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균형
조화
상칭
뉴스
"
대칭
"(으)로 총 39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의 향기, 예술의 향기를 만나다
2014.09.05
자연스럽게 이들에게서 영감을 얻었다. 그는 “사람이 몰입을 하게 되면 뇌파의
대칭
성이 높아지고 사물을 보고 약 0.3초 뒤 그 기억과 관련된 뇌파가 발생한다”며 “실험 기준만 잘 만든다면 감동의 크기를 숫자로 나타내는 일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로와정은 이번 주 연구원에서 열린 ... ...
‘아르키메데스의 별’을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4.08.01
악수 퍼포먼스처럼 간단한 동작을 통해 경우의 수를 알려주고, 관객과 함께 박수를 치며
대칭
성을 깨우쳐 주는 등 창의적인 공연으로 명성을 떨쳐 왔다. 팀 차티에 미국 데이비슨대 수학과 교수는 부인과 함께 마임과 인형극으로 수학을 표현하는 독특한 공연 ‘마임매틱스(Mime-Matics)’도 ... ...
당신이 모르는 에센스 방울의 비밀
과학동아
l
2014.07.22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 관찰 결과, 젖음주름의 형태는 꼭지점이 갈고리처럼 휘어진 비
대칭
삼각형이며, 고체가 무를수록 젖음주름이 높게 생성되고 표면장력의 수직방향 힘과 그 크기가 비례한다는 것이 확인됐다. 젖음주름은 나노미터 수준으로 작고 다양한 모양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 ...
어린 왕자의 작은 행성이 사진으로?
수학동아
l
2014.07.14
프랑스 파리 중앙 시테 섬에 있는 노트르담 대성당 앞 광장은 거대한 원이 되었고, 좌우
대칭
이 뚜렷한 노트르담 대성당은 구 위에 삐딱하게 세워져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 사진은 프랑스 과학대학 EPITA에서 컴퓨터 과학을 연구하는 알렉상드르 뒤레뤼츠 교수의 작품이다. 아마추어 사진작가인 ... ...
시조새 화석 ‘종결자’ 등장
과학동아
l
2014.07.04
짧고 뻣뻣하다. 따라서 짧은 깃털이 긴 깃털보다 바람의 힘을 더 잘 견딜 수 있다. 이런 비
대칭
깃털은 새의 날개에서도 흔히 볼 수 있다. 연구팀은 “시조새의 깃털은 부위별로 다양하고 그 형태도 복잡하다”면서 “체온을 유지하고 몸을 장식하기 위한 기능 외에도 공기저항을 덜 받기 위한 ... ...
암흑물질의 실체는 ‘불임 뉴트리노’?
2014.06.04
셈이다. 한편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가속기(LHC)에서 입자충돌로 초
대칭
입자를 만드는 실험도 내년에 시작될 예정이다. 지난번 힉스입자를 만들 때 에너지의 두 배인 14테라전자볼트(TeV, 테라는 1조를 뜻함)를 구현할 예정이다. 설사 찾는데 실패하더라도 2020년 무렵에는 100TeV의 ... ...
1000도에서 전기 흐르는 이 물질 뭐지?
과학동아
l
2014.05.12
것이다. 실제로 다강체의 온도를 1020도로 낮추자
대칭
적으로 움직이던 원자들이 비
대칭
적으로 움직이는 원자들과 짝을 이루면서 전기적 성질이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번 연구에 활용한 다강체는 육각기둥 모양의 망간 산화물인데 연구진은 비슷한 모양의 다강체에서도 동일한 ... ...
똑똑~ 금속 두드려만 봐도 어떻게 변할지 안다
과학동아
l
2014.04.23
가상실험을 통해 확인한 것이다. 지도를 보면 결정 속의 원자가 면이나 축을 중심으로
대칭
을 이루며 움직이는 현상 등을 예측할 수 있었다. 권 교수는 “지금까지 금속의 변형은 실험을 거듭해야 알 수 있었는데, 이번에 개발한 이론을 이용하면 간단히 예측할 수 있다”며 “새로운 합금재료를 ... ...
태양계에서 고리를 지닌 다섯 번째 천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4.08
한동안 밝기가 확 줄어든 건 커리클로가 별을 가로막은 결과다. 그런데 전후에
대칭
적으로 짧은 시간동안 두 차례씩 밝기가 줄어듦을 알 수 있다. 왼쪽부터 보면 처음에는 약간만 줄어들고(2013C2R) 바로 이어 꽤 줄어든다(2013C1R). 그리고 커리클로의 엄폐를 지나 그 반대 순서로 짧은 기간의 엄폐가 ... ...
뽑아볼까, ‘우주 미스터리’ TOP 3
과학동아
l
2014.04.04
아직 관측조차 되지 않고 있다. 과학자들이 ‘윔프(WIMP)’라는 가상의 입자와 ‘초
대칭
입자’를 암흑물질의 후보로 가정하고 있는 정도다. 2년 전 힉스 입자 검출에 성공한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는 2015년 거대강입자가속기(LHC)의 성능 향상을 마친 뒤 이들 두 입자 사냥에 나선다. 국내에서는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