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실
손실
도난
유실
d라이브러리
"
상실
"(으)로 총 535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죽음의 새로운 인식, 뇌사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전정안구반사 모양체척추반사 구역반사 기침반사 등)의 소실 등이 뇌간기능의
상실
을 의미한다. 널리 사용되는 무호흡 검사는 자발호흡이 소실된 이후 자발호흡의 회복가능여부를 판정하는 검사로서, 1백% 산소 또는 95% 산소와 5% 이산화탄소를 10분간 인공호흡기로 호흡시킨 후 인공호흡을 ... ...
조용하게 때론 거칠게 바다를 지배한다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유독성 식물플랑크톤을 섭취한 어패류를 사람이 먹으면 마비성패독 설사성패독 기억
상실
성패독 등과 같은 다양한 패독현상이 발생하며 심하면 사망하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유독성 식물플랑크톤을 섭취한 홍합을 먹고 마비성패독으로 사망한 사고가 있었다. 또한 어떤 식물플랑크톤은 사람 ... ...
6 냄새-화학적 자극을 수용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냄새를 맡고 있으면 매초 2.5%씩 후각의 민감성이 감퇴돼 1분 이내에 약70%의 민감성을
상실
한다. 달리 말해 후각의 피로와 순응을 통해 특정 냄새에 대해 쉽게 둔감해지긴 하지만 30%의 민감성은 남아있기 때문에 냄새를 완전히 못 느끼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생활 환경에서의 냄새나 몸에서 나는 ... ...
비타민 8가지 궁금증 풀이
과학동아
l
1995년 09호
초래했다. 따라서 학자들은 극심한 영양결핍 상태인 동물과 사람에게서 관찰되는 기억력
상실
을 장기간 경미한 (또는 잠재적) 결핍상태를 경험한 노인들에게로 확대 적용해보고자 시도했다.구드윈(Goodwin) 박사팀은 60세 이상 2백명의 건강한 성인에게서 영양상태와 인식능력 사이의 상관관계를 ... ...
1 '암·백혈병의 원인' 연구발표 잇달아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대해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은 1950년경부터. 부근에 사는 주민들도 두통 나른함 기억
상실
등을 호소했으나 이러한 현상들이 고압선로에 의한 것이라는 과학적 규명은 아직 안되고 있다.73년 뉴욕주주민들은 캐나다로부터 뉴욕주로 유입되는 7백65kV 초고압선로의 가설을 반대했으나 전력회사가 ... ...
3. 생물, 자연주기와 생체리듬 맞춰 환경적응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없는 상태에서는 위상의 조절기능이
상실
되어 버리기 때문에 시계로서의 기능을
상실
한다.(그림1)의 실험결과에서 보듯이 초파리의 우화리듬이 온도의 차이에 관계없이 24시간에 가까운 자유연속리듬을 나타내고 있어 이는 곧 온도보상성을 갖는 시계로서의 기능을 다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
PART1 발암유전자를 알면 암 정복이 보인다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평시에는 암 발생을 억제하는 인체내의 경찰과 같은 역할을 하다가 이 기능이
상실
되는 경우 암 발생에 기여하게 된다.대부분의 암은 발암유전자와 종양억제유전자의 변이(mutation)가 5-8 단계에 걸쳐 일어나 궁극적으로 암세포를 만들게 되는 다단계 발암설(multistep carcinogenesis)로 설명되고 있다. 이런 ... ...
PART5 암 억제·유발의 두얼굴 p53을 찾아라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다량 존재하기 때문에 암의 발생이 억제되지만 어떤 이유로 p53이 손상되면 항암기능이
상실
되기 때문에 암이 유발되는 것이지요. 따라서 암을 일으키는 발암유전자(oncogene)와는 성질이 다른 물질이라고 봐야 합니다."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면역학자 우희종 교수의 말이다.원자력병원 내과 ... ...
사람은 왜 죽는가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새로운 세포가 계속 만들어지면서 공급돼야 하는데, 그 와중에 말단소립은 점차적으로
상실
돼 짧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는 1년에 계절이 네 번 바뀜에 따라 나이테가 하나씩 생기는 것과는 완전히 반대되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마치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화려했던 불꽃이 사그라 들면서, ... ...
PART3 차세대 항암제 택솔, 만병통치약인가?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내성을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실제 암환자에서 관찰되는 현상, 즉 한 항암제의 효능이
상실
되면 다른 항암제를 복용해도 뾰족한 효과를 얻지 못하는 현상을 다약제 내성의 메커니즘으로 설명할 수 있다.다약제 내성을 유도하는 대표적인 물질이 P-당단백(P-glycoprotein)이다. 암세포의 세포막에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