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역"(으)로 총 37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3 자동차용 신소재 가볍고 튼튼한 차과학동아 l1987년 02호
- .5㎞/1였던 연비도 85년에는 11.6㎞/1로 극적인 신장률을 보였다. 경량화의 주역들경량화의 주역을 이룬 소재중의 하나가 고장력강이다. 티타늄과 바나듐을 약간 함유하는 이 강을 쓰면 차체를 0.8㎜애서 0.1㎜까지 얇게 할 수 있다. 또 고장력강의 일종인 마이크로 합금강은 종래의 연강의 2배가 넘는 56 ... ...
- PART1 정보·통신 광자공학의 시대를 연다과학동아 l1987년 02호
- 회로소자를 칩의 표면 뿐 아니라 중첩된 층으로 배치할 수 있다. 다가올 광자공학시대의 주역은 갈륨비소를 필두로 한 화합물반도체가 될 것이다. 그밖에 최근 주목받고 있는 것이 분자선(分子線) '에피탁시'(epitaxy)기술이다. 이 기술을 이용해 연구자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화합물 뿐 아니라 원하는 ... ...
- PART2 항공·우주 신합금과 첨단 복합재료가 주역과학동아 l1987년 02호
- 재료과학의 최전선은 항공·우주분야, 더 가볍고 강한 재료의 탐구에는 끝이 없다.항공기개발의 역사는 재료의 발달사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라이트형제의 '플라이어'호에서 우주왕복선 '콜롬비아'호에 이르기까지 변함없이 추구된 것은 '보다 강하고 보다 가벼운'재료였다. 그 결과 지난 30년 동안 ... ...
- PART6 광자공학재료 광컴퓨터가 탄생한다과학동아 l1987년 02호
- 재료는?지금까지의 전자공학이 전자를 기본으로 하는데 비해 앞으로 올 광자공학시대의 주역은 광자(photon)이다. 광자공학이 발달하게 된 원동력은 광통신이었다. 레이저가 출연한 이후 전기통신에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빛의 기술 즉 전기신호를 대신해 광신호를 생성 전송 수신 처리하는 기술이 ... ...
- 고성능 256KS램 개발 주역 김 창수 박사과학동아 l1987년 01호
- 30년대부터 나오기 시작, 1848년 미국의 벨연구소에서 트랜지스터를 발명하면서 20세기의 주역으로 등장했읍니다. 그 응용은 라디오에서 부터 출발,컴퓨터에 본격적으로 쓰이면서 수십-수백만개의 트랜지스터가 집적된 오늘날의 VLSI(초대규모 집적회로)급 반도체에 이르게 되었읍니다.-반도체의 ... ...
- 한국항공대학과학동아 l1987년 01호
- 항공관계분야의 중추를 이루고 있을 뿐 아니라 앞으로 발전이 기대되는 항공산업진흥의 주역이 될 전망이다."우주개발시대에 돌입한 현시점에서 항공과학은 이른바 첨단과학의 선두위치에 놓여 있음에 비추어 항공대학이 우리나라 항공기술의 질적 수준을 국제적 기준으로 향상시키는데 차지하는 ... ...
- 문제해결의 능력 키워야 2000년대를 대비하는 과학 교육과학동아 l1986년 12호
- 우리가 교육하고 있는 학생들은 2000년대의 주역이 될 것이다. 1984년에 국민학교를 입학한 학생이 만일 대학까지 학업을 계속한다면, 대학졸업식에서 21세기를 여는 원년 축하를 받게 될 것이다.이 시점에서, 21세기의 사회는 어떤 특징을 갖게 될 것이며, 그 사회에서는 어떤 지식과 기능을 갖춘 ... ...
- PART1 DNA의 구조와 복제 생명을 지배하는 이중나선구조과학동아 l1986년 12호
- 있기는 하지만 그 자체가 생물적인 활성을 갖고 있지는 않는다. 구체적인 생명활동의 주역은 단백질이다. DNA의 유전정보를 바탕으로 단백질이 합성되는 과정을 알아보자.앞에서 우리는 생물체를 '집'에 비유할때 DNA는 '설계도'에 해당한다는 것을 알았다. 즉 단백질이라는 건축재료를 어떻게 만들며, ... ...
- 첨단기술사회의 성격화 대응 정보를 처리하고 통제하는 능력 길러야과학동아 l1986년 12호
- 위해서 필요한 3가지 요소는 물질, 에너지 그리고 정보이며, 정보가 그 사회운영의 주역이 되는 사회, 즉 물질과 에너지의 생산ㆍ유통대신에 정보의 생산ㆍ유통이 주축이되는 사회를 정보화 사회라고 말한다.과학과 기술의 상승작용에 의해서 고도의 과학기술이 출현하고 또한 이것이 빠른 속도로 ... ...
- PART1 내일의 TV과학동아 l1986년 11호
- 40인치가 넘는 초대형 TV가 곧 등장한다. 또 고품위의 TV는 정보화사회의 주역으로 각광받을 것이다. 새로운 TV의 기능과 테크놀로지는 어떤 것일까.TV화면이 1인치에 불과한 경우를 상상해보자. 이쯤되면 손목시계처럼 TV를 차고 다닐 수도 있을 것이고, 책상앞에 벽걸이TV로 꾸밀 수도 있을 것이다. ... ...
이전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