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풍부함"(으)로 총 1,96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토종 제빵효모 ‘빵 한류 시대’ 이끌까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프랑스에는 바게트, 이탈리아에는 치아바타, 멕시코는 토르티야가 있다면 한국을 대표하는 빵은 무엇일까. 주변 사람들에게 물어보니 “아마도 단팥빵”이라는 대답이 가장 많았다(‘아마도’라 할 만큼, 모두들 확신하지 못 했다). 기자도 비슷한 생각이었다. 수십 년 역사를 자랑하는 단골 빵집 ... ...
- [과학뉴스] 꽃가루는 얼마나 날아갈까?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꽃가루와 곰팡이 포자 등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이 2000m 고도까지 날아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독일 뮌헨 헬름홀츠연구소와 뮌헨공대, 그리스 테살로니키 아리스토텔레스 의대 공동연구팀은 자동차와 비행기를 이용해 그리스 테살로니키 지역의 해발 0m에서 2000m까지 다양한 고도에서 공기 ...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폐광에서 잠을 자는 붉은박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오렌지색 털이 특징인 붉은박쥐는 원래 아프리카의 열대지역에 살았어요. 이런 붉은박쥐가 온대지역인 우리나라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전략이 필요했지요. 바로 겨울잠이에요. 먹이가 없는 추운 겨울에 살아남기 위해 안전한 장소에서 잠을 자며 기다리기로 한 거예요. 붉은박쥐는 10월 말에 ... ...
- [Issue] 지금, 당신의 머리 위로 우주가 내린다 우주먼지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우주먼지는 우주에서 지구로 날아온 1mm 이하의 작은 입자를 말한다. 지구에는 연간 약 1만4000t의 우주먼지들이 땅으로 내려앉고 있다(doi:10.1186/ BF03352491). 한반도는 지구면적의 0.06% 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우리나라에는 매년 약 8.4t의 우주먼지가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많은 우주먼지가 ... ...
- [Photo] 석영과 그 변종 광물들 中 문명을 요리한 유리 레시피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성질 급한 화산의 레시피가 만든 흑요석흑요석은 약 70%의 이산화규소에 철, 마그네슘 등의 불순물이 섞여 만들어진 준 광물이다. 화산이 이산화규소가 풍부한 마그마를 지상으로 내뱉으면, 원자배열을 이룰 새도 없이 급속히 식으면서 자연 유리가 만들어지는데, 바로 흑요석이다.지난 호에 소개한 ... ...
- Part 1. 힘들 때마다 나만의 ‘노동요’를 찾아 듣는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언제 어디서나 인류와 함께한 음악. 늘 곁에 두고 함께 해서 음악의 존재 이유를 의심해 본 적이 없다. 그런데 미국의 심리학자 스티븐 핑커는 음악이 생존이나 번식과 별 관계가 없다며 ‘귀로 듣는 치즈케이크’라고 말했다. 우리는 왜 이토록 음악에 열광할까.누구나 안다. 세상에 뭐 하나 쉬운 ... ...
- [Photo] 석영과 그 변종 광물들 上 플린트, 문명 진화의 일등공신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수십만 년 전 어느 날, 한 구석기인이 계곡에서 뭔가를 열심히 찾고 있었다. 얼마 후, 냇가의 돌더미 속에서 주변과는 다른 뽀얀 돌을 집어 든 그는 여기저기 힘껏 두들겨 봤다. 쉽게 깨지는 다른 돌과 달리 그 돌은 멀쩡했다. 그 돌을 수렵채집에 이용했더니, 전에 비해 훨씬 좋은 결과를 얻었다. 이 ... ...
- [Issue] 전통 막걸리, ‘ 미생물 배합’으로 부활할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한국식품연구원이 개발한 누룩이다. 여기엔 전통누룩에서 발굴한 곰팡이가 살고 있다.왼쪽부터 녹두, 메밀, 보리, 팥으로 만든 누룩이다. 쌀을 곱게 갈아 물에 넣고 밀가루와 함께 오랜 시간 치댄다. 반죽을 동그랗게 만들어 볏짚 위에 올려 놓는다. ‘누룩’이다. 누룩에 살고 있는 곰팡이와 효모 ... ...
- [과학뉴스] 플랑크톤처럼 움직이는 소형 로봇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바다에 가장 풍부한 플랑크톤은 많은 해양 생물의 먹이가 되는 중요한 생명체예요. 플랑크톤은 운동 능력이 매우 약해 물에 둥둥 떠다니며 생활하는 생물 무리로, 식물성 플랑크톤과 동물성 플랑크톤으로 나눌 수 있어요.최근 미국 UC샌디에이고 스크립스해양연구소 연구팀이 이런 플랑크톤의 움직 ... ...
- [Issue] 봄 산불, 해충이 막는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매년 봄이면 전 세계 곳곳에서 산불이 발생한다. 피해를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 산림과학자들은 산불 발생 가능성이 큰 지역을 선별해 숲을 미리 정비한다. 해충이 발생해 고사목이 늘어난 숲은 늘 정비대상 상위다. 그런데 최근, 해충이 발생한 숲이 오히려 산불이 덜 발생하고 피해도 적다는 연 ... ...
이전3233343536373839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