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포토"(으)로 총 573건 검색되었습니다.
- [포토에세이] 집 속에 집을 짓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벽을 세우고 지붕을 얹는다. 창문과 문의 위치를 잡고, 계단으로 층간을 연결한다. CAD 작업이 한창인 컴퓨터 화면만 보면 보통의 건축가 같다. 그러나 막상 집을 짓는 현장에서 쓰이는 재료는 속이 비칠 정도로 얇은 천뿐이다. 이 집은 바로 서도호 작가가 세운 ‘집 속의 집 속의 집 속의 집 속의 집 ... ...
- [체험] 말안장 곡면 만들기수학동아 l2014년 01호
- “여기가 어려운 수학 문제를 해결해 주는 동아리 매스해결사인가요?”“응, 맞아. 어서 와, 아밀리~! 네가 올해 첫 의뢰인이야. 말만 하라구. 뭐든 우리 앤드류가 해결해 줄 거야.”“올해가 말의 해잖아요. 그래서 말과 관련된 수학 내용을 찾으려고 하는데…, 잘 모르겠어요.”“설마 말안장 곡 ... ...
- 중국의 ‘선녀’, 달로 돌아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중국의 무인 달 탐사 위성인 ‘창어 3호’가 현지시간으로 지난 12월 14일 오후 9시 12분 경 달 표면에 착륙하는 데 성공했어요. 이로써 중국은 미국과 러시아에 이어 세계 세 번째로 달에 도달한 나라가 되었답니다.창어 3호는 12월 2일 중국 쓰촨성 위성발사센터에서 발사된 뒤 12일 간의 우주여행 끝 ... ...
- [화보] 찰나의 순간, 수학을 포착하다!수학동아 l2014년 01호
- 찰나는 1초를 75로 나눈, 약 0.013초밖에 안 되는 아주 짧은 시간을 말한다. 이처럼 짧은 순간은 사람의 눈으로 포착하기 힘들기 때문에, 우리는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모르는 짧은 순간을 ‘찰나’라는 말로 표현한다. 하지만 이런 찰나의 순간에도 수많은 일들이 일어난다. 그리고 그 중에는 수학으 ... ...
- [가상인터뷰] 뱀주사위놀이를 하면 수학 실력이 쑥쑥!수학동아 l2014년 01호
- 미국 보스턴대의 엘리다 라스키 교육심리학 교수는 뱀주사위놀이를 하면서 숫자를 세는 방법에 따라 아이들의 수학 실력에 큰 차이가 있다는 연구결과를 미국 발달심리학 저널에 발표했습니다.대체 뱀주사위놀이와 수학이 무슨 상관이 있는 걸까요? 엘리다 라스키 교수님께 확인해 봐야겠습니다 ... ...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간여행 0을 찾아서!수학동아 l2014년 01호
- “하…, 하늘에서 거…, 대한 물체가 떨어졌습니다! 스승님, 밖에 한 번 나가 보시죠?”기원전 340년 아테네. ‘쿵~!’ 하는 소리와 함께 거대 구조물이 하늘에서 뚝 떨어졌다. 이 광경을 지켜본 아리스토텔레스의 제자들은 매우 놀라 넋이 나가는데….“스승님, 이 거대한 구조물은 신이 내린 선물 ... ...
- [수학뉴스] OECD 수학 1위, 흥미도는 최하위권!수학동아 l2014년 01호
- 지난달 3일 OECD(경제협력개발기구)가 PISA(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우리나라의 수학실력은 OECD 회원국 34개국 중에서 1위, 전체 65개국 중에서는 3~5위를 차지했지만, 수학에 대한 흥미도는 OECD 평균을 한참 밑도는 최하위권이었다. 그동안 우리나라 수학교육의 고질적인 문제로 지적 ... ...
- 기자가 필요 없는 세상이 온다? 미래는 알고리즘 시대수학동아 l2014년 01호
- 마감 시간이 다가오는데도 기사를 완성하지 못해 애태우는 기자, 운전대만 잡으면 헤매는 운전자, 진료받기 위해 한참 의사를 기다리는 환자들! 생활 속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풍경이죠?하지만 이런 모습들은 이제 추억으로만 남을지 몰라요. 빅데이터와 알고리즘 덕분에 기자가 필요 없는, 운전자가 ... ...
- 콜록콜록, 작지만 무시무시한 미세먼지의 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4호
- 엣취~, 코가 간지럽고 콧물도 나고 하루 종일 재채기도 멈추질 않아. 병원에 갔더니 의사선생님이 감기가 아니라 알레르기성 비염이래. 알레르기성 비염이 왜 생겼냐고? 요즘 공기 중에 미세먼지 농도는 높아지고 스모그도 자주 일어나서 그런 거래. 그러고 보니 도시 전체가 뿌옇게 변해서 앞이 ... ...
- 까마귀의 ‘새대가리’ 속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4호
- 흔히 머리가 나쁜 사람을 보고 ‘새대가리’라고 놀리지요. 하지만 새들이 들으면 화 낼 소리예요. 특히 까마귓과 새는 도구를 사용하고 사회적 관계를 맺을 정도로 머리가 매우 좋거든요.독일 튀빙겐대학교 안드레아스 니더 교수 연구팀은 까마귀의 뇌를 관찰한 결과, 지능을 발휘할 때가 되면 사 ... ...
이전3233343536373839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