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최초의 인류는 누구인가? 위태로운 호미닌의 여명과학동아 l2021년 05호
- 만큼 화석 분석으로 알게 되는 보행 방법은 고인류학 연구에서 호미닌과 유인원을 구분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라고 말했다.사헬란트로푸스 차덴시스가 이족보행을 했는지, 아니면 두 팔과 다리를 이용해 사족보행을 했는지를 알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골반, 대퇴골 등 화석을 분석하는 ... ...
- [수학뉴스] 코로나19로 인한 원격수업의 수학 학습 효과 높이려면?수학동아 l2021년 05호
- 학습, 컴퓨터를 통한 학습, 학습결과에 따른 보상을 주는 학습 등 일곱 가지 방식으로 구분했고, 이후 치른 시험 성적을 비교해 ‘효과 크기(effect size)’를 계산했습니다. 효과 크기는 개별 연구에서 나온 결과를 통계 절차를 통해 표준화한 것으로, 효과 크기가 0이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평균이 ... ...
- [특집] 사람을 대신하는 AI 비서의 세계수학동아 l2021년 05호
- 할 수 있어. 확률론을 연구하는 학자를 ‘빈도주의자’와 ‘베이즈주의자’로 구분해. 빈도주의자들에게 확률은 특정 사건을 시행할 때 A가 나타날 경우의 수를 이 사건이 일어나는 모든 경우의 수로 나눠 구하는 것을 의미해. 예를 들어 주사위를 던지면 1부터 6까지 여섯 가지 경우의 수가 ... ...
- 인류는 늘 이동하고 섞였다...동아시아인의 복잡한 형성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쟁점이었다. 만약 이들이 모두 이른 남방 확산 집단의 후손이라면 대륙 동아시아인과는 구분되는 계통으로 이들을 묶을 수 있다.해당 집단에 대한 유전체학 연구는 상당히 복잡한 양상을 보인다. 안다만 제도 원주민과 옛 호아빈 문화 수렵채집인들이 유전적으로 유사하다는 것과, 호아빈 문화 ... ...
- [SF 소설] 생명의 노래과학동아 l2021년 05호
- 물고 잽싸게 뛰어 도망갔다. 새끼도 그 뒤를 따랐다. 퓨라가 있던 자리에는 땅과 거의 구분되지 않는 검은 얼룩만 남아있었다. 날이 밝아오고 있었다. 이새는 아픔도 잊고 멍하니 생각에 잠겨 있었다. 앞으로 그 노래를 어떻게 들어야 할지 도무지 알 수 없었다. 예전처럼 즐길 수 없다는 건 분명했다. ... ...
- [핫이슈] 큐리오 매쓰매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5호
- 그림 카드처럼 보이지만, 카메라 화면에 카드를 보여주면 프로그램이 각각의 카드를 구분해서 인식하도록 여러 요소를 숨겨놓았 어요. 이 요소를 통해 카드가 어떤 정보와 연관돼 있는지 파악하고 그에 맞는 정보를 화면에 보여주는 거지요. 이를 증강현실 기술 중에서도 ‘이미지 인식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유대류, 감칠맛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분자를 구성해요. 생물학자들은 물 다음으로 우리 몸에 많이 필요한 단백질을 맛으로 구분하기 위해 감칠맛 수용체가 진화했다고 추측해요. 감칠맛은 해산물, 고기, 발효 식품 등에서 강하게 느낄 수 있답니다 ... ...
- [에디터 노트] 식물과 다양성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식물의 이름을 부르는 형벌에 처한다. 벚꽃과 매화와 이화와 도화, 살구꽃, 사과꽃을 구분하는 것은 가장 쉬운 문제가 될 것이다.” 잎맥 사이로 잎이 갈라진, 희끗한 무늬가 있는 괴물 같은 잎이 주저앉은 그의 뺨을 간질였습니다. 그 감촉에 희미한 위안을 느끼며 눈을 떴습니다. 아이의 발가락이 ... ...
- [야생동물이 사람을 두 번 만났을 때] 차가운 도로 위에 식어가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그리고 치료 중 폐사 구조센터에서는 구조된 연도와 순서를 포함한 일련번호로 동물을 구분한다. 2019년 1일, 2일, 3일 구조된 고라니는 각각 2019-3, 2019-4, 2019-6이라 불리게 됐다. 2019-3은 도로변에서 일어서지 못하는 상태로 발견됐다. 척추 골절이었다. 차량 충돌을 당한 뒤 구조된 성체 고라니는 ... ...
- [지사탐 인터뷰] “개화시기 탐사로 식물 다양성을 지켜요!” 소지현 연구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큰 특징은 꽃이에요. 그런데 꽃이 없는 가을이나 겨울엔 수피(나무 껍질)만 봐도 식물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벚나무는 수피가 가로로 벗겨지고, 소나무는 거북이 등껍질처럼 불규칙하게 벗겨지거든요!”캠퍼스 곳곳에서 나무의 이름을 찾고, 꽃눈을 구경하다 보니 시간가는 줄 몰랐어요. 소지현 ... ...
이전3233343536373839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