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잡
속임수
기만
부정
사취
속임
속이기
뉴스
"
사기
"(으)로 총 413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재처럼 걷는 해저로봇 크랩스터
과학동아
l
2015.05.29
많아 배가 좌초되기 쉬웠다. 최근에서야 발굴된 조선시대 난파선에서는 수 많은 분청
사기
와 조선백자 등이 온전한 형태로 발견됐다. 만약 이번 실험에서 크랩스터의 성능이 확인되면, 고고학자들이 직접 물 밑으로 내려가는 일을 최대한 줄이면서 수중문화재를 발굴할 수 있을 터였다. 바다와 ... ...
“철제 솥 찾아라” 명령 받은 크랩스터, 2시간 만에 임무 완수
동아일보
l
2015.04.30
‘마도 4호선’을 다음 달 7일부터 본격 발굴할 예정이다. 4호선 선체 안팎에서 나온 분청
사기
와 조선백자의 보존 상태가 매우 양호해 도자기 연구자들을 흥분케 했다. 또 지난달 3차원(3D) 지층탐사 때 우연히 발견된 마도 5호선의 경우 현재 선체를 뒤덮고 있는 진흙을 잠수부들이 삽으로 퍼내는 ... ...
거짓말 잘하는 비결
과학동아
l
2015.03.26
영상을 발표했고, 2011년에는 동작인식센서로 이메일을 보내는 기술을 만들었다고
사기
쳐 수많은 사람을 PC 앞에서 춤추게 만들었다. “그것도 구글이니까 먹혔던 겁니다. 최첨단 IT기업인데다 실제 있을 법한 기술이잖아요. BBC에서 발표한 ‘하늘을 나는 펭귄’ 영상에 사람들이 속은 것도 BBC가 ... ...
못돌아오는 화성 프로젝트 연기, 우주방사능 걷잡을 수 없어…
동아닷컴
l
2015.03.23
또한 못돌아오는 화성 프로젝트 연기를 두고 일각에선 마스원 측이 “전 세계를 상대로
사기
치는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동아닷컴 도깨비뉴스팀 http://blog.dong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강덕수 회장, 왜? - 폈다 휘었다…TV, 내가 원한 만큼 구부려서 본다 - 스키니진 즐겨입는 2 ... ...
조삼모사(朝三暮四)의 긍정심리학
2015.02.23
교훈을 주는 고사성어다. 합리성의 관점에서 보면 물론 조삼모사는 수준 낮은
사기
일 뿐이다. 그런데 정말 원숭이들의 저공의 말장난에 놀아난 것일까.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와 ‘아침에 네 개 저녁에 세 개’는 덧셈의 교환법칙(3+4=4+3)의 한 예일 뿐일까. istockphoto 제공 ● 조삼모사의 ... ...
막대기를 움직인 건 수맥인가 내 마음인가?
과학동아
l
2015.02.10
제품을 팔기 위해 불안감을 조성하는 것으로 봐야겠지요. 불안감을 자극하는 건 흔한
사기
수법입니다. 이렇듯 다우징이 과학적인 근거가 없으니 자연히 다우징으로 북한의 땅굴을 발견했다는 주장에도 의심이 갑니다. 실제로 국방부도 서울까지 왔다는 땅굴의 존재를 부정하고 있습니다. 남침 ... ...
달까지 노리는 구글… ‘루나 X 프라이즈’ 중간결과 발표
2015.02.04
전 세계 항공우주학자들의 관심이 모이고 있는 가운데 지난달 26일(현지시간) 참가팀들의
사기
진작을 위한 장려상인 ‘마일스톤 프라이즈’상 시상식이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과학아카데미’ 행사장에서 열렸다. 현재까지 연구성과가 가장 우수한 5개 팀을 선정한 것이다. 이들에게는 525만 ... ...
[오보카타, 그후 1년] 파면으로 끝난 ‘과학계 신데렐라’
2015.01.30
의심의 여지가 없었다. 순식간에 ‘과학계 신데렐라’로 떠오른 오보카타 박사의 희대의
사기
극은 이렇게 화려하게 시작됐다. 이화학연구소는 지난달 25일 연구조사위원회 이름으로 34쪽 분량의 ‘STAP 세포 연구논문 조사 보고서’를 일본어로 발표했다. 그리고 이달 26일 홈페이지를 통해 이 ... ...
슈뢰딩거 고양이는 누가 죽였나?
2015.01.11
없다. “이거
사기
아닌가요? 전자가 동시에 두 개의 구멍을 지난다고 했잖아요!” 물론
사기
가 아니다. 사진을 보면 전자는 왼쪽 또는 오른쪽, 분명 하나의 구멍을 지난다. 하지만 이런 식으로 관측을 하면서 이중슬릿실험을 하면 스크린에는 줄이 두 개만 생긴다. 구멍이 두 개고 입자(전자)는 그 중 ... ...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조용훈 KAIST 물리학과 교수
2015.01.07
기술을 독창적으로 구현한 업적을 인정 받았다. 이달의 과학기술자상은 과학기술자의
사기
진작을 위해 우수한 연구개발 성과로 과학기술 발전에 공헌한 사람을 발굴·포상하는 제도로 1997년 4월부터 매월 1명을 선정해 장관상과 상금을 수여하고 있다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