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출동! 슈퍼M] 연필 모양을 육각형으로 만든 이유는?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7호
연필의 모양으로 가장 적합한 모양은 육각형이라고 생각하게 됐어요. 1905년에 만들어진
최초
의 육각형 연필 ‘카스텔9000’ 이후, 대부분의 연필 회사는 육각형 연필을 만들게 됐답니다 ... ...
[똥손 수학체험실] 나랑 ‘물물교환’할래? 나는 말랑이 거래 왕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7호
고대 그리스의 역사가 헤로도토스가 쓴 책인 에는 ‘침묵 교환’에 대한 인류
최초
의 기록이 나와요. 두 사람이 말없이 물건만 교환해서 침묵 교환이라는 이름이 붙었지요. 어때요? 거래판에 말랑이를 올려놓고 버튼을 눌러 소통하는 말랑이 거래판과 비슷하지요?인류는 아주 오래전부터 서로 ... ...
[화보] 인어와 함께 떠나요! 바다왕국
수학동아
l
2022년 07호
서인도 제도에 있는 그레나다의 작은 섬을 위해 조각품을 만들었어요. 이 공원은 세계
최초
의 수중 조각 공원이랍니다. 이때 제 작품이 엄청난 관심을 받게 됐어요. 이후 여러 대양에서 수중 조각 공원을 만들고 있답니다. Q 작품을 어떻게 만드나요? 진짜 사람의 얼굴에 석고를 바른 뒤 굳혀 틀을 ... ...
[기획] N - S 방정식의 약해는 2개!
수학동아
l
2022년 07호
정인지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교수는 “장 르레의 약해가 하나가 아님을 증명한
최초
의 시도이기에 의미 있는 결과”라고 밝혔어요. _ 인터뷰 “수학은 함께 하는 학문이에요!”달라스 알브리튼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연구원 Q 이 문제는 어떻게 풀게 됐나요? 2020년 가을부터 N-S ... ...
우주 공장에서 만드는 물방울 렌즈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드는 비용을 아낄 수 있다는 계산이다.우주 공간에서의 본격적인 유체망원경 실험은
최초
의 민간 우주임무인 액시옴(Axiom)-1을 통해 진행될 예정이다. 액시옴 임무는 민간우주정거장 건설과 미세중력 상황에서의 물품 제조 등이다. 중력이 거의 없을 때는 혼합물의 침전이 일어나지 않고, 더 순수한 ... ...
[기획] 시대에 휘둘린 ‘정치적 에너지’의 흥망성쇠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기념탑.” (1978년)“안전하지도, 저렴하지도 않으며 친환경적이지도 않다.” (2017년)한국
최초
의 상업용 원자력 발전소(원전) 고리 1호기가 생애를 시작하며, 그리고 끝내며 들은 말이다. 1978년 박정희 전 대통령의 축복과 함께 태어나, 2017년 문재인 전 대통령의 비판과 함께 잠들었다. 교차하는 평가 ... ...
[SF소설] 나와의 다세계적 채팅방 해석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구체적인 내용을 이야기할 권한이 없는데, 다만 그곳이 세계
최초
는 아니지만 국내
최초
로 100 큐비트 양자컴퓨터 개발에 성공한 곳이라는 정도는 말해도 될 것이다. 물론 기사를 통해 대대적으로 홍보가 된 그곳이었다.그곳에 나와 내가 합류한 해커팀 ‘그건네사정이고’는 개발에 성공한 100 ... ...
[시사과학] 항생제 중독에 빠진 강 제 2의 팬데믹 일으킬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6호
928년,
최초
의 항생제 ‘페니실린’이 영국의 세균학자 알렉산더 플레밍의 손에서 탄생했습니다. 항생제는 이후 점점 더 발전하며 인류 수명을 크게 향상시켰어요. 하지만 사용하고 남은 약물이 제대로 처리되지 못한 채 전 세계 강 곳곳으로 흘러들어가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경고가 잇따르고 ... ...
[특집] e스포츠 경기장이?
과학동아
l
2022년 06호
전용 e스포츠 경기장이 아닌 한 대학교 캠퍼스. 뜨거웠던 현장에 직접 가봤다. 국내
최초
e스포츠 펍, 이렇게 생겼다기자가 찾아간 곳의 정식 명칭은 ‘e스포츠 콜로세움’. 4월 6일 포스텍에 문을 연 따끈따끈한 e스포츠 경기장이다. 우리나라 대학에 e스포츠 경기장이 생긴 건 이번이 처음이다 ... ...
태양계 끝 소외된 행성 ‘천왕성’의 재조명
과학동아
l
2022년 06호
이상 넓어진 셈이다.그렇게 멀리 떨어져 있다 보니 천왕성을 방문하는 일은 쉽지 않았다.
최초
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가 발사된 1957년을 우주 탐사의 원년이라 한다면 우리 인류의 우주 탐사 역사는 반세기를 훌쩍 넘은 지 오래다. 그런데도 지금껏 천왕성에 가까이 간 탐사선은 보이저 2호뿐이다. 1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