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배열"(으)로 총 1,523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를 향해 크게, 더 크게! 거대망원경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중 파장이 밀리미터(mm)인 전파를 탐지한답니다. 지름 7m와 12m짜리 망원경을 촘촘하게 배열한 형태로, 좁은 영역 안에서 많은 양의 빛을 받을 수 있지요. ALMA는 초기우주에서 은하가 태어나는 모습을 찾고, 우리 은하도 자세히 관측하고 있어요. 나라를 뛰어넘은 LOFAR와 종합선물세트 SKA합성망원경의 ... ...
- 학교 앞 문방구 주인 ‘사라 샤프라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규칙을 무척 중요하게 여기셨어요. 그래서 문방구 안의 물건들도 다 규칙에 맞게 배열하셨지요.”썰렁홈즈가 가게를 둘러보니 정말 깔끔하게 정리되어 있었다. 단, 연필통만 빼고. “아버지께서 이 연필통도 규칙에 맞게 정리하라 하셨는데, 도통 무슨 소린지 모르겠어요. 이 연필 통을 배치 못하면 ... ...
- 자연이 빚은 아름다운 광물이 가득! 민자연사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산출되는 결정을 말해요. 자연에서 존재하는 분자 중 같은 종류가 모여 규칙적으로 배열이 되면 광물이 된답니다. 우리 주변에서 보는 물질 대부분이 바로 광물이에요. 예를 들어 연필심의 재료인 흑연이 바로 광물이지요. 유리의 재료가 되는 석영도 광물이고요. 바위조차도 알갱이 하나하나가 모두 ... ...
- [지식] 냄새를 보는 행렬수학동아 l2015년 05호
- 행렬의 곱셈에 대해 알려드릴게요.수학에서 ‘행렬’이란, 숫자나 기호 등을 네모꼴로 배열해 괄호([ ])로 묶은 걸 말해요. 행렬은 주로 두 항목의 관계를 나타낼 때 써요. 예를 들어, 이 행렬은 농구에서 초림이가 5점, 무각이가 6점을 얻었고 축구에서는 초림이와 무각이가 모두 2점을 얻었다는 ... ...
- [생활] 나만의 주치의, 맞춤의학수학동아 l2015년 05호
- 갖고 태어난다. 염기서열은 유전자의 성질을 결정짓는 일종의 코드 배열로, 이 배열에 따라 건강에 관련된 신체적 특성이 달라진다. 따라서 유전체 정보를 분석하면 개인별로 걸리기 쉬운 질병을 미리 알 수 있고, 평소에 대비할 수 있다. 어떤 유전자와 어떤 질병이 연관돼 있는지는 실제 환자의 ... ...
- [Knowledge] 펨토초 엑스선으로 본 세상, 분자가 결합하는 찰나를 포착하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그려진다. X선 회절법이란, 이를 역이용해 벽면에 생긴 패턴으로부터 원자가 어떻게 배열돼 있는지 밝히는 방법이다. 기존에는 고체 구조에만 쓸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는데, 2005년 이 교수가 세계 최초로 액체 속 분자의 운동을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여기에 마치 동영상처럼 분자가 끊어지는 ... ...
- [수학뉴스] 나비의 입에도 황금비율이 있다수학동아 l2015년 04호
- 균형감 있고 아름다운 비율을 ‘황금비율’이라고 하지요. 자연에서는 소용돌이처럼 배열된 해바라기 씨, 안쪽으로 말려 있는 달팽이집 등에서 황금비율을 찾아볼 수 있어요. 그런데 최근 미국 과학자들이 나비 주둥이에서도 황금비율을 찾았다고 합니다.미국 켄트주립대 매튜 레너트 박사팀은 ... ...
- Part 1. 세 과학자의 이상한 물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사람도 MRI에 들어가면 몸속 수소원자핵들이 작은 자석처럼 외부 자기장 방향으로 배열된다. 이렇게 일정한 방향으로 수소원자를 고정시킨 뒤 고주파의 전자기파를 쏴 수소원자를 회전시킨다. 회전하는 수소원자핵은 고주파를 끄더라도 한동안 계속 돌면서 전자기파를 발생시키다 천천히 원래 ... ...
- 무척추동물의 뇌는 모두 닮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그 결과 무척추동물의 버섯체에 있는 신경섬유다발이 모두 같은 모양과 방향으로 배열돼 있었고, 버섯체의 성분이 동일한 단백질(DC0, Leo, CaMK2)로 돼 있었어요. 모든 무척추동물의 뇌 구조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는 사실을 알아낸 거죠.스트로스필드 교수는 “무척추동물의 동일한 뇌 구조는 약 60 ... ...
- [수학뉴스] 우주의 시공간을 황금비율이 만든다?!수학동아 l2015년 01호
- 비트바테르스란트대 프랜시스 새커리 박사는 태양계 내의 행성과 위성, 소행성, 고리의 배열 등 우주 곳곳에 나타나는 나선형을 그 근거로 삼아 이 같은 주장을 펼쳤다.하늘에서 밝게 빛나는 은하의 70%는 나선 은하다. 은하 전체가 은하 중심을 축으로 회전할 때, 은하 중심에서 가까운 곳은 더 ... ...
이전3233343536373839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