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슈퍼M] 삼각김밥은 왜 삼각형 모양일까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7호
- 효과!삼각형 모양 주먹밥은 다른 모양에 비해 양이 많아 보인다는 장점도 있어요. 만약 위 그림과 같은 모양의 주먹밥이 진열대에 놓여 있다고 생각해 볼까요? 정삼각형과 정사각형의 한 변, 원의 지름★이 모두 같으므로 진열대에서 비슷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것처럼 보여요. 하지만 실제로 ... ...
- [허준이 교수가 프린스턴에서] 가장 자주 가는 장소수학동아 l2023년 07호
- 아깝기 때문이에요. 기자도 허 교수가 늘 먹는 메뉴를 함께 먹어봤는데요. 밥과 고기 위에 새콤한 소스가 뿌려져 있어서 낯설었지만, 먹을수록 중독되는 맛이었습니다. 하지만 매일 먹기는 힘들 것 같아요. 프린스턴에 방문해 허준이 교수의 생활을 따라가 보니 그가 얼마나 연구에 진심인지, ... ...
- [Reth?nking] 대수와 기하는 어떤 관계인가?수학동아 l2023년 07호
- 됐던 것 같고요. 이런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기하학의 범위를 대수학과 연결할 수 있는 범위까지 확장하고, 고대 그리스인이 풀지 못했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찾아냈지요. 그래서 대수학과 기하학이 통합된 새로운 패러다임을 완전히 새로운 과학이라고 여긴 것으로 보입니다. 저는 박사님께 ... ...
- [뉴스&인터뷰] 키를 결정하는 80%의 비밀...유전자 읽어 미래 키 알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수 있다”고 했습니다. 이 교수는 “또한 비만이나 과체중이 되면 성조숙증이 발생할 위험성이 커지고, 성장판의 진행 속도(닫히는 속도)가 빨라져서 오히려 자신이 갖고 있는 유전적인 키만큼 성장을 못 하게 되기 때문에 균형 잡힌 식단, 운동을 통해 비만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습니다. ... ...
- [5년 후, 과학은] 맞춤형 치료의 새로운 열쇠, 장내미생물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오랫동안 장내미생물 연구는 배양 배지로 단일 미생물을 분리하거나 현미경으로 미생물을 직접 관찰하는 식으로 이뤄졌습니다. 그런데 2000년대 들어 차세대 ... 중요해진 때입니다. 한국인의 건강을 위한 장내미생물 정보 확보와 이를 활용한 기술 개발을 위해 계속해서 노력하겠습니다 ... ...
- 지문의 탄생은 우연의 연속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패턴으로 알려졌지요. 연구팀은 세 단백질 분자가 서로에게 영향을 끼치며 지문을 무작위적인 튜링 패턴 형태로 만들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제껏 지문의 융선이 완성돼 가는 구체적인 과정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혈액이나 피부 주름 등이 영향을 줬을 거라는 여러 가설만이 존재했죠. 헤든 ... ...
- [꿀꺽! 수학 한 입] 정삼각형, 직각삼각형, 둔각삼각형 다 모였네!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7호
- 있는데, 그중 가장 기본적인 형태는 ‘워런 트러스’예요. 워런 트러스는 정삼각형을 위, 아래로 뒤집으며 이어붙인 구조이지요. 또, 직각삼각형과 둔각삼각형이 합쳐져 ‘K’와 같은 모양을 만든 ‘K 트러스’도 있어요. 직각삼각형은 한 각이 직각인 삼각형이고, 둔각삼각형은 한 각이 직각보다 큰 ... ...
- [옥톡과 달냥의 우주탐험대] 다누리 호 / 폭풍의 바다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7호
- 안녕? 우린 우주인이 되기 위해 특수훈련을 마친 옥톡과 달냥이야. 어느 날, 우주 저 멀리에 있는 외계인으로부터 신호가 왔어. 당장 그들을 만나러 갈 거 ... 회색으로, 겉면에 크고 작은 구멍이 많아요.지름: 원이나 구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으로, 원의 둘레 위의 두 점을 이은 선분이에요 ... ...
- [전지적 독자 시점] “작년 누리호 포스터가 인상깊었어요! 이번 기사도 기대돼요!”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다가온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우리의 실생활, 건강과 연결되는 주제인 만큼 많은 전독위 여러분들이 관심을 가져 주셨습니다. 과학동아 편집부에 막 합류한 김미래 기자가 진땀 흘려가며 열심히 취재했으니 방류를 둘러싼 7가지 주요 이슈에 대해 같이 파헤쳐 봅시다 ... ...
- [과학뉴스] 감정을 담당하는 편도체 ‘식탐’도 조절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쥐들의 편도체를 관찰했다. 연구팀은 쥐 편도체의 신경세포들을 어떤 mRNA(단백질 생산을 위한 설계도를 전달하는 RNA)를 만드는지에 따라 분류했다. 그 결과 크게 9개의 신경세포 군집으로 나뉘며, 그중 4개 군집이 식욕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편도체가 식욕 관련 mRNA를 만드는 과정까지 ... ...
이전3233343536373839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