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유전"(으)로 총 434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포에 대해서 동물세포와 식물세포의 차이점/세포를 발견하게 된 사례기사 l20141113
- 다 세포막이 있음 둘 다 미토콘트리아가 있음 둘 다 리보솜이 있음 둘 다 골지체가 있음 ▶각 기관의 기능 핵-유전자(DNA)가 있음 미토콘트리아-살아가기 위한 에너지를 만드는 곳 리보솜-단백질을 만드는 곳 골지체-땀이나 호르몬을 분비하는곳 이렇듯이 우리 몸을 구성하고 있는 세포 하나에도 이런 복잡한 구조로 ...
- UN 생물다양성 청소년총회를 다녀와서 - 준비단계기사 l20141019
- 약속은 특정의 종이나 생식지에 집중되었지만 본 조약은 생물의 다양성 전체를 대상으로 하고 있대요. 생물의 다양성이란 생식지, 종, 유전자의 3가지 측면에서의 다양성에 대한 총칭이며 이러한 다양성을 보전하지 않으면 생물을 멸종으로부터 구할 수 없다고 하는 것이 본 조약의 기본적인 입장이고요. 1992년 6월 리우회의에서 158개국 대표가 서명함으 ...
- KAIST-1 7층- 뇌질환 연구/ 간질- 발작 뇌의 한쪽이 크거나 파란색의 반점이 있다포스팅 l20140725
- 상황에서 줄기 세포 연구 연구에서 가장 큰 보람: 계획이 된데로 결과가 나왔을 때 계획은 하지 않었지만 결과가 좋을 때 사람과 유전자가 가장 비슷한 쥐로 실험한다. facs: 우리가 원하는 세포의 형태를 입력하면 이 기계가 세포를 찾아낸다. 동결 절편기: 칼로 조직을 얇게 썰어서 20마이크로 (0.001mm)정도 크기로 잘라야 한다. 양성과 악 ...
- 위 사진은 원심 분리기로 두번째 사진의 부분이 유전자를 나누어 첫번째 사진의 부분에 분리포스팅 l20140725
- 위 사진은 원심 분리기로 두번째 사진의 부분이 유전자를 나누어 첫번째 사진의 부분에 분리 시킨 유전자를 담는다. ...
- 유전자 연구를 위해 쓰이는 피.포스팅 l20140725
- 유전자 연구를 위해 쓰이는 피. ...
- 하늘색 개구리가 발견됬데요!! 부천에서 실존하는 하늘색 개구리가 발견돼 화제입니다~. 부탐사기록 l20140613
- 하늘색 개구리가 발견됬다."고 밝혔답니다! 국립생태원에 따르면 하늘색 개구리는 세포에서 멜라나 합성이 결핍되는 선천성 유전질환인 '백색증' 때문에 몸 색깔이 변한 것이며, 하늘색 개구리가 나올 확률은 대략 5만분의 1이라고 합니다. 부천시 관계자는 "최근 시청사에 작년에 둥지를 틀었던 흰뺨검둥오너가 다시 돌아왔는데 하늘색 개구리까지 발견되는 것 ...
- 고슴도치 이야기 2탄-양말 속 잠 자고, 땅을 파요 '또또'와 친해지기-야생 본능으로 돌아가고 싶은 고슴도치기사 l20140609
- 키운 고슴도치도 야생 고슴도치처럼 태어날 때부터 고슴도치 고유의 습성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는 것이 신기합니다. 역시 타고난 유전자와 본능은 변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야생으로 돌아가고 싶은가 봅니다. (단 고슴도치가 음식물 쓰레기나 고슴도치가 못 먹는 음식을 먹으려 하면 이 때는 고슴도치를 잡아 다른 곳으로 옮깁니다)고슴도치 겨울나기!-양말속 ...
- 일본인의 조상은 한반도에서 건너간 한국인??기사 l20140511
-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 10개국 90여 명의 과학자가 참가한 유전자 프로젝트의 과학자들이 2004년 부터 동남아시아의 73개 인종에 대한 유전자를 분석하였습니다. 그 결과, 아시아 인들의 유전적 특성과 아시아 민족들이 어떻게 이동하고 분화 되 ... 일본, 러시아의 남쪽 등에 정착했는데 여기서 일본인들의 조상이 한반 ...
- 해파리-닥터 피쉬-뿔 달린 도롱뇽과 만나다 아쿠아플래닛의 바다속 물고기-아마존 정글 탐험기사 l20140428
- 신체를 재생하고 놀라운 장기이식 능력(다른 우파루파의 장기를 이식해도 거부반응이 전혀 없다)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우파루파는 유전자 발현이나 발생학, 생명공학 등 학문과 의학 연구에 많이 사용된다고 한다. 나는 귀여운 우파루파의 팬이 됐다. 우파루파를 키우고 싶다.‘펭귄 존’에 갔다. 그런데 처음 안 사실! 펭귄이 꼭 남극에만 사는 건 아니라 ...
- 바이러스, 너의 정체는? 바이러스의 정체를 알아내다.기사 l20140412
- 바이러스의 단점은 혼자서는 번식할 수 없습니다. 그 이유는 자기유전정보 외에 번식에 필요한 것을 아무것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바이러스가 기생하고 증식하기 위해서는 숙주세포가 필요합니다. 숙주세포란 바이러스가 번식할 수 있게 하는 동물, 식물, 세포 등 생명체를 말합니다. 저는 바이러스의 종류 중에서 ...
이전3233343536373839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