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이크로폰
마익
월튼
키보드
알유진
요세프컴퍼니
요셉
뉴스
"
마이크
"(으)로 총 570건 검색되었습니다.
혈관 속에서 자유자재 소프트로봇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2.27
마이크
로 로봇을 원하는 방향으로 자유자재로 움직이게 하는 데 성공했다. … 연구팀은
마이크
로로봇이 복잡한 혈관을 통과할 수 있도록 로봇의 움직임을 수학적으로 계산해 예측하는 방식을 도입했다. 또 로봇이 몸을 170도까지 구부릴 수 있게 해 아주 예리한 각도로 휜 혈관도 통과할 수 있게 ... ...
트럼프 “우주군 창설은 국가안보 우선순위”...우주군 창설 명령
동아사이언스
l
2019.02.20
미국 워싱턴DC에 있는 백악관 집무실에서 ‘우주정책지침 4’ 명령서에 서명했다.
마이크
펜스 부통령과 패트릭 섀녀핸 국방장관도 함께 백악관 집무실에서 이를 지켜봤다. 미국은 지난해 6월 트럼프 대통령이 국가우주위원회에서 공군으로부터 우주군을 분리 독립시키겠다고 발표했다. 지난해 ... ...
나이 먹을수록 독감백신 안 듣는 이유는 ‘B세포’
동아사이언스
l
2019.02.20
효과가 떨어지는 이유가 B세포에 있다는 사실을 알아내고 국제학술지 ‘셀 호스트 앤
마이크
로브’에 19일 발표했다.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독감을 퍼뜨리는 장본인이다. 바이러스는 표면에 작은 돌기처럼 나 있는 단백질(헤마글루티닌)이 숙주 세포 표면에 나 있는 시알산 수용체와 짝을 ... ...
'먹이 찾아 17㎝' 최초의 다세포 생물 21억년 전 첫걸음 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2
최대 17㎝였으며, 구부러지거나 꼬인 모양 등 형태가 다양했다. 연구팀은 전자현미경과
마이크
로 컴퓨터단층촬영(CT) 등의 기술을 이용해 단면과 입체 구조를 복원해 연구했다. 그 결과 이 구조는 21억 년 지구 얕은 바다에 살던 다세포 진핵생물 또는 단세포 진핵생물 군집이 물과 뭍의 경계 지역인 ... ...
美·中 이어 유럽도 우주軍 창설 고려…우주 평화의 시대는 가나
동아사이언스
l
2019.02.12
공군으로부터 우주군을 분리 독립시키겠다고 발표했다. 지난해 8월에는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은 2020년까지 독자적으로 우주군을 창설하겠다고 선언했다. 향후 5년간 80억달러를 투입하겠다는 구체적 예산 계획도 내놨다. 중국은 미국보다 앞서 2015년에 우주군 창설계획을 밝혔다. 2016년 1월 1일 ... ...
연료전지 촉매 가격 10분의 1로 낮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1
셈이다. 연구진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지름이 2㎚(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미만인
마이크
로 기공과 2~50㎚ 수준인 메조 기공, 50㎚가 넘는 매크로 기공 등 3종류의 기공으로 촉매 구조를 설계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메조 기공은 화학반응이 일어나는 촉매의 표면적을 넓혀 전기화학적 활성을 높이는 ... ...
제12회 아산의학상에 김빛내리·김종성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19.01.31
조절하는 ‘
마이크
로 RNA’가 만들어지고 작동하는 원리를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
마이크
로 RNA는 세포 내에 존재하는 생체물질로 유전자가 과도하거나 부족하게 발현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최근 RNA 분해를 제어해 유전자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RNA 혼합꼬리’를 발견하기도 했다. ... ...
서울대팀, 전국 X-Corps 페스티벌 대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19.01.31
농지로 인한 생산성 한계를 극복하는 고효율-저비용 자동 작물 재배 시스템을 개발했다.
마이크
로 및 매크로 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작물 생체정보 계측 기술을 통해 자동적으로 작물 재배한 시스템이다. X-Corps팀은 “기존 시스템 대비 129% 생산성 증가와 70%의 비용 절감 효과가 예상되고 이와 ... ...
온수 온도 낮춰 난방배관 파열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9
필요한 시간을 절반으로 줄이는 데 성공했다. 딱딱한 구슬 모양이었던 열 저장 용기를
마이크
로 사이즈의 유연한 캡슐 형태로 바꾼 결과다. 또 이런 PCM 캡슐을 활용한 열 수송 원리를 시각화 기술을 통해 검증하는 데도 성공했다. 신 연구원은 “현재는 PCM 캡슐을 이용한 열 수송 시스템을 ... ...
"작은 싹이지만 인류에겐 위대한 도약" 창어4호, 달에서 목화씨 싹 틔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6
하기도 했다. 하지만 지구와는 다른 천체에서 생육실험을 진행한 것은 처음이다. ‘달
마이크
로 생태계 실험’ 프로젝트의 수석 디자이너인 셰겅신 충칭대 우주탐사센터 부소장은 “인간이 지구와는 다른 천체에서 생육 실험을 진행해 성공한 것은 처음있는 일”이라고 말했다. 우주 공간에서의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