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원자"(으)로 총 2,511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미디어] 어벤져스: 엔드게임...사라진 영웅들 부활할까?수학동아 l2019년 04호
- 결정하지 않고 모든 위치마다 전자가 있을 확률을 계산한 뒤 확률들의 분포에 따라 원자의 성질을 정한다. 이런 특징 때문에 우리가 사는 세상과 다른 현상이 나타난다. 나노종합기술원 이종권 박사는 “양자 영역에서 공간은 확률적으로 존재하고 과거 시간으로 돌아가는 것도 가능하다”고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슈뢰딩거의 고양이는 죽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양자역학의 불완전함을 증명하기 위해 고양이 생각 실험을 생각해 냈죠. 방사성 원자의 붕괴와 안정이 중첩될 수 있다면, 고양이 역시 살아 있음과 죽어 있음이 중첩될 수 있다는 말을 하고 싶었던 거죠.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 ...
- '캡틴마블' 옥에 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새로운 원소를 찾는 건 아직은 요원하다. 홍 교수는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는 우선 원자핵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려면 중성자가 양성자보다 많아야 한다”며 “많은 과학자들이 양성자 126개와 중성자 184개를 가진 126번 원소를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현재 기술로는 가까운 시일 내에 찾기 ... ...
- 한국 인공태양 완공 10년, 1억 도로 타올랐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중수소-삼중수소 핵융합 반응을 일으키면 방사선이 발생하는데, 원자력규제기관의 방사선 안전 규제를 충족해야 반응을 할 수 있다는 점도 걸림돌이다. 실제로 중수소-삼중수소로 핵융합 반응을 실험할 수 있는 현존 장치는 유럽의 상전도 토카막인 ‘JET’가 유일하다. 1983년 ... ...
- 3D프린팅, 나노세계로 줄이거나 조각하거나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개미만큼 작아지는, 다운사이징 기술이 핵심이다. 주인공은 몸의 크기를 더욱 줄여 원자보다 더 작은 세계까지 섭렵한다. 실제로 최근 과학계에서는 ‘3D 나노-마이크로 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복잡한 구조물을 나노미터(nm·1nm는 10억분의 1m) 수준으로 확 줄이는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나노 ... ...
- 스티븐 호킹 서거 1주년, 먼지가 된 호킹과의 대화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만든, 즉 양의 에너지와 음의 에너지를 나눈 건 무엇인가요? 원자 수준을 지나 아원자 수준까지 내려가면 그 세계에서는 아주 잠깐 동안이기는 하지만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무엇인가 튀어나오는 ‘마법’이 가능한 세상이 펼쳐집니다. 그것이 가능한 이유는 이 정도 규모의 세상에서는 입자들이 ... ...
- [통합과학 교과서] 꿀록 탐정, 수사에 나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흡수했다가 그대로 방출할 수 있는 전자를 많이 가지고 있어요. 서로 결합된 금속 원자의 원자핵 사이를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자유전자’들이 있기 때문이죠. 이 자유전자가 쉽게 빛을 흡수했다가 방출해서 금속은 빛을 잘 반사할 수 있답니다. 그렇지만 금속도 종류에 따라 반사하는 빛의 ... ...
- '주노'가 보내온 목성 클로즈업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만들어지는데, 이때 주변 입자들이 자기장에 의해 빠르게 가속되다가 서로 충돌해 원자핵이 분열되며 방사성 물질로 바뀐다. 이를 견디기 위해 주노를 만들 때 강철만큼 단단하면서도 무게가 강철의 절반인 티타늄을 썼다.스티브 레빈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주노 프로젝트 연구원은 “주노는 ... ...
- DGIST 신물질과학전공 - 원자 하나하나 제어해 고온 초전도체 원리 밝힌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원자 수준의 매우 미세한 차이로 만들어진다는 점에 주목했다. 그는 “STM으로 원자가 하나인 경우부터 수십 개인 경우까지 각각의 전기적 특성을 분석하고 있다”며 “초전도 현상을 나타내는 위상물질의 특성을 확인하면 이를 통해 고온 초전도체의 전자쌍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원리를 ... ...
- [SPACE] 토성의 ‘절대 고리’가 사라진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지름이 10m인 천체망원경의 근적외선 분광계(NIRSpec)로 토성을 관측했다. 그 결과 삼원자수소 이온(H3+)의 방출선(파장 3.953μm, 3.622μm)의 밝기가 위도에 따라 다르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H3+는 토성의 이온층을 이루는 주요 성분 중 하나로, 토성 대기가 태양빛을 받을 때 생겨난다. 그런데 관측해보니 H3 ... ...
이전3233343536373839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