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개"(으)로 총 2,733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강원도 대관령 날씨조작 현장에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1호
- 크기를 살피죠. 오후 2시 31분부터 지상에서 연소탄 16발 태우는 것을 끝으로 국내 최초 공개된 인공 눈 3단 실험은 마무리 됐습니다. 구름씨는 북동풍을 타고 점차 몸집을 키워 대관령에서 9km 떨어진 용평에 눈을 뿌려요. 실험 성공 여부는 바로 알 수 없고, 용평 관측소에 채집된 강수 데이터를 ... ...
- [이재형 천문대장]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1호
- 겨울 밤하늘의 터줏대감, 오리온자리겨울철 저녁에 가장 선명한 별자리인 오리온자리와 오리온 성운을 소개합니다. 오리온자리 주변에는 수소 분자가 구름처럼 모인 ... 입장권을 드립니다. ★이번 퀴즈의 정답과 당첨자는 2월 1일 어과수 홈페이지 선물터에서 공개할 예정입니다 ... ...
- [함께해요, 로블록스 코딩] 폴리매스 방탈출 게임, 그 시작!수학동아 l2022년 01호
- 게임을 만들고 즐기는 공간, 로블록스! 로블록스는 ‘미국 초등학생의 놀이터’라 불리는 게임 개발 플랫폼이에요. 2004년 프로그램 개발자이자 CEO인 데이비드 바수츠키 ... 이해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온라인 클래스도 진행합니다. 줌과 유튜브를 통해 공개하니, 많이 참여해 주세요 ... ...
- [과학뉴스] 수능 생명과학Ⅱ 출제 오류, ‘진실을 외면해야’ 답을 낼 수 있었다과학동아 l2022년 01호
- 결국 법원 판결로 오류로 결론이 났다.이 문제는 수능 직후 정답과 가채점 결과가 공개되면서부터 논란이 됐다. 이에 수험생 92명은 지난해 12월 2일 평가원을 상대로 20번 문항의 정답 결정을 취소해달라는 내용의 정답 결정 처분 취소소송과, 정답 결정의 효력을 임시로 멈춰달라는 취지의 정답 결정 ... ...
- [THE JAMES DYSON AWARD] 세상을 바꿀 젊은 발명가들의 이야기과학동아 l2022년 01호
- 플라스틱 문제에 관심이 많았던 그는 자신의 발명품을 누구나 활용할 수 있도록 자료를 공개했다. 자신의 발명이 많은 이들의 참여를 통해 실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쓰이기를 바라고 있다. Q. 플라스틱 문제에 평소에도 관심이 많았나?플라스틱 문제에 관심이 많아 이전부터 프레셔스 플라스틱 ... ...
- 뉴 스페이스를 이끌고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2년 01호
- 구성 및 운영지침’에 따르면 국내 기업은 4m보다 정밀한 해상도로 촬영한 위성 영상을 공개할 수 없다. 오 이사는 “반면 해외 기업은 국내 지역을 4m보다 높은 해상도로 촬영해 판매해도 문제가 없다”며 “규제에 허점이 있는 만큼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국내에는 대학에 위성 관련 ... ...
- [비룡소 X 어린이과학동아 장이권 교수의 탐험 일지] ‘바다의 방랑자’가 위험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1호
- 바다거북 ‘엘라’가 치료를 받은 뒤 물 위에 떠 있는 양배추를 야무지게 먹는 영상도 공개했죠. 장 교수님이 “잘 먹는 걸 보니 엘라는 건강해져서 바다로 돌아갔을 것”이라고 말하자, 독자들은 실시간 댓글창에 “엘라야, 잘 살아”라며 응원의 메시지를 보냈답니다. 이외에도 장 교수님은 전남 ... ...
- [만화 뉴스] 건물이 스스로 회복한다고? 살아있는 3D 프린터 잉크!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1호
- 교수팀은 대장균이 만든 단백질로 3D 프린터●에 사용하는 ‘미생물 잉크’를 만들어 공개했어요. 연구팀은 우선 대장균의 유전자를 변형시켜 혈액을 굳게 하는 ‘피브린’ 단백질을 분비하도록 유도했습니다. 이후, 피브린 단백질만 추출하여 젤라틴 형태를 한 잉크를 만들었어요. 또한, 2종류의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2년 01호
- 만나 진행됐어요시간 30분 동안 수학으로 하나 되는 모습이었는데요,그 현장을 일부 공개합니다! 안녕하세요.저는 대수기하를 전공하고,고등과학원,삼성전자를 거쳐 현재 인하대학교에서 딥러닝으로 ‘컴퓨터 비전’이라고 불리는 영상 인식 알고리듬을 만드는 현윤석입니다.저는 수학을 ... ...
- [엣지 사이언스] 윤리·데이터법 개정 물꼬 트나? 희귀질환 게놈 진단 시대과학동아 l2022년 01호
- 규제’가 필요하다”라며 “UK 바이오뱅크가 수십만 명의 데이터를 익명화, 암호화해 공개한 사례처럼 게놈 데이터는 얼마든지 완벽히 보호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리고 “자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게놈 데이터가 국민의 건강을 위해 얼마나 이익이 되는지 충분히 ... ...
이전323334353637383940 다음