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적
훈공
공
성공
보람
수훈
한길
d라이브러리
"
공로
"(으)로 총 651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이크로맨의 눈에 비친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9호
물체를 확대할 수 있다. 1953년 최초로 전자현미경을 만든 독일의 물리학자 루스카는 그
공로
로 1986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 더 작은 세계로 나아가려는 인류의 도전도 계속되었다.나노의 세계를 여행하는 원자현미경전자현미경에서 더 진보한 원자현미경은 원자 지름의 수십 분의 일까지 ... ...
현미경과 망원경이 보여 주는 놀라운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3호
같이 작은 물체도 관찰할 수 있다. 1986년 에른스트 루스카는 전자현미경을 밞명한
공로
를 인정받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한눈에 보는 망원경의 역사1608년망원경의 시작네덜란드의 안경 제조업자인 리프세이의 두 아들은 우연히 두 개의 렌즈를 적당한 간격으로 두고 멀리 있는 물체를 보면 ... ...
무소음 항공기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수상했다83년 여성 단독으로는 처음으로 알록달록한 옥수수에서 이 동유전자를 발견한
공로
로 노벨 생리 · 의학상을 수상했다쌀보리 이삭에 기생하는 맥각균(Claviceps pur purea)의 균핵, 즉 맥각(자궁 수축작용, 분만 촉진, 분만 때의 지혈작용을 가짐)의 유효 성분인 알칼로이드군 구조로는 인돌 ... ...
자오선이 영국으로 간 까닭은?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그 뒤 H3, H4까지 개발했다.H4는 지름이 12cm 정도로 대단히 작고 정교해 경도위원회는 이
공로
를 인정해 해리슨에게 3000파운드의 상금을 수여했다. 이 시계는 영국에서 중앙아메리카에 위치한 자메이카까지 여행하는 동안 5초의 오차만 보였다.논쟁의 종지부 찍다19세기에 접어들면서 경도를 측정하는 ... ...
특집Ⅰ 뿌리 깊은 나무 노벨상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납 같은 금속이 아주 낮은 온도에서 전기저항을 잃는 초전도 현상을 발견했다. 그는 이
공로
로 1913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 그 후에도 저온에서 나타나는 초전도나 초유체 현상의 이론적 설명이나 발견에 노벨물리학상이 잇따라 주어졌다.영국 서섹스대의 해롤드 크로토 교수는 별을 보는 ... ...
특집Ⅲ 2006 노벨상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사실 RNA중합효소는 스페인의 생화학자인 세베로 오초아가 처음 발견했다. 그는 이
공로
로 1959년에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다. 당시 공동 수상자가 스탠퍼드대 아서 콘버그 교수로 바로 올해 노벨화학상을 수상한 로저 콘버그 교수의 아버지다.RNA중합효소가 발견된지 40년이 넘어서야 마침내 ... ...
'에너지 보존법칙'쉬운 길로 가보자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한 달 수입에서 지출한 돈을 빼면 남은 돈을 저축하거나 투자할 수 있다. 즉 지출한 돈과 저축하거나 투자한 돈을 합한 것이 그 달의 수입이다. 경제학자는 이것 ... 배타원리로 1945년 노벨물리학상을, 프레드릭 라인스와 마틴 펄은 중성미자를 발견한
공로
로 1995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 ... ...
계단과 무빙워크 중 전자 궤도를 닮은 것은?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불연속적으로 정해진 거리를 두고 원형 운동을 한다’는 두 번째 가정을 만들었다(이
공로
로 보어는 1922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 보어 모델의 핵심은 ‘불연속성’에 있는데, 계단에서 굴러가는 공처럼 원형 운동을 하는 전자의 궤도 반지름이 불연속적이고 전자의 에너지도 불연속적이라는 ... ...
캐롤라인 허셜과 마리아 미첼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1802년에는 별들의 분포를 밝혀 우리 은하의 구조를 확립하는 등 그가 천문학에 이바지한
공로
는 실로 대단하다. 하지만 우리가 주목해야 할 사실이 또 하나 있다. 그의 뒤에 누이동생인 캐롤라인 허셜(Caroline L. Herschel)이 있었다는 것이다.캐롤라인 허셜은 1750년 독일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 ...
중국 싼샤댐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물질을 말한다 '몬탈치니'와 '코헨'은 각각 신경성장인자와 표피성장인자를 발견한
공로
로 작년에 노벨상을 수상했다태양광의 스펙트럼을 사진으로 찍었을 때, 가시광선의 단파장보다도 바깥쪽에 나타나는 눈에 보이지 않는 빛 1801년 독일의 화학자 JW리터가 자외선이 가지는 사진작용(感光作用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