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칼리지
대
university
d라이브러리
"
대학교
"(으)로 총 5,173건 검색되었습니다.
[러셀 탐구생활] 포화 속에서 연구 이어간 스승과 제자
수학동아
l
2023년 08호
공학자를 하지 말게.” ◆ 런던 헌책방에서 만난 ◆ 2023년 영국 리즈
대학교
. “아, 정담 학생 반가워요. 제출한 학기말 에세이를 읽어 봤는데요.”마른침이 꼴깍 넘어갔습니다.“훌륭한 에세이였어요. 제가 채점한 최고의 에세이 중 하나예요.”“저, 정말요?”“그럼요, 사실 ... ...
[과학뉴스] 삼엽충 이마 가운데서 최초로 ‘홑눈’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8호
초기에 살았던 원시 절지동물인 신다렐라(Cindarella)는 눈이 4개였지요. 독일 쾰른
대학교
브리지트 쇠네만 연구원은 “절지동물이 가진 홑눈의 수를 통해 절지동물의 진화 단계를 파악할 수 있다”고 말했답니다 ... ...
[가상인터뷰] 소행성 ‘류구’에서 생명의 씨앗인 RNA 물질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8호
여기에서 생물이 생겨나 지금과 같은 생태계가 형성됐다는 주장이야. 일본 훗카이도
대학교
오바 야스히로 연구원은 “올해 9월 지구에 도착할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소행성 탐사선 오시리스-렉스가 소행성 ‘베누’에서 들고 올 시료를 분석하면 더 많은 데이터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어 ... ...
어떤 점을 닮았을까? 자연 모사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8호
강조했어요. 점프력 최강! 방아벌레 로봇지난해 12월 미국 일리노이
대학교
와 프린스턴
대학교
공동 연구팀은 방아벌레 로봇을 만들었어요. 방아벌레는 몸길이가 2cm밖에 안 되지만 40cm까지 점프할 수 있어요. 방아벌레의 흉부 근육은 코일처럼 돌돌 말려 있는데, 점프할 때는 이 근육이 순식간에 ... ...
(광고) 과학으로 우리의 삶을 바꾼 사람들 '대한민국 과학기술유공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8호
제주에는 밀감(귤) 농사를 지을 수 있도록 장려했다. -김수지 교수 (1942~2016)이화여자
대학교
명예교수한국의 나이팅게일이라고 불리는 우리나라 최초의 간호학 박사. 정신과 환자를 재활하는 ‘사람돌봄이론’ 개발 등 사람을 돌보고 살리는 일에 힘썼다. ● 과학기술유공자가 만화로! 우리나라가 ... ...
필즈상 수상이 영재에게 미친 영향은? 나도 수학자가 될 수 있다는 확신
수학동아
l
2023년 08호
수학자가 되기로 결심한 결정적인 계기는 일본 수학자인 히로나카 헤이스케 미국 하버드
대학교
명예교수를 만난 거예요. 대학에서 그의 강의를 들으며 수학의 아름다움에 매료됐거든요. 이후 지금까지 허 교수는 누군가로부터 받은 좋은 영향을 상세히 수첩에 기록한다고 하죠. 그런데 허 교수에게 ... ...
[수학연구] 수학을 하는 이유는?
수학동아
l
2023년 08호
강진현 /경북과고 1학년 : 교수님께 수학이란 무엇이고 왜 수학 연구를 하나요? 현실적으로는 직업이니까, 둘째로는 재미있으니까 해요. 직업이어도 재밌지 않으면 안 하겠지요. 새로운 발견을 하는 과정에서 다른 데서는 느낄 수 없는 특유의 중독성이 있거든요. 새로운 발견이라고 하면 과학에 ... ...
영재가 전하고 싶은 말 “허준이 교수님은 저의 롤모델”
수학동아
l
2023년 08호
...
2022 필즈상 그 영광의 순간을 되돌아보며, 수학자의 도전은 계속 된다
수학동아
l
2023년 08호
마리나 비아조프스카 스위스 로잔연방공과
대학교
교수와 제임스 메이나드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
교수가 영예의 주인공이었어요. 수상자가 호명될 때마다 수백 명의 수학자로 꽉 찬 관객석에서는 여느 시상식과 다름없이 ‘Fantastic!’, ‘Wow’ 등의 감탄사와 함께 박수가 쏟아졌어요. 그런데 필즈상 ... ...
[Reth?nking] 함수는 왜 중요한가?
수학동아
l
2023년 08호
중요성과 역사에 관심을 가질 분에게 추천하는 책이 있는데요. 이안 스튜어트 영국 워릭
대학교
수학과 교수가 쓴 이라는 책입니다. 중요한 함수들에 대한 수학자들, 혹은 과학자들의 생각을 잘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책 중 하나입니다. 세 번째 질문 | 함수는 세상을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