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씨
일기
기상
천문
도시기후
도시
동안기후
뉴스
"
기후
"(으)로 총 3,042건 검색되었습니다.
[극한호우, 우리]③ 도쿄 지하엔 '거대신전'…주택침수 10분의1로 줄였다
2024.05.29
흐른 지금까지 단 한 번도 츠루미강 범람으로 침수 피해를 입지 않았다. "확실히 이상
기후
를 느끼고 있습니다." 일본 정부와 요코하마시는 유수지를 조성하며 10년에 1번 정도 2차 저류 구역에 물이 찰 거라 예상했다. 그런데 26년 동안 유수지가 작동한 것은 총 23번. 그중 2차 저류 구역까지 물이 찬 ... ...
'탄소 저장소' 툰드라, 기온 상승 부추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9
소장은 “국제 공동 프로젝트가 30년 넘게 진행될 정도로 툰드라 지역의 탄소배출은
기후
변화 연구에서 중요한 이슈”라며 “세계 시민의 일원이자 극지 전문 연구기관으로서 역할에 충실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를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 ...
[극한호우, 우리]② 서울 지하 빗물터널만으론 물난리 못막아
2024.05.28
많은 비가 내린 2022년 8월 기록이며 200mm는 민승기 포스텍 환경공학부 교수가 두 가지
기후
모델을 통해 예측한 2095~2100년 최대 강수량이다. 분석엔 SWMM(Storm Water Management Model)을 사용했다. 시뮬레이션 결과 도림천 일대에 시간당 141.5mm의 비가 내릴 때 대림동 주변은 지표에서 50cm 되는 높이까지 물에 ... ...
NASA, 극지가 내뿜는 열 관측용 큐브샛 첫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4.05.27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기후
변화 관측 임무 프리파이어(PREFIRE)를 수행하는 큐브샛(Cubesat) 위성의 컨셉 아트. NASA/JPL-Caltech 제공 지구 극지 ... 및 해양과학과 교수는 "PREFIRE 임무가
기후
및 기상 모델을 개선하고 전 세계 사람들이
기후
변화에 대처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극한호우, 우리]① 서울 지하엔 2년전 물난리 흔적…"지하 물길이 답일까"
2024.05.27
환경공학부 교수팀은 2095년에서 3000년 사이엔 시간당 200mm가 넘는 비가 올 수 있다는
기후
모델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앞으로 서울에 건설될 대심도 빗물터널의 설계용량은 강남역 대심도 빗물터널 일부 구간(시간당 110mm)을 제외하고 모두 시간당 100mm다. 지하 물길이 도시를 지키는 데에도 한계가 ... ...
과기정통부, 조직개편…미래에너지·대형연구시설 관련 부서 신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6
수소 등으로 대표되는 미래 에너지 기술과 가뭄·홍수 등
기후
재난에 대비한 혁신적인
기후
적응 기술 개발을 전담할 미래에너지환경기술과도 신설된다. 초거대인공지능 활용·확산에 따른 안정적 에너지원 확보와 탄소중립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원자력연구개발 전담부서도 확대 개편된다. ... ...
지구 온난화가 인간 뇌 크기 줄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6
뇌가 작을수록 인간이 열을 빨리 식힐 수 있어 크기가 점점 줄어들었다는 의미다. 더운
기후
에 사는 인간은 열 손실을 최대화하기 위해 더 날씬하고 키가 큰 신체로 진화했다는 결과처럼 우리의 두뇌도 비슷한 방식으로 진화했다는 것이다. BBC는 이번 발견은 오늘날 빠르게 따뜻해지는 지구로 ... ...
"비행기 탈 때 공포의 '난기류' 2050년 이후 2배 될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4.05.25
라고 설명했다. 역대 가장 심각한 허리케인이 시즌이 찾아오는 이유로 NOAA는
기후
온난화를 꼽았다. 허리케인이 형성되는 대서양 지역의 바닷물 온도는 나날이 따뜻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뜻한 해수면은 허리케인에 에너지를 제공하고 지속시킨다. ... ...
지하엔 '강'·도시 전역은 '스펀지'...극한호우 막는 극한전략
2024.05.24
싱가포르 국립대 디자인 및 환경공학과 교수는 "그린 인프라는 홍수와 같은
기후
재난의 완충재 역할을 한다"며 "인구가 도시에 집중된 아시아에서 필요성이 특히 클 것"이라고 조언했다. 국내 전문가들은 그레이 인프라와 그린 인프라를 함께 적용했을 때 누릴 수 있는 '1+1=3'의 효과를 강조했다. ... ...
60년 뒤 한국, 300만명은 ‘지하수 부족’ 겪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3
지하수 소실을 부추기고 있다. 지하수가 물 자원으로 기능하는 역할을 고려했을 때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수자원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 60년 뒤 한반도 지하수 수위를 예측한 이번 연구에 대해 감종훈 교수는 “국내 기관이 오랜 기간 축적한 양질의 다층 지하수 수위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