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카메라"(으)로 총 2,240건 검색되었습니다.
- 1990년 우주로…허블우주망원경, 30년의 대기록과학동아 l2020년 05호
- 평가했다. 2003년 9월 24일부터 2004년 1월 16일까지 허블우주망원경은 화로자리(Fornax)로 카메라를 돌려 은하가 활발히 생성되거나 은하끼리 합쳐지는 초기 우주(빅뱅 이후 4억~8억 년)를 촬영해 ‘허블 울트라 딥 필드’ 이미지를 만들었다. 이 사진에는 약 1만 개의 은하가 담겨있다. 이 영역은 우주 ... ...
- [가상인터뷰] 나비, 날갯짓으로 체온을 유지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두 곳에 혈액 림프와 신경세포가 밀집돼 있었단다. 이후 다시 날개에 열을 비추고 적외선 카메라로 확인해 봤더니, 이 두 곳은 다른 부위와 달리 항상 차갑게 유지되고 있었대. 나비는 날개가 매우 얇아서 햇빛을 받으면 금방 뜨거워지거든. 이때 살아있는 세포조직이 몸의 열을 인지하고 방출해서 ... ...
- 페임랩 도전기 “내년엔 ‘노잼’은 없다”과학동아 l2020년 05호
- 1차 예선에 제출할 영상을 촬영했습니다. 역시 마감일이 닥쳐야 몸이 움직이는 법이죠. 카메라를 셀프 촬영 모드로 놓고, 각 티슈 2개가 놓인 책상 앞에 앉았습니다. 둘 중 한 각 티슈는 들어있는 휴지를 모두 제거하고 이면지를 구겨 넣었습니다. 드디어 촬영 시작. 녹화 버튼을 누르고 각 티슈에서 ... ...
- 도심에서 발견된 여우, 너의 정체는?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야생에서 태어난 여우는 목걸이를 채울 수 없어 서식처 인근에 설치된 무인 센서 카메라와 헤어트랩 등 보조장비를 사용해 관찰한다. 이렇게 확인한 여우의 서식처는 현재 방사 지점 주변 약 30km까지 퍼져있다.방사 지점인 소백산과 청주의 거리는 약 100km다. 이번에 붉은여우가 구조된 위치는 ... ...
- [과학동아 X 긱블] '밸런싱체어' 파도야 쳐라, 네가 아무리 거세도 나는 흔들림이 없으니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도만큼 기울어진다고 예측되면, 구동 장치는 그와 반대 방향으로 10도만큼 빠르게 움직여 카메라의 평형을 유지합니다. 물론 한번에 10도만큼 회복되지 않고 조금 더 기울였거나 덜 기울이는 오차가 발생합니다. 이렇게 발생한 오차는 적분과 미분 연산을 통해 조금씩 줄여나가면서 원하는 목푯값에 ... ...
- [한페이지 뉴스] 평면렌즈 하나로 6m 거리까지 선명하게 찰칵!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작동하도록 성능을 업그레이드할 계획이다. 매넌 교수는 “MDL의 능력을 끌어올리면 카메라를 더 가볍고 단순하게 만들 수 있다”며 “현미경이나 내시경, 자율주행차용 촬영 장치인 라이다(LIDAR) 등 다양한 산업에 폭넓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옵티카’ 3월 1 ... ...
- 아로코스, 행성 탄생 이론 뒤집나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심우주에 진입했고, 지금도 우주를 항해하고 있다). 먼 우주를 향하고 있던 보이저 1호의 카메라 방향을 지구 쪽으로 돌리는 일은 얼마 남지 않은 자체 전력을 사용해야 하는 등 어찌 보면 불필요한 작업이었다. 하지만 그렇게 찍은 사진 한 장이 모든 사람의 마음을 뒤흔들었다. ‘창백한 푸른 점 ... ...
- 스마트폰 100배 줌해도 화질 선명한 이유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이상, 현재 줌 기능만으로도 일상 생활에선 최상급에 다다른 수준”이라고 말했다. 심도카메라용 이미지 센서를 연구 중인 최재혁 성균관대 반도체시스템공학과 교수는 “반도체 나노 공정이 고도화될수록 이미지 센서의 화소와 정보처리 능력은 점점 더 좋아지고 있다”며 “줌 성능을 향상시킬 ... ...
- [비하인드로켓] 개발모델, 인증모델, 비행모델, 나로호 2단의 쌍둥이들과학동아 l2020년 04호
- 444초가 지난 시점부터 가속도 및 노즐 회전각이 서서히 변화하는 문제점이 발견됐지만(카메라에 촬영된 영상을 분석해보니 킥모터 점화는 정상적으로 이뤄졌으나 점화 후 40초 뒤부터 자세 제어에 이상이 생겼다), 킥모터가 의미 있게 추력을 내는 구간이 당초 예상과 거의 유사했고, 비행 중 나로호 ... ...
- [수학뉴스]수학으로 저렴하고 가벼운 우주선 만든다수학동아 l2020년 04호
- 용기 사이의 간격 등을 바꿀 수 있는 실험용 회전식 폭발 엔진을 개발했습니다. 고속 카메라로 연료가 타는 0.5초 동안의 과정을 찍어 약 12만 장의 이미지를 얻고, 충격파의 이동을 재현하는 수학 모형을 만들었습니다. 커츠 교수는 “회전식 폭발 엔진의 복잡한 작동 방식을 설명하는 유일한 ... ...
이전3233343536373839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