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발
개척
d라이브러리
"
실용화
"(으)로 총 914건 검색되었습니다.
③ 직장 생활과 재해 안전 시스템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현재와 같은 사무실이 미래에도 존재할까. 아니다. 네트워크가 연결된 곳이라면 그 어디라도 사무실이 될 수 있다. 또 국제회의를 위해 비행기를 탈 일도 거의 없어질 것이다. 화상 회의와 ... 로봇이 개발된다.● 2012년전 세계의 언어를 자동으로 토역해주는 소형 통역기가
실용화
된다 ... ...
'아마추어' 정신의 승리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이때 그레이의 장치는 벨의 것보다 성능이 우수했다. 하지만 그레이는 자신이 낸 장치의
실용화
가능성을 크게 생각하지 않은 반면에, 벨은 이후 계속해서 그레이나 에디슨 같은 이의 기술을 흡수해 자신의 전화를 개량시켜 나간다.한편 전화보다는 다중 전신에 관심을 갖던 전신회사들은 벨의 ... ...
우리 두뇌 담긴 이동전화기 완성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때문이다. 또한 얼마 안가 위성통신을 위주로 한 차세대 통신시스템인 IMT-2000이
실용화
될 예정이다. 이 분야는 최교수팀이 사력을 다해 매달릴 분야이다. 우리나라 통신기술이 세계 수준으로 완전히 진입하는데 결정적인 계기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지난 9월 19일에 끝난 위성통신과 방송 우주산업 ... ...
① 보다 맛있고 영양가 높게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보다 맛있고 영양가 높은 양질의 고기와 우유를 만드는 일은 축산업자들의 오랜 꿈이다. 전통적인 방법으로는 축사에서 우수한 혈통을 골라내서 보존하는 ... 밝혔다. 하지만 현재까지 가축에 대한 실험에서는 성공하지 못했기 때문에 이 방법이
실용화
되기까지는 좀더 시간이 필요하다 ... ...
돌리의 생체시계는 몇 시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해결해줄 수 있는 열쇠다. 그러나 만일 돌리의 몸에 이상이 있다면 복제동물의 ‘
실용화
’ 시기가 예상보다 훨씬 늦춰져야 할 것이다.화제의 핵심인 텔로미어의 정체를 살펴보자(그림). 텔로미어란 염색체 양 끝에 존재하는 말단 부위를 의미하는 단어다. 짧은 길이의 유전자 조각이 반복된 구조로 ... ...
3. 미래의 달여행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20세기 말 마스크가 상상했던 우주열차는 21세기에 들어서 초전도현상이 발견됨에 따라
실용화
됐다. 오늘 우주역에 들어선 사람들은 좌석 앞에 꽂혀있는 ‘20세기 우주여행 비화’를 읽으면서 배꼽을 잡을지도 모른다.“아빠, 1960년대에 처음으로 인간이 우주여행에 나섰대요. 그때를 보면 너무 ... ...
사람 코 흉내내는 '인공 코' 등장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연구팀은 최신 후각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앞으로의 전망을 밝게 했다. 인공 코가
실용화
된다면 그 쓰임새는 매우 다양하다. 차의 브레이크액이 새는 것을 감지하고, 냉장고에서 생선이 썩는 것을 알아차릴 수 있으며, 병원에서는 환자의 날숨으로 위궤양, 당뇨병, 암 등을 진단할 수 있게 된다 ... ...
Ⅴ. 막의 경계를 허무는 계면활성제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계면활성제는 막과 막의 경계를 허물며 세상을 부드럽고 풍요롭게 만드는 존재다. 계면활성제 덩어리인 비누에서부터 약물 속에 포함된 ... 수 있는 작용기를 넣은 계면활성제를 만들고 있다. 이것이 생체계면활성제다. 완전히
실용화
되지는 않았지만 미래산업의 필수품으로 등장하고 있다 ... ...
생활 속의 전자파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뮤(μ)메탈 같은 도자율(자기력선의 투과 용이성)이 높은 특수금속은 매우 비싸고 휘귀해
실용화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근래 전자파를 차단한다는 옷감이나 차폐용 호주머니를 부착한 옷이 나오고 있다. 또 카드만한 전자파 차단기구를 지니고 있기만 하면 전자파가 모두 차단된다고 선전하는 ... ...
④ 각광받는 미래에너지 수소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의한 1백50만kW의 열에너지가 1천초 이상 발생될 것으로 예상돼 핵융합 에너지 기술이
실용화
될 기대를 갖게 한다.그러나 아직 핵융합기술은 실험실적으로 실증하는 단계이며, 실제로 핵융합기술에 의해 에너지를 얻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고온 유지기술과 이를 견디어 낼 수 있는 재료의 개발 등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