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학"(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음식은 과학! 미래의 식탁은?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100점 만점에 100점! 인공지능 셰프가 완벽한 레시피와 로봇 팔로 안전하게 조리한 요리가 완성되었습니다. 맛도 좋지만, 음식을 먹는 사람의 건강 정보와 취향을 파악해 필요한 영양소가 풍부하게 들어간 요리지요. 식품 산업이 로봇과 인공지능 등 첨단 기술과 만난 ‘푸드테크’ 덕분입니다. ... ...
- [기획] 내 맘대로 만들어 먹는다 3D 식품 프린팅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않고 장기 보관이 가능한 새로운 우주식량이 필요했거든요.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이진규 교수는 “단백질이나 녹말 등 음식 재료를 가루로 만들면 오래 보관하거나 옮길 때 매우 편리하며, 이를 프린트해 음식으로 만들면 처리해야 할 음식물 쓰레기가 생기지 않는다”고 설명했어요. ... ...
- [특집] 경기장 온도 관리는 수학 모형을 이용한 모의실험으로!수학동아 l2022년 11호
- 더운 공기를 밖으로 빼내기 위해 만든 거예요. 2009년, 사우드 가니 카타르대학교 기계산업공학과 교수팀은 국가로부터 카타르 월드컵 경기장의 친환경 실외 냉방 기술을 개발해 달라고 요청받았어요. 먼저 더운 공기를 바깥으로 내보낼 방법을 연구했어요. 기존 경기장을 3D 모형으로 만든 뒤 바람이 ... ...
- 노벨상 분석 보고서 I 현대 과학의 토대를 쌓은 수상자들과학동아 l2022년 11호
- D로 세포를 배양하거나, 어떤 물질의 표면에 다른 물질을 붙여 표면의 성질을 바꾸는 표면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클릭화학과 생체직교화학이 쓰이고 있다”고 말했다.KISTI의 분석 결과에서도 클릭화학의 파급력이 잘 드러난다. KISTI가 배리 샤플리스 미국 스크립스연구소 교수의 논문(2001년 ... ...
- [과학 뉴스] 30분 만에 바닷물이 생수 한 컵으로?!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월 14일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 전기공학및컴 퓨터과학과 윤정호 연구원팀이 언제든지 바닷물을 생수로 만들 수 있는 ‘담수화 장치’를 개발했어요. 기존의 담수화 장치는 필터로 물을 거르기 위해 바닷물에 강한 압력을 줄 큰 펌프가 필요했어요. 그래서 20kg보다 가벼운 담수화 장치를 만들지 ... ...
- [기획] 셰프의 손맛을 그대로~ 인공지능으로 요리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볼 수 있지요. 푸드테크의 범위가 얼마나 넓은지 알 수 있습니다.이진규 푸드테크, 식품공학은 사람과 아주 가깝고 철학과 인문학적인 이해가 필요한 분야입니다. 먹지 않고 살 수 있는 사람은 없기 때문이에요. 메타버스 같은 가상 공간에서도 음식을 먹는다는 개념은 존재할 것이고, 그곳에서 ... ...
- [기획] 수리 생물학 노트 III, 새의 날개짓 비행체에 적용하다!수학동아 l2022년 11호
- 있다는 장점도 있어요. 새의 비행 특성을 본뜬 비행체를 연구하는 한재흥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새는 먹이를 빠르게 낚아채거나 포식자를 피해 요리조리 날아다닌다”며, “새처럼 안정적인 동시에 어떤 상황에서도 재빠르게 비행할 수 있는 극한의 기동성을 구현할 수 있는 비행체를 ... ...
- [킹앤포] 급한 과제도 함께하면 문제없지!수학동아 l2022년 11호
- 만드는 것이 어려워요. PPC의 문제는 이전 기수의 PPC 수상자가 출제하고, 컴퓨터공학과 교수님들이 검수해요. PPC에 참가한 학생들은 실시간으로 팀 순위를 볼 수 있어요. 올해는 학생들의 뛰어난 실력과 문제에 대한 집념이 더해져, 마지막까지 순위가 서로 뒤바뀌는 치열한 접전이 펼쳐졌어요. 특히 ... ...
- [카타르 월드컵, 과학으로 즐기기] 인공지능이 예측하는 한국 16강 진출 확률은?과학동아 l2022년 11호
- 과정에는 석주영 카이스트 전산학부 4학년 학생과 조수연, 김시온 이화여대 컴퓨터공학과 2학년 학생이 함께했다. 이들은 열렬한 축구 팬으로 이번 프로젝트에 지원했다. 프로젝트는 9월 27일부터 10월 12일까지 약 2주 동안 진행됐다. STEP 1. 영양가 좋은 밥 짓기: 데이터 특징 추출AI가 상용화되면서 ... ...
- [사업가가 된 연구자] 생분해 흡수체로 여성의 일상을 바꾸다과학동아 l2022년 11호
- 만드는 랩실에 있었다. 의료 인공지능(AI) 개발 등의 연구를 했다.이승민 CTO는 생명화학공학과 출신이다. 생체 적합 플랫폼을 만드는 등 고분자를 이용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연구를 진행했다. 박지혜 COO는 고온, 고압 등 특수 환경에서 나오는 에어로졸이 인체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연구했다. ... ...
이전3233343536373839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