ...
5세대 통신기술에 필요하다는 ‘밀리미터파’의 모든 것
2015.07.12
약자로 부르기도 한다. 3G나 4G 이동통신이 대략 1~2GHZ 정도를 사용하는 것과 비하면 수
십
~수백 배 가량 차이가 난다. 전파란 주파수가 낮을수록 회절성이 높다. 장애물을 만나도 휘어져 들어가고, 얇은 벽 정도는 쉽게 뚫고 나간다. 이에 비해 주파수가 높은 전파는 직진하는 성질이 강하고, ... ...
“한국토종 대회 ‘로봇 축구’, 벌써 스무살 됐네요”
2015.07.06
경기를 벌이는 장면을 자주 볼 수 있었다. 이 드라마로 국민에게 알려졌던 로봇축구는
십
수 년이 지난 지금도 ‘현재진행형’이다. 대전 KAIST에서 1996년 처음 시작된 이 대회는 매년 각국에서 경기가 열리고 있다. 한국이 ‘종주국’의 자리를 지키고 있는 로봇축구, 그 중심에 있는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