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관례
관습
인습
전승
고전
세습
전통의례
d라이브러리
"
전통
"(으)로 총 1,798건 검색되었습니다.
불심에 담긴 수학을 찾아 황금의 땅 미얀마로
수학동아
l
2015년 12호
미얀마는 군사독재 때문에 오랫동안 외부 세계와 단절된 채 자신들만의 문화와
전통
을 간직하며 살고 있었어요. 그런데 최근 미얀마에도 개방의 바람이 불면서 다른 나라와 점점 더 많이 교류하고 있습니다.쉐다곤 파고다★의 76캐럿 다이아몬드비행기에서 양곤 시내를 내려다보면 점점이 반짝이는 ... ...
생물 피해로부터 천 년 문화재 지키기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갔던 국내 여행을 떠올려 보세요. 그곳에서 만난 문화재나
전통
건축 중 상당수는 나무로 지어졌을 것입니다. 나무는 아름답고 튼튼한 재료입니다만, 몇 가지 피해에 취약하기도 합니다. 특히 해충이나 곰팡이 등 생물에 의한 피해는 금속이나 석조 문화재에 비해 목조 문화재에서 특히 많이 발생하는 ... ...
‘지옥의 실험실’ 피할 방법 있을까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힘들다. 권헌영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는 우리나라 대학원에 “군사부일체라는
전통
적·유교적 가치관과 도제식 교육과정의 특수성이 결합돼 있다”고 말한다. 심층인터뷰를 한 피해학생도 “지도교수 교체는 교수의 명성에 상당한 흠집을 낸다”며 “행정적으로는 가능하지만 실제로 ... ...
자작곡 어렵지 않아요! 음악 만드는 소프트웨어
수학동아
l
2015년 12호
친구들과 바로 공유할 수도 있다.‘스마트 풍류방’이라는 앱을 이용하면 우리나라
전통
음악도 작곡이 가능하다. 앱을 개발한 최영준 UCSI 교수는 “가야금과 장구 연주는 물론, 국악의 묘미인 시김새도 구현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시김새는 기교를 부리는 방법으로 악기마다 다른 기술이 있다 ... ...
방화범과 소방관 사이의 마무리 투수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경우는 멜트다운이라고 부른다.자, 이제는 셧다운의 순위와 구원 투수를 평가하는
전통
적인 방식인 세이브와 비교해보자. MLB부터 살펴보면 100마일 직구로 유명한 세인트루이스의 트레버 로젠탈이 눈에 띈다. 로젠탈은 48개의 세이브를 거두며 MLB 전체에서 세이브 2위를 기록했지만 셧다운 ... ...
PART 3. 생리의학상 자연에서 찾은 기생충 특효약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합성 미생물은 현재 아르테미시닌 수요의 3분의 1 이상을 담당하고 있다.우리나라의
전통
약물 지식도 중국에 못지않다. 우리나라에도 식물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치료법이 존재하므로 이를 잘 활용해야 한다. 노벨상 수상자들이 처음 개발한 약물을 발전시켜 더 효과가 뛰어난 치료제를 완성했듯,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한국에서 열리는 세계 중학생 과학 올림픽! 제12회 국제중등과학올림피아드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대회 기간 중에는 문화체험과 시험이 하루씩 번갈아 이뤄진다. 올해는 주최국인 한국의
전통
문화를 체험하는 시간과 대구과학관 관람, 경주 신라문화 탐방 및 경북대 캠퍼스 견학이 마련돼 있다. 황의욱 IJSO-2015 조직위원장(경북대 생물교육과 교수)은 “장차 세계 각국의 과학계 리더가 될 ... ...
수원청개구리가 사라지고 있는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1호
공간이 없는 거지요.수원청개구리의 또 다른 휴식처인 배수로도 과거와 많이 변했어요.
전통
적인 논둑 옆에는 종종 논에 물이 들어오거나 빠져나가는 길인 ‘배수로’가 있어요. 배수로는 흙으로 만들어져 수풀이 풍부하게 자라나 있었어요. 평소에는 수초들이 배수로를 따라 흐르는 물의 ... ...
빛을 멈추게 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양자(광)메모리’를 연구하는 학자들 사이에서 이렇게 빠른 속도는 큰 골칫거리다.
전통
적인 디지털처리방식은 0과 1을 나누기 위해 전압, 위상, 극성 등을 기준으로 삼는다. 양자메모리는 연속적인 빛을 시간대 별로 짧게 토막을 낸 ‘펄스’라는 디지털 정보를 만든다. 그런데 너무 빠른 속도가 ... ...
[상수의 탄생10] 고전물리학의 균열을 메운 보어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더할 수 있는 값처럼 보인다. 물리학에선 이 ‘무언가’를 빛알(광자)이라고 부른다.
전통
적인 파동설에서 벗어나, 빛의 본질을하나씩 셀 수 있는 알갱이로 보는 관점이다.아인슈타인은 빛알 개념을 통해 광전효과를 완벽히 해석했다. 그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전자가 금속판에서 튀어나오려면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